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때 수천억 원 규모로 거래되며 국내 대표로 꼽혔던 A 가상자산 거래소 대표는 현재 업계의 상황을 이렇게 전했다. 은행 실명계좌가 없는 가상자산 거래소의 원화 거래 지원을 종료케 한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시행 직후 A거래소의 거래량은 95%이상 고꾸라졌다. 거래량이 바닥을 찍은 상황에서 원화 전환의 희망까지 잃어버린 코인마켓 거래소는 사면초가에 몰렸다. 그는 "코인마켓 거래소 가상자산사업자(VASP) 라이선스의 가치가 0원이 되자 한때 활발했던 거래소 인수 논의도 뚝 끊겼다"며 "차라리 다같이 당국에 VASP 라이선스를 반납하자는 자조적인 농담을 할 정도”라고 토로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코인마켓 거래소 한빗코의 원화 전환 불발이 코인마켓 거래소 연쇄 폐업 사태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지난 2일 한빗코에 원화마켓 거래소 전환 변경신고 불수리 결정을 통보했다. 앞서 지난 8월 진행한 현장검사에서 특금법 위반사항이 적발돼 2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과태료 제재를 받은 것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한빗코의 원환 전환 신고 불수리 소식은 VASP 라이선스를 취득한 코인마켓 거래소 21곳에 큰 충격을 줬다. 이들 대부분은 그동안 거래 수수료 매출을 전혀 내지 못하면서도 원화 전환을 목표로 간신히 구색을 갖춰 운영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들려 온 불수리 소식은 원화 전환 가능성을 원천 차단한다는, 즉 기존의 4대 원화 거래소 체제를 벗어나지 않겠다는 메세지 아니냐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금융당국이 고팍스의 사업자 변경신고 수리 결정을 8개월째 연기 중이라는 사실도 이 같은 해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또 다른 코인마켓 거래소 대표는 “가상자산 시장에 가장 큰 타격을 입힌 테라·루나 사태 당시 원화 거래소들에서 자전거래가 이뤄졌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한빗코와 같이 이례적인 규모 과태료 처벌을 받은 케이스는 전무하다”며 “당국의 말을 듣지 않고 원화 전환을 시도한 한빗코에 보복성 제재가 가해졌다는 인상”이라고 성토했다.
실제로 원화 전환을 포기하고 문을 닫을 채비를 하는 거래소도 속속 나오고 있다. 코인마켓 거래소 캐셔레스트는 지난 6일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캐셔레스트는) 코인마켓 거래소 가운데 나름 규모와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아온 터라 소식을 듣고 놀랐다”며 “한빗코의 불수리 이후 대주주가 투자를 끊기로 결정하면서 서비스를 중단했다는 이야기가 들린다”고 전했다. 한빗코 역시 거래소 운영을 중단할 가능성이 높다. 한빗코 최대주주 티사이언티픽이 과태료 및 원화 전환 무산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며 이전 최대주주와 한빗코 경영진을 대상으로 법적 대응에 나섰기 때문이다. 나머지 거래소들 역시 구조조정에 들어가거나 임금체불 논란에 휩싸이는 등 최악의 위기를 맞은 상태다.
업계에선 당국의 모호한 태도가 화를 키웠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당국이 당시 ‘모든 거래소에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표현하지 않았다면 지난 2년간 실명계좌 획득을 위해 그렇게 많은 돈과 시간을 쏟아붓지 않았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원화 거래 지원을 위한 실명계좌를 획득하더라도 여전히 변경신고 수리 과정에서 절대 ‘갑’인 당국의 승인 여부에 마음을 졸일 수밖에 없다. 8개월째 사업자 변경신고 수리만 오매불망 대기하고 있는 고팍스는 당국의 심사 기한이 언제까지인지도 안내받지 못하고 있다. 고팍스 관계자는 “당국에 신고수리 기한을 물을 수 없는 입장이기에 그동안 거래소 운영에 최선을 다하면서 능력을 증명하는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