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상장 첫날 ‘따따블’ 터졌다…6일 증시입성 ‘케이엔에스’, 공모가격의 400%로 주가 마감](https://i-invdn-com.investing.com/news/external-images-thumbnails/pic601d1d7805103cead15583c854d602b9.jpg)

[주식 오전 시황 2020-07-08]
- 현재 시장은 어려움과 쉬움이 공존하는 시장이다.시장을 둘러싼 다양한 복합변수들에 대해 깊이있게 고민할 경우, 그리고 이전 시장에 대한 평가잣대를 기준으로 시장을 바라볼 경우 현재 시장은 상당히 어려워지게 된다.그러나 시장을 조금더 단순하게 살펴볼 경우 아주 쉬운 장이다.
- 주식시장의 존재 이유는 학술적으로 매우 다양한 이유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자본시장의 꽃이라 불리는 주식시장의 본질적 목적은 다양한 거래 대상을 올려놓은 후 그 대상을 이용한 인간 본성 내면에 자리잡은 욕심이라는 부분을 자극하는 것이 시장 본연의 본질일 것이다.
- 현재 코로나로 인한 경제절벽현상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리고 진행되는 과정을 통해 누구나 코로나가 단기간 내 마무리 되지 않을 것이란 것도 알고 있고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코로나로 인해 수많은 자영업자들 비롯 경제 주요 주체들의 경제활동에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것도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 이러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처로서 각국 정부는 무차별적인 현금살포를 단행하고 있다. 그로 인해 현금의 가치는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재화의 가격은 올라갈 수 밖에 없는 현실도 알고 있다.
- 이러한 현 국면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생각의 괴리는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코로나로 인한 발생하고 있는 부정적 견해를 바탕으로 세상을 바라볼 경우 모든 것이 비관적이 된다.반면, 코로나 이후 전개될 수 있는 부분에 포커스를 맞추고 바라볼 경우 비관적에서 벗어날 뿐 아니라, 코로나 이후 상황에 대한 기대도 할 수 있게 된다.
- 현재 전 세계적인 주식시장의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수많은 비관론적인 내용이 시장을 지배하는 가운데서도 시장을 불사조처럼 죽지 않고 꾸역꾸역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원동력은 결국 돈에 의한 결과물이며, 인간은 항상 돈에 굴복하며 살아가고 있기에 돈에 의해 지배되는 현재의 시장에 인간이 가지고 있는 돈에 대한 욕심이라는 부분이 결합되어 시장의 상승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 단순히 돈에 의해 지배되고 있고 있기에 혹자들은 현재의 상황이 버블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돈의 힘에 의해 주식시장의 상승이 이어지게 되면 실물 경기에 긍정적 작용을 하게 된다. 기업의 경제활동은 코로나로 인해 위축된 것이 사실이나, 일반 국민의 소비활동은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되어가고 있다. 기본소득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정부 차원의 재난지원금을 비롯 주식과 부동산 등 재테크를 통한 가처분 소득의 증가가 발생하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과정이야 어찌되었던 소비가 회복된다는 것은 결국 현재의 기업의 낮아진 공장가동율을 개선시키는 효과로 가져오게 된다.
- 저금리, 저물가 상태하에서 소비의 진작은 모든 경제 주체의 경제활동을 강화시켜주게 되는 절대적 요소가 된다. 경제 절벽 상황 속에서도 유가의 회복 물동량의 증가세, 각종 원자재 가격의 회복 등은 앞으로 경기 상황이 코로나로 인해 깊어진 불황은 나날들이 계속 이어지지 않고 벗어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아주 중요한 시그널에 해당된다.
- 오히려 코로나로 인해 3차 산업의 주체들은 점차 그 힘을 잃어가는 반면, 4차 산업과 관련된 비즈니스 활동은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다.
- 따라서 모든 종목의 주가가 올라야만 시장이 좋은 것이 아닌 것이다. 피해를 보는 쪽과 수혜를 보는 쪽이 극명하게 구분되고 있는 것이 바로 코로나로 인해 발생한 현상인 것이다.
- 주가는 성장 스토리가 상승을 이끌어가게 된다. 코로나로 인해 오히려 성장스토리가 더욱 탄탄해지고 있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더욱 시장에서 우선순위의 투자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수준에서도 여전히 비싼 종목과 싼 종목들이 공존한다. 단순히 시장에서 형성된 과거의 주가 대비 현재의 주가가 비싸냐, 싸냐의 논리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지금보다 앞으로 어떤 주식이 더 비싼 가격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냐에 대한 시각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 과거의 주가 대비 현재의 주가를 중요하게 바라보는 것과 현재의 주가 대비 앞으로 평가받게 될 주가의 관점에서 시장을 바라볼 경우 시장은 어려워질 수도 쉬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2020-07-08 주식시장 개장 전 방송]
By Lance Roberts (2023년 12월 05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매년 이맘때가 되면 월가에서는 미래를 예측하면서 다음 해의 S&P 5...
안녕하세요. RS스코어와 AI 엔진을 바탕으로 국내 주요 종목을 분석해드리는 '로보인베스팅'입니다. RS스코어 상위에 위치한 종목을 선정하여 관심주로 소개해드립니...
수요일 채권 경매가 낮은 수요를 이끌어낸 후 30년 만기 금리가 19bp나 오르는 등 미국 곡선 전반에 걸쳐 채권이 하락했습니다.여기에 예상치를 상회한 PPI와 ...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