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지난주 미국과 글로벌 증시는 미 연준의 테이퍼링 우려로 조정. 하지만, 2013년 5월의 예에서 보듯, 그 조정의 폭이 크지 않고, 기간도 짧을 것 예상.
최근 변동성 확대로 가치주와 성장주의 상대적 매력도 점검이 필요. 다시 가치주와 방어주의 수익률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하지만, 펀더멘털 기준 성장주 65~70%, 가치주 30%~35%전략이 가장 적절하다 판단.
미국 증시는 향후 2023년 하반기까지 40% 이상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 여전히 나스닥의 매력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
테이퍼링 우려, 시장 흔들기는 잠시 동안 나타난 현상?
지난주 미 증시는 3대 지수 모두 하락, 특히 중소형 러셀 2000의 하락 폭이 가장 컸던 1주다. 하지만, 주간 마무리는 지수 모두 제법 큰 폭의 반등을 나타냈다.
올해 미국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미국의 러셀 2000 중소형주 관련 ETF IWM의 흐름을 보면, 2021년 주식시장의 흐름이 아주 좋지만은 않게 보인다. 작년 3/4분기부터 적극 추천을 드린 IWM.US 중소형주 투자의 경우 올해 3월을 고점으로 비중 축소를 말씀드렸는데, 지난 반년 동안 박스권에 갇혀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중소형주 지수는 여전히 기술적 바닥을 여러 번 도달하는 추세를 보였고, 최근에도 그 바닥을 다지고 다시 반등하는 모습이다.
중소형주뿐만 아니라, 미국 나스닥의 흐름도 지난 2020년 바닥 대비 높은 수익률을 큰 폭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올해 연초 대비 14.17%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올해 초 대비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는 미국 S&P 500 지수를 살펴보면, 연초 대비 18.25%의 상승으로 다른 지수들 대비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1년 동안의 수익률은 미국 나스닥의 수익률 보다 높다.
실제로 미국의 대표 기술주들의 주가 흐름을 보면, 작년 바닥 대비 200% 상승하면서 다른 글로벌의 어떤 지수들 보다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지만, 지난 6개월간은 쉬어가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그만큼 바이든 정부 이후 대형 기술주의 반독점 법 관련 우려가 나타나는 상황이다.
지금까지의 미국 증시 흐름을 짚어보면, 미국 증시는 아직 한참 더 상승할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시장 흐름에 있어서 상승 주체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당연히 변동성이 심했던 미국의 국채 금리 추이, 원자재 가격의 급등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확대 추세, 테이퍼링의 가속화 등 상대적으로 확실한 투자 전략을 세우기에는 지수들의 상승도 두드러졌고, 일정 부분의 숨 고르기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성장주 vs. 가치주: 큰 의미 부여가 어려운 시기
미국 증시의 흐름을 보면, 지금 성장주 vs 가치주 투자의 논란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올해 초 대비, 성장주와 가치주의 수익률 차이는 그렇게 높지 않다. 성장주가 여전히 수익률이 더 좋지만, 그 폭은 1.3% 포인트 정도로 아주 크지 않다.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방어주들의 주가 흐름이 좋았다.
현재 미국 S&P 500와 나스닥의 상대적 매력도를 밸류에이션과 잔존가치 모델로 들여다보면, 여전히 성장주(나스닥)의 매력도가 가치주(S&P500)의 매력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그 폭의 차이가 놀랍지는 않다. 따라서, 기본적인 투자 전략인 7:3 전략 또는 65%:35%로 성장주: 가치주 전략을 유지한다.
최근 코로나19 델타 변이에 대한 우려로 중소형주의 주가 흐름이 좋지 않다. 하지만, 밸류에이션을 들여다보고, 잔존가치 모델을 돌려보면, 장기적인 매력도는 조금 떨어지지만, 그래도 여전히 2023년 하반기까지 중소형주의 주가는 40% 이상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증시는 여전히 매력적: 골디락스 구간 향후 몇 년간 이어질 것 예상
최근의 기업 실적의 흐름을 보면, 미국 증시는 여전히 그 매력도가 높게 나타난다. 지난 2분기 실적 발표 내용을 보면, 87%가 예상치보다 더 높은 이익을 발표했고, 그 폭은 자그마치 17%나 더 높았다. 또한, 매출도 87%가 예상치 보다 더 높은 매출을 발표했고, 그 폭은 4.9%나 높았다.
올해 들어서 크게 높아진 일부 생산자 물가 지수로 미국 기업들의 마진율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상존한다. 실제로, 최근 CPI에서 PPI를 뺀 수치는 -2%를 넘어서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런 추세가 올해 1분기, 2분기 지속되었지만, 미국 S&P 500의 순이자 마진율은 보면, 지난 2분기에는 13.0% 수준으로 지난 1분기 12.8% 대비 더 높은 수치가 나오고 있다. 실제 예상치는 12.4%로서 더 낮아질 것을 예상했지만,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이다. 그만큼 생산성 확대가 일어나고 있고, 대형 500개 기업들의 원가관리 및 인수합병을 통한 구조적인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판단된다. 향후 3분기의 영업마진율이 하락할 확률이 높지만, 여전히 미국 기업들은 높은 순이자 마진율을 지속해서 유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현재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를 보면, 1.03% 포인트로 아주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10년 손익분기점 인플레이션은 2.27% 정도로 나타나고 있고, 5년 미래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2.14%가 나타나고 있다.
이런 수치들은 향후 미국의 인플레이션 2%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낼 것이라 예상한다. 높은 CPI와 PPI의 상승률은 향후 2% 선에서 크게 변하지 않는 아주 안정적인 모습을 점차 보이게 될 확률이 상당히 높아 보인다.
이런 과정에서 현재 미국 S&P500 기업들의 현금 흐름은 양호해 보이고, 최근 자사주 매입 규모도 역대 최대치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애널리스트들의 투자 추천은 지난 10년이래 최고인 50~55% 이상의 매수 의견이 나오고 있지만, 이는 거품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과거 닷컴 버블 시기의 70% 이상과는 아직 거리가 멀다. 개인적으로 미국 증시는 향후 2년 동안 아주 큰 폭으로 추가 상승할 것이라 예상한다. 그리고 그 상승폭이 엄청난 거품 수준으로 나타날 확률도 배제할 수 없다 판단한다. 따라서, 미국 증시 투자는 지속적으로 적극 추천드린다.
특히, 나스닥을 보면, 과거 적극적인 부양책과 함께 미국 증시는 4년 동안 테이퍼링이 언급되기 전까지 179% 상승했다. 이후 테이퍼링 뉴스와 함께 6.7% 하락하지만, 그 후 2년 이상 58.8%나 추가 상승을 했다. 현재 미국 나스닥은 코로나19 바닥 대비 125% 상승했다. 그리고, 아주 일시적으로 테이퍼링 이슈로 고점 대비 약 3.2% 정도 조정을 받았다. 전 사이클의 1/2 수준의 조정이다. 이 부분에서 여러 펀더멘털과 차트를 분석해 볼 때, 향후 미국 증시는 2023년 하반기까지 나스닥의 경우 적어도 40% 이상 상승을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지금부터 10월 말까지 지속해서 미국 QQQ, SPY, IWM을 저가 분할 매수하는 구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