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속보
Investing Pro 0
마지막 기회: 로 프리미엄 데이터 잠금 해제 60% 할인받기

현재 인플레이션 사이클은 증시에 장기 호재다 (단, 긴축은 중기 부담)

By lovefund이성수 시장 개황2023년 02월 03일 14:56
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42631
현재 인플레이션 사이클은 증시에 장기 호재다 (단, 긴축은 중기 부담)
By lovefund이성수   |  2023년 02월 03일 14:56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기사는 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UK100
+0.54%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US500
+0.41%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XU100
-0.82%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KS11
+1.03%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비록 올해 들어 증시가 반등하고는 있지만, 주식시장에 대한 걱정이 계속 기저에 깔려있지요. 그 걱정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그런데 주식시장 부담 요인이라 하는 인플레이션이 그 자체로 악재로 등장하진 않지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이 금융시장 불안 요인으로 등장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오히려 주식시장 관점에서는 이런 인플레이션 사이클이 장기 호재가 됩니다. (물론, 긴축 우려로 중기 악재일 수 있지만 말입니다.)

영국 증시 52주 신고점. 왜 이래? (인플레이션을 보자)

영국 대표 주가지수인 FTSE 지수를 보다 보면 다른 세상 증시라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한국이나 미국 증시는 고점 대비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는데 영국은 승승장구하면서 지난 1월에 52주 신고점을 넘겼고 5년 내 최고치를 경신할 기세입니다.

영국 FTSE 지수 52주 신고점을 넘어 5년 신고점을 뛰어넘으려 하고 있다. 자료: 인베스팅닷컴
영국 FTSE 지수 52주 신고점을 넘어 5년 신고점을 뛰어넘으려 하고 있다. 자료: 인베스팅닷컴

영국 증시 생각 해 보면 망했어야 할 증시이지요. 브렉시트 이후 경제도 뒤숭숭하고 여기에 인플레이션율도 만만치 않으니 말입니다. 우리 한국이 5% 내외의 YoY 기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영국은 작년 중순 이후 10%에 육박하거나 넘어서는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 한국과 비교 해 보아도 어마어마한 물가 상승률이 아닐 수 없습니다.

영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년동기비 추이. 자료: 인베스팅닷컴
영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년동기비 추이. 자료: 인베스팅닷컴

그런데 이 부분에서 중요한 투자 힌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 그 자체는 오히려 증시에 호재란 점이지요.

인플레이션이 악재라면, 하이퍼 인플레이션 국가들은 주가 폭락해야 하는 것 아닌가?

고물가 하면 생각나는 국가 어디가 있을까요? 튀르키예(터키)가 순간 떠오르더군요. 1년 물가 상승률이 80%를 넘기는 등 하이퍼 인플레이션 그 자체이지요. 인플레이션이 악재라 한다면 튀르키예 증시는 폭락했어야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난 1년 튀르키예 증시는 130%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하였습니다.

경제 교과서에 나오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사례인 베네수엘라의 경우도 주가지수 상승률은 그야말로 기하급수란 표현 그 자체입니다. 살짝 살펴보니 최근 1년 베네수엘라 증시 상승률은 300%가 넘는군요.

즉, 인플레이션 그 자체는 주식시장에 악재가 아닙니다.

그도 그럴 것이 기업 입장에서는 명목상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높아지니 매출액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회사의 자산가치도 높아지기 마련이지요. 그러다 보니 명목상 가치가 높아진 기업가치는 강제로 주가를 끌어올립니다.

다만, 일반적인 고물가 상황에서는 긴축이라는 칼날이 더 두렵게 금융시장 앞에 등장하기에 인플레이션 → 금리인상 등 긴축 → 금융시장 불안이라는 연쇄적인 부담을 만들게 되는 것이지요.

높아진 물가 수준: 긴축이 일단락되면 장기 호재가 된다

지금의 미국과 선진국의 고물가 상황은 1970년대 석유 파동과 비교되곤 합니다. 당시 물가 폭등으로 인하여 미국 연준은 고물가를 잡기 위해 매우 강력한 긴축을 단행하였고 기준금리가 70년대 말~ 80년대 초에는 20%를 훌쩍 뛰어넘길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후 80년대 들어 물가가 잡히고 긴축 강도가 약해지지 시작하자 미국 증시는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거의 20년 가까운 초장기 강세장을 만들었지요. (관점에 따라, 1987년 블랙먼데이 때를 한번 쉬어준 구간으로 보기도 합니다.)

물가가 폭등한 사이 재화, 서비스, 용역 등의 가격은 인상되었기에 명목상 기업 매출은 증가하고 기업가치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긴축이라는 무서운 공포 앞에 주가가 올라가지 못했다 보니 PER, PBR과 같은 여러 밸류에이션 지표들의 멀티플 수치들이 극단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다 긴축이라는 고삐가 풀리고 나면, 다시 정상 밸류에이션으로 주가는 회귀하게 되지요. 그 정도만 상승하여도 그 상승률은 어마어마합니다.

대신 이 과정은 하루아침에 발생하는 것이 아닌 수 년여에 걸친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루하루 증시는 변덕스럽고 어지럽지만, 시간이 흘러 흘러 장기적으로 보게 된다면 투자자들은 증시에 있어 인플레이션은 호재였었다고 서술하고 있을 것입니다.

 

2023년 2월 3일 금요일

lovefund이성수 (유니인베스트먼트 대표,CIIA,가치투자 처음공부 저자)

[증시 토크 애독 감사드리며 글이 좋으셨다면, 좋아요~추천~공유 부탁드립니다.]

[ “lovefund이성수”에 대한 관심 감사합니다. ]

※ 본 자료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무단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치 및 내용의 정확성이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현재 인플레이션 사이클은 증시에 장기 호재다 (단, 긴축은 중기 부담)
 

관련 기사

주식공무원
애플,TSMC 충격 일단 멈춰   By 주식공무원 - 2023년 09월 19일 1

안녕하세요 주식투자자 여러분 경제적 자유와 시간으로부터의 자유를 함께 만들어 갈 주식 하는 전산쟁이 주식 공무원입니다.간밤 미국 시장은 FOMC 회의를 앞두고 연...

현재 인플레이션 사이클은 증시에 장기 호재다 (단, 긴축은 중기 부담)

의견 등록하기

의견 지침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풍성한 대화 나누기.
  • 주제에 집중하기. 토론 주제와 관련된 것만 게시합니다
  • 존중하기. 부정적인의견도 긍정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표준어 사용: 문법에 맞춰 글을 작성합니다.
  • 주의사항: 의견에 포함된 스팸이나 홍보용 메시지 및 링크는 제거될 것입니다.
  • 저자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욕설, 비방, 또는 인신공격은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 대화를 독점하지 마십시오열정과 소신에 감사드립니다. 다만 다른 분들에게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의견은 간결하고 사려 깊게 제시하시고 다른 사람이 불편해 할 수 있음으로 같은 의견을 되풀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야기나 포럼을 독차지하는 사람에 대한 불만이 접수될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그 사람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 의견은 한글로 작성해주세요.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

 

여기에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세요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공유: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모든 의견은 중재자가 승인할 때까지 보류되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웹사이트에 표시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의견 (20)
일심 박
프라그먼트 2023년 02월 05일 19:11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게다가 높은 물가로 돈의가치가 쓰레기가 되니 주식이나 비트코인 금 현물에 햇징 효과도 있는거 아닌가요?
2023년 02월 05일 18:4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준혁 서
준혁 서 2023년 02월 05일 16:34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화폐가치가 주가상승분보다 더 떨어졌는데 좋은건가? ㅎ
kmc cm
kmc cm 2023년 02월 05일 16:34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화폐들고 있으면 그 상승분도 못먹겠죠 ㅋㅋ
상 떡
상 떡 2023년 02월 05일 14:34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골디락스..???? 탐욕지수80에
pe pe
pe pe 2023년 02월 04일 23:40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그럼 아르헨티나 주식 사십쇼 ㅋㅋㅋ
중독 표현
중독 표현 2023년 02월 04일 16:41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이런 글들 올라오는걸보니 다시 단기 하락이 올시기가 된듯 대피하자 일단
무현 노
무현 노 2023년 02월 04일 9:58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이번 글 정말 좋네요!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종만 원
종만 원 2023년 02월 04일 4:4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이미 스태그플레이션에 접어들어 아우성치는 미래가 눈앞에 보입니다. 이머징 국가들 생산자 물가가 올랐는데 어떻게 인플레이션이 잡힐수가 있는지, 미국처럼 비싸게 수입하다 싸게게 팔면 가는 할수도 있습니다 . 다들 미쳐 돌아가는 중 , 곧 하이 인플레이션에 직면 할 듯
c hero
c hero 2023년 02월 04일 4:4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그렇게 남들이 뻔히 생각하는대로 움직이니 돈을 못버는거에요..시장은 늘 개인생각 반대로 움직이는겁니다
Aqua Emulsion
Aqua Emulsion 2023년 02월 04일 0:12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으로 명목가치가 상승한 영국, 터키 사례를 볼 때 양국 국민들 삶의 질은 어떻게 됐습니까? 증시는 폭등했다지만 두 국가가 지금 지속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적절한 시기에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하면 파운드, 튀르키예 리라화처럼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수입품을 포함해서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서 대부분의 국민 삶은 팍팍해집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이 100년 지속된다고 해서 100년 동안 장기투자하면 기하급수적인 주가 상승률을 경험할 수도 있겠지만 해당 나라는 분열 수순을 밟고 있을 것이고, 그런 나라 화폐로 표시된 부는 결국 휴지조각만도 못 할 것입니다.
Aqua Emulsion
Aqua Emulsion 2023년 02월 04일 0:05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의견에 차트 첨부하기
차단 확인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이 의견 보고하기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의견에 깃발 표시됨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혹은
이메일로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