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베스팅닷컴 코리아 인기 검색 종목은? (2021년 4월 19일~4월 25일)

입력: 2021- 04- 27- 오후 06:09
INTC
-
QQQ
-
GOOGL
-
QCOM
-
AMAT
-
AAPL
-
AMZN
-
LRCX
-
NVDA
-
TXN
-
HG
-
NFLX
-
AVGO
-
TSLA
-
META
-
ASML
-
005930
-
052690
-
003490
-
SOXL
-
GOOG
-
PYPL
-
XYZ
-
035720
-
096530
-
BTC/USD
-
FNGU
-
NKLA
-
QS
-
LCID
-
COIN
-

 인베스팅닷컴 코리아 유저들의 지난주(2021년 4월 19일~4월 25일) 최대 관심 종목은 무엇일까. 분야별로는 기술주·스팩주·임의소비재· 친환경 전기차 등이 눈에 띄었고, 암호화폐와 원자재에 대한 관심도 뜨거웠다.

 또한 한국 기업으로는 삼성전자 (KS:005930), 카카오 (KS:035720), 대한항공 (KS:003490), 한국전력기술 (KS:052690), 씨젠 (KQ:096530) 등이 인기 검색 종목으로 조사됐다.

투자의 모든것, 인베스팅닷컴


○ 코인베이스 Coinbase Global Inc (NASDAQ:COIN)

 지난 일주일 사이 비트코인 하락세에 코인베이스도 동반하락세를 보였다. 52주 최고가 대비 13% 이상 하락한 코인베이스는 가상화폐 가격과 거래량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하락 속 저가매수 기회를 투자자들의 매수세로 가까스로 반등에 성공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한 주동안 7901만달러(약 879억원)의 규모를 기록하며 테슬라 (NASDAQ:TSLA)를 제치고 순매수 순위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인베이스와 함께 페이팔 홀딩스 (NASDAQ:PYPL)과 스퀘어 (NYSE:SQ) 또한 많은 관심을 받고있다.



○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 (NYSE:SOXL)

 글로벌 반도체 대란 속 반도체 기업의 상승 흐름에 3배 베팅하는 SOXL ETF는 전형적인 하이 리스크·하이 리턴 종목이다. 하지만 반도체 공급 차질 및 수요 증가로인베스코QQQ 트러스트 (NASDAQ:QQQ) 보다 높은 매수세를 자랑했다. 이 종목에는 SOXX ETF와 마찬가지로 엔비디아 코퍼레이션 (NASDAQ:NVDA), 텍사스인스트루먼츠 (NASDAQ:TXN), 인텔 (NASDAQ:INTC), 퀄컴 (NASDAQ:QCOM), 브로드컴 (NASDAQ:AVGO),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NASDAQ:AMAT), ASML (NASDAQ:ASML), 램리서치 (NASDAQ:LRCX)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SOXL ETF의 수익률은 작년 한해 394.26%, 올해들어 35% 이상이다.


○ MicroSectors™ FANG+™ Index 3X Leveraged ETN (NYSE:FNGU)

 FNGU ETN은 이름만 보아도 알 수 있듯 페이스북 (NASDAQ:FB), 아마존닷컴 (NASDAQ:AMZN), 애플 (NASDAQ:AAPL), 넷플릭스 (NASDAQ:NFLX), 구글 알파벳 A (NASDAQ:GOOGL)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NYSE FANG+ 지수를 3배로 추종하고 있다. 3배 레버리지 상품인만큼 변동성이 높은 편이지만, 나스닥 지수가 조정장을 마무리하며 상승할 것을 예상하는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처칠캐피탈 IV (NYSE:CCIV)

 미국 증시 내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에 대한 관심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지난해 니콜라 (NASDAQ:NKLA)와 퀀텀스케이프 (NYSE:QS) 등이 뉴욕증시에 입성한만큼 IPO 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올해도 그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스팩이 상장하면 신탁계정에 자금이 보관되고, 미국 기준으로 2년, 한국 기준으로 3년 사이 합병 진행이 무산될 경우 투자자들은 공모가 수준의 원금 및 약간의 이자를 돌려 받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CCIV는 시티그룹 전 CEO인 마이클 클레인이 이끄는 처칠 캐피탈의 스팩으로, 올해들어 138% 이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원자재 구리 선물

 원자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거운 요즘이다. 칠레는 구리의 최대 생산국이며 중국은 최대 생산국이자 수입국으로, 최근 구리 가격은 2011년 8월의 톤당 9758달러 이후로 10년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생산 차질 및 칠레 광산의 노조 파업 및 중국의 저탄소 경제 전환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현지시간 22일 세계기후정상회의에서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선언한 바 있으며, 골드만삭스는 2029년 구리 수요가 900% 폭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신 의견

다음 기사가 로딩 중입니다...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5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