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전경. (제공: 금융위원회)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 금융당국이 국내 보험사 경영진의 성과 보수체계와 공시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보험사의 단기 수익 추구 경향이 소비자의 신뢰를 떨어트리고 보험산업 성장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이유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9일 금융감독원과 보험연구원, 민간전문가, 보험업계와 함께 ‘보험사 단기실적주의 개선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회의에서는 국내 보험사의 경영진 보상체계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제도개선 방향 등을 논의했다.
경영진 보수가 중장기적 기업가치 제고 및 소비자 보호와 이어지도록 성과보수 및 주식기반 보상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또 경영진이 장기 기업가치를 훼손할 경우 성과보수도 환수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보험사 경영진이 단기간 실적만을 추구하게 되면 단기 점유율 확대를 위한 상품개발, 보험모집 과정에서의 불완전판매, 단기·고위험 추구 자산운용 등 문제점을 야기된다.
특히 최근 고령화·저성장·저금리 구조,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등 환경변화에 따라 보험사의 경영이 ‘단기수익과 외형성장’ 보다 ‘장기적 관점의 기업가치 제고와 소비자 보호’ 중심으로 전환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최고경영자(CEO) 등 국내 보험사 경영진의 성과보수 체계가 중장기 수익성 및 리스크 특성을 더욱 잘 반영할 수 있도록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번 회의에서 금융위는 국내 보험사의 경영진 보상체계와 관련해 3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임원 총 보수 중 성과와 연동되지 않는 기본급 비중(64.2%)이 높은 점과 ▲최소 이연 기간이 3년으로 짧다는 점 ▲성과보수 지급 방식이 기업가치와 연계되지 않는 현금 보상 비중이 높다는 점 등이 지적됐다.
보험연구원은 경영진 보상이 장기적 관점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성과보수 비중을 확대하고 현금 이외 주식 기반 보상을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고객만족도, 불건전영업 적발건수 등 보험 특성에 맞는 비재무적 지표 활용을 확대하고, 활용방법·기준, 평가결과를 투명하게 공시하는 방안도 내놨다.
금융위는 향후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금감원, 보험협회, 연구원, 보험업계로 구성된 ‘실무작업반’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경영진 성과평가 및 보수체계, 공시기준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올해 중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서연 기자 yoonsy052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