올해 소비자물가가 0.5% 상승했다. 지난해(0.4%)에 이은 2년 연속 0%대 상승률이다. 하지만 소비자 사이에선 "정말 저가가 맞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돼지고기, 채소, 김치 등 '밥상 물가'는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밥상 물가 상승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살림살이가 어려워진 가계의 부담이 더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20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농축수산물 가격은 작년보다 6.7% 상승했다. 2011년(9.2%) 이후 9년만에 가장 많이 뛰었다. 농산물(6.4%), 축산물(7.3%), 수산물(6.4%) 가릴 것 없이 많이 올랐다.
농산물에선 양파(45.5%)와 배추(41.7%) 등은 40% 넘게 올랐다. 돼지고기(10.7%)와 국산쇠고기(8.3%)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육류는 채소보다 기본적으로 비싸다는 점에서 가격 상승이 더 부담스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이달 한우등심(1+등급) 소매가격은 kg당 약 12만1000원으로, 평년 수준(10만8000원)보다 많이 올랐다.
서민이 많이 찾는 가공식품 가격도 올랐다. 김치 가격은 작년 0.3% 올랐지만 올해는 8.9% 치솟았다. 햄·베이컨(-1.6% → 4.5%), 탄산음료(1.0% → 4.8%), 참기름(4.7% → 9.7%) 등도 구매 부담이 커졌다. "장 보기가 무섭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밥상 물가 상승의 1차적 원인은 수요 증가에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콕족(집에만 콕 박혀 있는 사람)'이 늘면서 식재료·가공식품 수요가 뛴 것이다. 농산물의 경우 올해 장마·태풍 등 악재가 겹쳤다. 농산물 작황이 나빠지면서 생산·공급이 불안해졌고, 이것이 가격을 밀어올렸다. 8.6% 가격이 오른 달걀은 조류독감(AI)으로 생산에 타격을 받았다.
먹거리 외에 집세도 서민의 시름을 키웠다. 집세는 작년 0.1% 감소에서 올해 0.2% 증가로 돌아섰다. 전국적인 전·월세난 탓이다. 특히 서울은 집세 상승률이 작년 0.3%에서 올해 0.7%로 뛰었다. 서울 전세와 월세는 각각 0.9%, 0.5% 올랐다. 올해 서울 월세 상승률은 2016년(0.6%) 이후 가장 높았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남인순, '인구 30만명 초과시 보건소 추가 설치' 추진
전국 구치소·교도소 '셧다운'…시설 내 거리두기 '3단계'
서울서 어제 366명 신규 확진…사망자는 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