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속보
Investing Pro 0
💎 모든 시장에 숨어있는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보세요 시작하기

미국 대선 직전 연도의 증시 강세 경향, 2023년은 다를까?

By Ismael De La Cruz/Investing.com시장 개황2023년 01월 27일 13:57
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42528
미국 대선 직전 연도의 증시 강세 경향, 2023년은 다를까?
By Ismael De La Cruz/Investing.com   |  2023년 01월 27일 13:57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기사는 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NDX
+1.68%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US500
+1.44%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DJI
+1.26%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MSFT
+1.84%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GOOGL
+2.81%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AAPL
+1.56%
포토폴리오 추가/삭제
관심목록에 추가하기
포지션 추가

포지션이 다음에 추가되었습니다:

보유종목 포트폴리오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By Ismael De La Cruz

(2023년 1월 26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 S&P 500,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는 미국 대선 직전 연도에 실적이 좋았다.
  • 격동의 2022년이 지나고 지금은 주요 지수 상황이 좋아 보인다.
  • 2024년 미국 대선 직전 2023년에도 증시 랠리 나타날까?

다가오는 미국 대통령 선거는 2024년 11월 5일 화요일로 예정되어 있으므로 2023년 대선 직전 연도에 해당한다.

S&P 500 지수를 보면, 1950년 이래 대선 직전 연도의 1분기는 18번 중 17번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평균 상승률은 7.4%였다. 4년 대선주기 중에서 최고의 실적을 내는 분기이기도 했다. 또한 2분기 역시도 실적이 좋은 편이었다.

대선주기의 패턴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대통령 임기 첫 2년 동안은 증시가 최악의 실적을 낸다. 가장 인기 없는 정책이 채택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한편, 대통령 임기의 마지막 2년 동안에는 최고의 증시 실적이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가장 인기 있는 정책이 채택된다. 당연하게도 선거가 다가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 대통령 임기 첫 해와 두 번째 해에는 증시 실적이 가장 나쁘고 세 번째, 네 번째 해에는 가장 좋다. 4년 중에서도 세 번째 연도가 최고의 실적을 보일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S&P 500 지수 실적은 1900년 이래 다음과 같았다.

  • 임기 첫 번째 연도: +6.82%
  • 임기 두 번째 연도: +2.94%
  • 임기 세 번째 연도: +11.84%
  • 임기 네 번째 연도: +7.63%

한편 바이오테크, 산업재, 헬스케어 섹터는 민주당 정권에서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제약 및 항공 섹터는 공화당 정권에서 선호된다.

또한 미국 상하원 다수당 나뉘어 있을 때 시장 실적이 좋았지만, 민주당이 다수당일 때 더 좋았다. 여전히 아래와 같은 요소들이 S&P 500 지수와 관련이 있다.

  1. S&P 500 지수의 200일 이동평균: 2022년 3월, 2022년 8월, 2022년 12월 그리고 2023년 1월에는 200일 이동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가끔은 넘기도 했지만 곧 다시 아래로 떨어졌다. S&P 500 지수가 3,783포인트 이상을 유지하는 한 문제가 없지만, 진정한 랠리를 위해서는 200일 이동평균을 돌파해야 한다.

  2. 피보나치 수준: 2022년 10월 저점을 향해 따라내려가면 일련의 영역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상방 목표 및 저항선으로서 역할을 한다. 2022년 11월에 S&P 500 지수는 첫 번째 영역에 다다랐다. 첫 번째 상방 목표였으며 저항선으로도 작용했다. 두 번째 영역 또는 두 번째 중기 상방 목표는 4,150포인트다.

다우존스 지수

다우존스 지수 일간 차트
다우존스 지수 일간 차트

S&P 500 지수와 마찬가지로 1990년부터 다우존스 지수도 민주당 집권 시 실적이 더 좋았다.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다우존스 지수는 신고점을 44회 기록했고, 7% 상승했다. 지난 21명 대통령 임기 중 13번째로 좋은 실적이었다. 1900년부터 임기 중 다우존스 실적이 상위 10위에 해당하는 미국 대통령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프랭클린 루즈벨트 (1933): +90.5%
  2. 캘빈 쿨리지 (1923): +51.7%
  3. 버락 오바마 (2009): +48.7%
  4. 워런 하딩 (1921): +39.3%
  5. 리처드 닉슨 (1963): +33.9%
  6. 제럴드 포드 (1974): +26.8%
  7. 도널드 트럼프 (2017): +24.6%
  8. 빌 클린턴 (1993): +19.4%
  9. 조지 부시 (1989): +18.4%

현재 다우존스와 관련된 두 가지 주요 이슈는 다음과 같다.

  1. S&P 500 지수처럼 지난 8월에 형성된 저항선을 여전히 넘지 못한다. 11월, 12월 그리고 올 1월에도 넘지 못했다. 다우존스가 34,587포인트를 상방 돌파한다면 긍정적 신호로 볼 수 있다.

  2. 골든 크로스가 나타났다. 지난 12월 중순에도 나타났으며 이후 랠리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저항선이 돌파를 막고 있다.

나스닥 지수

나스닥 지수 일간 차트
나스닥 지수 일간 차트

2022년에는 애플(NASDAQ:AAPL), 아마존(NASDAQ:AMZN), 알파벳(NASDAQ:GOOGL), 마이크로소프트(NASDAQ:MSFT)의 주가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

2022년 주가 변동

  • 애플: -26%.
  • 아마존: -50%.
  • 알파벳: -39%.
  • 마이크로소프트: -28%

2008년 주가 변동

  • 애플: -57%
  • 아마존: -45%
  • 알파벳: -56%
  • 마이크로소프트: -44%

2008년과 2022년 사이 14년 동안 애플, 아마존, 알파벳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가 하락한 연도는 없었다.

2000년 이후 나스닥 100 지수 실적은 다음과 같았다.

  • 2000: -37%
  • 2001: -33%
  • 2002: -38%
  • 2003: +50%
  • 2004: +11%
  • 2005: +2%
  • 2006: +7%
  • 2007: +19%
  • 2008: -42%
  • 2009: +55%
  • 2010: +20%
  • 2011: +4%
  • 2012: +18%
  • 2013: +37%
  • 2014: +19%
  • 2015: +10%
  • 2016: +7%
  • 2017: +33%
  • 2018: +.04%
  • 2019: +39%
  • 2020: +49%
  • 2021: +27%
  • 2022: -32%

이번 1월에 S&P 500 지수는 반도체 섹터 덕분에 작년 7월 이후 최고의 월간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0월 중순 2년래 저점을 기록한 이후 30% 상승했다.

: 필자(Ismael De La Cruz) 글에서 언급된 증권에 대한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습니다.

인베스팅닷컴 & https://kr.investi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국 대선 직전 연도의 증시 강세 경향, 2023년은 다를까?
 

관련 기사

미국 대선 직전 연도의 증시 강세 경향, 2023년은 다를까?

의견 등록하기

의견 지침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풍성한 대화 나누기.
  • 주제에 집중하기. 토론 주제와 관련된 것만 게시합니다
  • 존중하기. 부정적인의견도 긍정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표준어 사용: 문법에 맞춰 글을 작성합니다.
  • 주의사항: 의견에 포함된 스팸이나 홍보용 메시지 및 링크는 제거될 것입니다.
  • 저자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욕설, 비방, 또는 인신공격은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 대화를 독점하지 마십시오열정과 소신에 감사드립니다. 다만 다른 분들에게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의견은 간결하고 사려 깊게 제시하시고 다른 사람이 불편해 할 수 있음으로 같은 의견을 되풀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야기나 포럼을 독차지하는 사람에 대한 불만이 접수될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그 사람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 의견은 한글로 작성해주세요.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

 

여기에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세요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공유: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모든 의견은 중재자가 승인할 때까지 보류되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웹사이트에 표시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의견 (3)
Jacob Jordan
Jacob Jordan 2023년 01월 29일 23:22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이런 수준 낮은 기사를 돈 내고 봐야 하는거야?
2023년 01월 29일 18:31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역시 선수들
승 이
승 이 2023년 01월 27일 14:38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의견은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고오맙네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의견에 차트 첨부하기
차단 확인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이 의견 보고하기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의견에 깃발 표시됨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혹은
이메일로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