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박스]▶기사 게재 순서①'세계 4위 인구 대국' 인도네시아를 아시나요②니켈매장 1위 인니… K-배터리 생명줄 쥔 자원보고①[르포] 인니에 이식된 '제2의 포스코 (KS:)' 크라카타우포스코②[인터뷰] "인니 철강 성장성 커… 투자 확대로 매출 2배 늘린다"③[르포] LS전선의 아세안 전초기지 'LSAGI'를 가다④[인터뷰] "인니, 플랜트 확대에 전선 수요 급증… 캐파 2배 늘릴 것"⑤HD현대건설기계, 인니 사업 본격화… "현지 톱5 업체로 도약"⑥롯데케미칼, '라인 프로젝트'로 인도네시아 시장 정조준⑦LX인터내셔널, '전략 지역' 인니서 미래 유망 사업 박차⑧현대차그룹 '아세안 전동화 드라이브' 핵심 기지 ①[인터뷰] "인니 공략 만만찮아… 韓 기업, 중·일 네트워크 뚫어야"②[인터뷰] "한국식 기업운영, 인니서 100전 100패"③[인터뷰] "기술력 뛰어난 韓 기업… 신도시 구축 프로젝트 함께 하고 싶다"[소박스]인도네시아 수도면서 비즈니스 거점인 자카르타에 한국 기업들의 현지 진출을 돕는 기관이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KOTRA) 인도네시아 비즈니스협력센터다. 인도네시아 정부에 한국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문제 해결에 나선다.지난해 12월 현지에서 만난 이효연 코트라 인도네시아 비즈니스협력센터장은 현지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보면서도 사업 환경이 녹록지는 않다고 했다. 인도네시아에 먼저 자리 잡은 중국과 일본의 현지 네트워크를 뚫어야 하고 보호무역 정책에도 대응해야 해서다.━
수십 년 전부터 자리 잡은 중·일… "극복 쉽지 않아"━최근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는 인도네시아 진출이 화두로 떠올랐다. 인도네시아는 인구 4위(약 2억8000만명) 대국으로 시장 규모가 크고 연간 경제성장률도 5% 안팎으로 높기 때문이다. 한국 기업이 앞서 진출했던 중국·베트남 등 신흥 시장의 성장이 주춤한 것도 인도네시아에 관한 관심을 키운다. 이 센터장은 "중국과 베트남을 떠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해외에서 사업을 진행한 적 없는 기업들도 인도네시아 투자·진출 관련 문의를 하는 경우가 늘었다"고 말했다.인도네시아가 매력적인 시장인 것은 맞지만 쉽게 생각하면 안된다고 이 센터장은 조언한다. 중국과 일본이 장악하고 있는 사업 네트워크를 뚫기 어려운 탓이다. 중국은 1960년대 전후부터 인도네시아에서 사업 기반을 닦았다. 수하르토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에 의해 화교의 공직 진출을 막히자 사업에 집중적으로 나서며 세력을 키웠다. 현재 인도네시아 주식시장 시가총액 1~20위권 기업 대부분이 화교 자본 소유다.일본은 1950~1960년대 인도네시아에 진출했다.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공장 등 사업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데 힘을 쏟았다. 제조업뿐 아니라 요식업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분야에도 진출해 인도네시아 국민들의 삶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인도네시아 국민들 역시 기반 시설을 구축해 준 일본에 우호적이라고 한다. 인도네시아 주요 식당가에 일식당이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일본 친화적인 문화가 자리잡았다.이 센터장은 "인도네시아에서 부유한 사람들은 대부분 화교"라며 "화교가 현지 상권을 장악했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일본도 인도네시아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 덕분에 현지에서 인식이 좋은 편"이라며 "중국과 일본이 오랜 기간 두텁게 쌓아 온 네트워크는 한국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진출을 방해하는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부연했다.━
"보호무역 정책과 불확실한 정치환경 고려해야"━
보호무역 정책도 인도네시아 사업에 어려움을 더한다. 현지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원부자재 수입이 필요한데 인도네시아 정부가 이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재료부터 완제품까지 현지에서 생산하는 '메이킹 인도네시아 4.0'이 대표적 예다. 인도네시아에서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하지 못했거나 현지에 신규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타격이 크다. 한국에서 고강도 강철판을 수입해 현지에서 유통하던 A기업은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규제로 난관을 겪고 있다.불확실한 정치 상황도 걱정거리다. 인도네시아는 다음 달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는데 통상 개표하는 데 한 달 정도 소요된다. 득표율 50% 이상 후보자가 없으면 결선 투표를 치른다. 결선 투표까지 진행될 경우 오는 10월은 돼야 정권이 이양될 수 있다. 이 기간 현 정부가 추진하던 산업 관련 정책이 답보할 가능성이 높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과거 정부가 추진하던 정책들은 백지화될 가능성도 있다.이 센터장은 "합리적인 수준에서 수입규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인도네시아 정부를 계속 설득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의 고충이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지 정부 정책이 변했을 때 기업들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 파악에도 힘쓰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기업의 인도네시아 사업, 적극 지원할 것"━
이 센터장은 국내 기업들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인도네시아 사업을 원활히 펼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다짐한다. 인도네시아 정부 부처를 끊임없이 넘나드는 이유도 한국 기업들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 센터장은 "인도네시아 정부 부처 관계자를 자주 만날수록 보람을 느낀다"며 "더 나은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의 다양한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인도네시아 비즈니스협력센터의 영향력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 기업이 인도네시아에서 신사업을 문제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를 상대로 관련 규정 신설을 요구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특정 지역에 한국 기업이 진출할 만한지 정보를 얻기 위해 지방정부와의 소통도 활발히 할 방침이다.이 센터장은 "한국 기업에 유리하도록 인도네시아 정부 정책을 바꾸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국내 기업들이 사업을 펼치는 데 애로사항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정부가 알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사업 환경 변화에 기업들이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한국 기업들이 성과를 거두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다"고 강조했다.
머니S에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