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포인트
1. 저가 철근제품 수입 감소로 제품가격 상승추세로 전환
2. 일관성 있는 배당정책
3. 향후 주당순자산 92.261원 예상
4. 중국 수입 제품량 감소 추이
◈ Q&A
Q: 철강업황은 좀 어떻습니까?
A: 좋다. 물량이 괜찮게 나간다. 영업하는 데 큰 문제는 없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모호한 측면이 있다.
Q: 철근 부족사태 되면 원가 상승을 가져다가 전가하는 데 쉽지 않나?
A: 철근은 건자재다. 공급자의 일방적인 가격결정이라던지 이런 흐름은 아니다. 다른 제품들 같이 원재료의 가격 전가성이 크지는 않다. 대신 기존까지는 제강사 대표하고 건설사 대표하고 만나서 어떻게 하자 해서 결정이 됐는데 그게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담합에 소지가 있으니 하지 말라고 해서 이번 분기부터는 그런 가격결정구조를 하지 않고 있다. (3분기부터) 각 제강사들이 7월초에 가격을 발표를 했었고 현대제철이 62만 5천원. 다른 제강사들은 7월달에 62만원, 8월 중순에 1만 5천원 해서 63만, 64만까지 변경 했다. 현대제철이 지분을 차지하는 것이 30% share 차지함. 건자재 측에서는 현대제철 가격이 기준 가격인 것이다.
Q: 모 건설기업에서 철강사들이 물량을 안 줘서 마진 없이 딜리버리 한다고 하더라
A: 시중에 물량이 없어서 그런다. 쇼티지가 나면 수입이 들어와야 하는데 수입이 못들어오는 상황이다.
Q: 수입은 얼마냐
A: 환산가격이 67만원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Q: 현재는 수입이 더 비싸다.
A: 앞으로 당분간은 이 기조가 유지 될 것이다.
Q: 걱정 되는게 정부에서 전기 얘기하는데 위험하지 않냐?
A: 원재료 가격이 제일 크다. 전기로를 운영하다보니 전기가 크다.
Q: 전기 얼마만큼 차지하냐
A: 연간 700억 이상 넘으니까 매출액 비중 약 10% 될 것 같다.
Q: 전기 인상을 호재로 보는 쪽도 많다.
A: 한정된 시장이다 보니. 각 회사들의 원가는 큰 차이가 없다. 기술적인 측면이 크지 않다 보니 각 제강사들이 산업용 전기 원가 반영이 노력을 많이 할 것으로 본다
Q; 국내 공급율이? 수요는?
A: 1100만톤 정도. 수요를 보면 1000만톤 이상이다. 예전에는 수입을 가지고 룸에 대한 조절이 있었다면 올해는 그런 부분이 조금 덜한 생각이 든다.
Q: 동국제강 캐파가 얼마냐?
A: 200만톤 되지 않을까 한다 잘은 모르겠다.
Q: 스크랩하면
A; 기존 50-60만톤 폐쇄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Q: 비수기
A; 1-3분기. 3분기가 휴가시즌이 있고 폭염이 있고 건설현장이 조금 돌아가기가 어렵다. 4분기 같은 경우는 (요즘은 12월도 공사를 많이 한다) 추석이 끼고 해서 영향을 조금 받는다.
Q: 2분기가 항상 피크다.
A: 그렇다.
Q: 작년에도 배당 900원 나왔는데 올해도 주면 키스코에서 뭐라고 안하냐
A: 걔네도 800억 넘게 가지고 있다. 아무래도 주주들이 전화를 주면 그 부분을 제일 관심 있어 한다. 계속 900원 주니 주주들이 화나있다.
Q: 총리가 SOC 줄인다고 했다.
A: SOC하고 직접적으로 연결은 사실 아니다. 우리는 아무래도 주택이 제일 크다. 민간 공급이 더 많으니까 일정 부분 진행되지 않을까 한다. 내 생각에 앞으로 그렇게 급격하게 줄지는 않을 것이다.
Q: 올해 특별히 매출이 줄어들 수 있냐? 2분기도 gross는 조금 줄었다
A: 판매량은 큰 차이가 없다. 가격이 어떻게 결정이 되느냐에 따라 흐름이 정해진다.
Q: 단조는 어떻냐?
A: 어렵다. 다들 어렵다.
Q: 조선 때문에 어려운거냐?
A: 그렇다.
Q: 남아있는 단조 때리는 데는 몇 군데 있냐?
A: 경쟁업체다 하는 정도는 두산중공업 (제일크다), 두산에서 못하면 우리한테 내려주기도 한다. 그 다음이 세아베스틸, 태웅, 현진소재 이정도인 것 같다. 그 다음에 세아창원특수강.
Q: 우리가 단조부분에서는 개선 될 여지는 없네
A: 그렇다.
Q: 중소형 단조사들은 다 지금 도산 당했냐
A: 내가 보기엔 그렇다. 알고 있던 유니슨, 마이스코 이런 애들 다 업종 전환했거나 청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