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시가 조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 의장의 부채한도 증액 최종 담판을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다.
22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는 전 거래일 대비 140.05포인트(0.42%) 하락한 3만3286.58에 마감했다. S&P 500지수는 0.65포인트(0.02%) 오른 4192.6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62.88포인트(0.50%) 오른 1만2720.78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시장은 부채한도 협상과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에 주목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 의장은 현지시각으로 뉴욕증시 정규장이 마감되는 이후인 오후 5시30분에 만나 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다. 채무 불이행(디폴트)이 현실화하는 시점을 일컫는 'X-데이트'(6월 1일)를 딱 열흘 남겨놓은 시점이다.
현재 공화당은 정부 지출을 지난해 수준으로 줄일 것을 요구하고 바이든은 추가 증세 없이 삭감은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재닛 옐런 재무부 장관은 연방정부 부채한도가 상향되지 않을 경우 미국이 디폴트를 맞을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미 재무부의 현금 잔고가 다음 달 8일 혹은 9일이면 최소 보유 기준인 300억달러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달 금리 인상을 고수할 수 있다는 내부 인사 발언은 투자심리를 더욱 위축시켰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의 제임스 불라드 총재는 올해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더 인상해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매파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다음달 금리를 올릴지, 아니면 건너뛸지를 두고 (연준 내부의) 의견이 팽팽하다"며 "일부 인사들은 건너뛰자고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인상이 끝났다는 신호를 주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인사 모두 연준 내에서도 통화 긴축을 선호하는 매파 성향 위원들이라는 점을 고려해도 이번 발언은 강경했다는 분석이다.
알파벳(NASDAQ:GOOG)과 메타 플랫폼스 (NASDAQ:META)은 각각 2%, 1% 이상 올라 기술주 상승세를 주도했다. 애플은 루프캐피털이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류로 하향 조정한 가운데 0.55% 떨어졌다.
오안다의 에드워드 모야 수석시장분석가는 "부채상한 드라마가 심해지면서 대형 기술주가 월가에서 새롭게 선호되는 방어주가 됐다"고 말했다.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