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지난주 리뷰
주간단위 코스피지수 1.04%하락. 코스닥 1.03%하락
원/달러 환율 6거래일 연속 연고점 경신에 하방압력 강화(7일 1,388원 도달. 13.5년래 최고치)
추석 휴장 기간, 미국증시 주후반 3일연속상승(주간단위 다우 +2.7%, 나스닥 +4.1%)
ECB정책금리 75bp 금리 깜짝인상, 9월 미국 FOMC 75bp인상 가능성 91%까지 증가
푸틴, 천연가스에 이어 모든 에너지 공급 차단 경고. EU는 러시아산 에너지 가격상한제 도입 논의
긴축기조 재확인, 유럽 에너지불안에도 달러, 국채금리 추가상승 제한
2.금주 예상 및 투자아이디어
과매도권에서 위험선호 심리 개선 예상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금지되는 블랙아웃 돌입(긴축관련 뉴스플로우 감소 예상)
경제지표와 3분기 실적시즌으로 시선 이동(실적 추정치 상향 종목군에 집중필요)
인플레이션 하락에 대한 낙관론 강화, 달러 상대약세전환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 기대
미국 소비자물가 전월대비 0.1% 하락 예상(예상대로라면 20년 5월 이후 2년 3개월래 처음)
9월 13일(화):미국 8월 CPI(7월 8.5%대비 둔화된 8.0~8.1% 예상)
9월 14일(수):미국 8월 PPI(생산자물가)
9월 16일(금):미국 선물옵션 동시만기일
3.신규활용 가능 종목군
해상운임 하락 수혜주 실적 개선 초입 국면으로 판단
국내 기업들의 판관비 중 물류비가 가장 높은 비중(약 2.6%차지)
원재료 매입과정(재고자산 금액에 반영)까지 감안하면 실질비중은 더 높을 듯
물류비 감소수혜가 크면서 중국 수요감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종목군들의 실적개선 주목
상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9일 2,562.12 (전주 대비 10% 하락,09년 10월(통계작성 시작)후 주간 최대 하락률)
올해 초 SCFI 5,100선 돌파 역대최고치 기록 후 중국봉쇄,경기침체 우려로 약60%하락
발틱운임지수(BDI)도 올해 초 대비 절반 수준(철광,석탄선 수요 감소)
탱커선 운임의 경우 1월 대비 약2배 상승(유럽국가들의 러시아 수요를 미국,중동으로 대체)
관련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KS:161390): 원재료(고무가격)/물류비 하향 안정화와 판가 인상에 따른 실적턴어라운드 예상 미국증설발표로 IRA법안 통과 수혜 기대
명신산업 (KS:009900): 테슬라 (NASDAQ:TSLA) 1차 벤더, 현기차 2차벤더로 핫스템핑 부품(경량화 차체부품) 납품 21년 기준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 10.3%(20년 4.9%).
전기차용 경량화 차체부품 판매 급증 기대(테슬라향 67%,현대기아 등 33%)
- 엑스원의 'MC게보린'은 개인투자자들 편에 서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