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이슈
주목 받은 상품시장 폭락 어제 일부 상품이 폭락세를 보이자 시장의 시선이 일제히 상품시장에 몰렸습니다. WTI가 3.4% 가량 하락했고 천연가스의 하락폭은 더 컸습니다. 중국이 부동산 시장 부양을 위해 모기지 금리를 인하한 것 외에도 몇 가지 조치를 단행했음에도 구리와 니켈은 크게 하락했습니다(LME상 각각 1.1%와 2.2%). 구리는 전기배선에 사용되고 니켈은 강철을 만드는데 사용되므로, 이 두 금속이 크게 하락했다는 것은 중국의 이번 조치를 신뢰할 없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농산물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옥수수는 전망치를 웃돈 재고 증가 소식에 5년래 저점까지 하락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지난 2008년 이후 3분기는 공급 증가, 중국 성장률 둔화, 달러화 상승으로 인해 상품시장이 가장 취약한 분기였습니다.
당연하지만 AUD와 CAD가 G10 중 가장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NZD도 하락했지만 AUD와 CAD 만큼은 아니었는데, 이는 NZD가 최근 계속해서 약세를 보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상품가격이 하락하면 유럽이 수혜를 받을 수 있지만, 유럽은 디플레 우려가 커서 상품가격 하락은 ECB가 물가 목표를 달성하기 더 어려워지는 결과만 되므로, 이는 EUR에 부정적입니다. 그러나 상품가격 하락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통화는 여전히 3개 원자재 통화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품가격 하락이 EM 통화에 주는 영향은 예상했던 방식과는 달랐습니다. 원자재 수입국인 KRW와 PLN이 가장 약세를 보였고, 그 다음이 원자재 수출국인 ZAR였습니다. 한국 정부가 원화 약세 유도를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할 것이라는 주장이 영향을 줬을 수 있습니다. 러시아 정부가 자본통제를 논의했고, 유가 급락에도 RUB의 하락폭은 그렇게 크지 않았습니다. 석유 수출국인 MXN은 USD 대비 상승했습니다.
단칸 지수: 일본은행(BoJ)의 단기 경기동향지표인 단칸지수는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왔습니다. 대형제조업체의 경기동향지수는 떨어졌을 것이란 예상과 달리 상승했고, 대기업의 설비투자지출 전망치가 크게 상향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결과는 엔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고, 실제로 초기에는 이 예상을 따랐지만, 금일 전체적으로는 단칸 지수 증시 USD/JPY의 순서인 것으로 보입니다. 증시가 조금 오르자, USD/JPY도 소폭 상승(즉, 엔화 약세)으로 돌아섰습니다. 어쟀든 추세는 필자가 예상했던 대로이며, 아래 기술적 분석에서 언급한 것처럼 USD/JPY는 더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일 지표: 수요일인 오늘은 유럽 PMI(최종치)의 날입니다. 영국을 포함한 일부 유럽국의 9월 제조업 PMI와 유로존 전체의 PMI 최종치가 먼저 발표됩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독일, 유로존 전체의 PMI에 대한 전망치는 초기 예측치와 동일합니다. 영국 제조업 PMI는 52.5에서 52.7로 소폭 상승했을 것으로 예측되므로 GBP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NFP 발표를 이틀 앞두고 9월 ADP 고용보고서가 나옵니다. 이번 9월 ADP 보고서는 민간부문 고용이 전월 대비 소폭 늘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USD에 도움을 줘 USD 랠리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9월 Markit 서비스 PMI 최종치와 9월 ISM 비제조업 지수도 나옵니다.
캐나다에서는 9월 RBC 제조업 PMI가 나오는데 전망치는 없습니다.
수요일인 오늘은 고위관료 발언이 없습니다.
상품<
화요일에 급락한 EUR/USD
EUR/USD는 어제 유로존 9월 CPI가 2009년 11월 이후 최저 수준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자 급락했습니다. 지지에서 저항으로 바뀐 1.2660을 하향 돌파한 후 1.2568(S1)에서 지지를 받았습니다. 모멘텀 지표를 살펴보면 양 보조지표가 과매도권을 따라 움직이고 있습니다. RSI가 30선에서 있는 가운데 하방을 향하고 있고, MACD는 시그널선을 하향 교차했습니다. 이러한 모멘텀 신호는 하락 흐름이 더 이어질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일봉 차트상으로는 고점과 저점이 낮아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하락국면이라는 기존 관점을 유지합니다. 1.2568(S1)을 하회한다면 심리적 지지선인 1.2500(S2)까지 하락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지지선: 1.2568 (S1), 1.2500 (S2), 1.2460 (S3).
• 저항선: 1.2660 (R1), 1.2693 (R2), 1.2760 (R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