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속보
Investing Pro 0
⏰ 맞춤형 실시간 뉴스를 통해 시장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해 보세요 시작하기

배당금 지급 시기 도래, 배당금을 무시하지 말자

By lovefund이성수 시장 개황2023년 02월 07일 16:05
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42669
배당금 지급 시기 도래, 배당금을 무시하지 말자
By lovefund이성수   |  2023년 02월 07일 16:05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기사는 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KS11
+0.38%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005930
+0.17%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278530
+0.28%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12월 결산 법인들의 2022년도 잠정 실적 공시가 연이어지는 것을 보니, 한편 주주총회 시즌이 저 멀리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 요즘입니다. 주주총회가 있고 나면 대부분 상장사들은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지급하게 되지요. 대부분 4월 전에 배당금 지급이 완료됩니다. 그런데 증권 계좌에 들어오는 배당금이 쥐꼬리같이 너무 작다고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배당금은 여러분의 투자 수익률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총투자수익 = 시세차익 + 배당수익

주식투자에서의 투자 수익을 시세차익만 생각하는 개인투자자분들이 제법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주식투자에서 발생하는 전체 수익률 중 상당 비율은 배당수익에서 발생합니다. 주주총회 시즌이 지나면 그야말로 “따박 따박” 들어오는 현금흐름이지만 주식투자에서의 배당을 무시하는 경우는 다반사이지요.

(cf : 부동산 투자에서는 시세차익과 임대 소득을 모두 투자 수익으로 인식하면서 주식투자에서의 배당수익은 무시하는 아이러니한 문화가 아쉽습니다.)

배당수익이 워낙 작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한국 증시의 평균 배당수익률은 오랜 기간 1~2% 수준에 멈추어 있었기 때문이지요.

한국 코스피 시장의 2000년 이후 배당수익률과 평균값. 자료 참조: KRX
한국 코스피 시장의 2000년 이후 배당수익률과 평균값. 자료 참조: KRX

위의 자료는 2000년 이후 2022년까지 23년여간 한국 코스피 시장의 연말 기준 배당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증시가 폭락했던 2000년이나 2008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간 한국 증시는 1%대의 낮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하였고 23년 평균치는 대략 1.7%에 불과하였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삼성전자가 배당수익률이 크게 높아지긴 하였습니다만, 20여 년 전망하더라도 배당수익률이 0%대였던 때도 많았었지요.

하지만 그 작아 보이는 배당이 전체 총 투자 수익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제법 커졌습니다.

주식투자 총수익률에서 배당수익률은 거의 절반 정도 차지한다.
주식투자 총수익률에서 배당수익률은 거의 절반 정도 차지한다.

[ 자료 분석: lovefund이성수 / 기간: 2000년~2019년 ]

위의 자료는 2019년 11월 lovefund이성수의 증시 토크와 정기세미나에서 참고 자료로 만들었던 총투자수익률 자료입니다. 미국, 일본 모두 총투자수익률 중 거의 절반 가까이가 배당수익률에서 만들어졌고, 한국 증시도 2010년 말 이후로는 38% 수준까지 높아졌습니다.

즉, 배당수익률을 무시하면 안 되는 수준이지요.

만약 배당수익률을 모두 감안하면 현재 코스피는 3,000p를 넘기는 효과

그 쥐꼬리 취급받는 배당수익을 총투자 수익에 더한 주가지수가 있습니다. TR(Total Return)이 어미에 붙는 총수익 지수(Total Return Index)가 바로 그것입니다. 배당수익을 재투자한다는 가정하에 산출된 지수입니다. (※ 한국 거래소 내 지수 관련 페이지 참조)

코스피 지수(흑색)와 코스피TR(적색선)지수 2011년 연초 이후 2023년 최근, 원자료: KRX
코스피 지수(흑색)와 코스피TR(적색선)지수 2011년 연초 이후 2023년 최근, 원자료: KRX

[ 코스피 지수(흑색)와 코스피TR(적색선)지수 2011년 연초 이후 2023년 최근, 원자료: KRX ]

2011년 연초 이후 최근까지 코스피 지수와 코스피TR 지수 추이를 보시면 배당수익이 만드는 효과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1년 연초 두 지수 모두 2,070p로 출발하였습니다만, 2023년 최근 코스피 지수는 2,480p 정도로 20%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하였습니다만, 코스피TR은 3,052p까지 상승하며 47%대 상승률을 만들었습니다.

만약 배당을 재투자(세금 미감안)하였을 경우 투자자의 투자 성과는 코스피 지수가 3,000p에 이른 것과 같은 수준의 성과를 만들었을 것입니다.

곧 들어올 배당금: 허투루 과잣값이라 녹이지 마시라

20여 년 전에는 배당수익률이 너무 짜디짰고, 은행 금리와 비교하면 너무도 초라한 배당금이었다 보니 아이들 과잣값 등으로 허투루 써버린 경우가 다반사였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그렇게 허투루 녹여 버릴 돈 재투자하는 것은 어떨까요? (코스피 기준) 작지만 매년 1%대의 플러스 수익률을 높여갈 수 있으니 말입니다.

그리고 작지만 누적된 복리의 효과는 장기 투자 성과를 시나브로 더 높게 만들어줄 것입니다.

 

2023년 2월 7일 화요일

lovefund이성수 (유니인베스트먼트 대표,CIIA,가치투자 처음공부 저자)

[증시 토크 애독 감사드리며 글이 좋으셨다면, 좋아요~추천~공유 부탁드립니다.]

[ “lovefund이성수”에 대한 관심 감사합니다. ]

※ 본 자료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무단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치 및 내용의 정확성이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배당금 지급 시기 도래, 배당금을 무시하지 말자
 

관련 기사

배당금 지급 시기 도래, 배당금을 무시하지 말자

의견 등록하기

의견 지침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풍성한 대화 나누기.
  • 주제에 집중하기. 토론 주제와 관련된 것만 게시합니다
  • 존중하기. 부정적인의견도 긍정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표준어 사용: 문법에 맞춰 글을 작성합니다.
  • 주의사항: 의견에 포함된 스팸이나 홍보용 메시지 및 링크는 제거될 것입니다.
  • 저자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욕설, 비방, 또는 인신공격은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 대화를 독점하지 마십시오열정과 소신에 감사드립니다. 다만 다른 분들에게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의견은 간결하고 사려 깊게 제시하시고 다른 사람이 불편해 할 수 있음으로 같은 의견을 되풀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야기나 포럼을 독차지하는 사람에 대한 불만이 접수될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그 사람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 의견은 한글로 작성해주세요.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

 

여기에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세요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공유: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모든 의견은 중재자가 승인할 때까지 보류되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웹사이트에 표시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의견 (6)
kh Kim
Antikim 2023년 02월 09일 0:48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부동산투자 전문가라는 놈들은 수천만원은 우습게 나오는 복비와 세금을 0원으로 치고 계산하면서 수익률 높다고 우기는데 반해서, 주식투자 쪽 전문가들은 배당을 없는 걸로 치거나 배당락 전에 팔라고 가르치는 사람이 정말 많음. 기업의 낮은 주주환원률+전문가들 중 상당수가 트레이더+개미들 주식 평균 보유일 7일=배당 개무시 풍조
song woocheol
song woocheol 2023년 02월 07일 17:4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감사! 죽네 죽어~ ㅠㅠ
Jungil Kim
Jungil Kim 2023년 02월 07일 17:28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5~10억 있으면 고배당 개별주식& ETF로 돌려놓고 나머지 여유금으로 주식투자하면 이 이상 좋은방법도 없죠 알면서도 못하는건 금액 자체가 부족하니 못하고 그돈 모으려 개별주식만 하는것 뿐이네요 ㅎㅎ 모이면 바로 시작해야죠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고정수입은 있어야하니까요 ㅎㅎ
YS A
YS A 2023년 02월 07일 17:2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대기업들 쥐꼬리만한 지분으로 기업의 경영권을 행사하는 재벌들 배당을 말도 안되게 조금 주고 주식투자를 마치 도박쯤으로 매도하는 사회 분위기 그리고 정부에서 방관하는 불법공매도들 때문에 대한민국 주식시장이 성장 못하는거 아닙니까? 미국 주식 중엔 배당 5% 이상 주식들도 허다한데 말이죠.
한솔 김
한솔 김 2023년 02월 07일 17:2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니가 걍 투자를 못 해서니깐 남탓하지마
JUNYOUNG PARK
JUNYOUNG PARK 2023년 02월 07일 17:2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한솔 김 ㅋㅋ ㄹㅇ팩트
용규 박
용규 박 2023년 02월 07일 17:2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5%이상주는회사도 많이있어요
영부 김
영부 김 2023년 02월 07일 16:38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Rempa oh
Rempa oh 2023년 02월 07일 16:24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 드립니다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의견에 차트 첨부하기
차단 확인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이 의견 보고하기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의견에 깃발 표시됨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혹은
이메일로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