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셔터스톡
중국 증시가 하반기 반등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리오프닝으로 인한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부진하면서 지난 5월 중국 증시는 하락세를 보였다.
5일 상해증권거래소와 심천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2일 중국 주요 증시는 일제히 반등했다.
이날 중국 본토의 상해종합는 3230.07, 심천종합지수는 10998.08로 장을 마치며 전 거래일보다 각각 0.79%, 1.5% 상승했다. 홍콩증권거래소의 H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53% 급등해 6428.33으로 장을 마쳤다.
중국 주요 증시의 반등은 미국의 부채한도 합의안이 하원을 통과하고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이 점쳐지면서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오른 영향이다. 같은날 코스피는 1년 만에 2600선을 돌파하고 일본의 닛케이225지수는 1990년 7월 이후 약 3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아시아 증시의 긍정적인 흐름과 달리 하반기 중국 증시의 향방에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지난 5월 중국 증시의 성적은 좋지 않았다. 상해종합지수와 H지수가 각각 3.6%, 8.0% 하락하는 등 저점을 찍으며 한 달간 외국인 자금이 121억위안(한화 2.2조원) 가량 순유출됐다. 가장 큰 이유는 리오프닝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기 지표들이 잇달아 시장 예상을 밑돌면서 중국 증시는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상승분을 반납했다. 중국의 소비 회복은 예상보다 미진했다. 4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4%, 5.6% 늘어나 회복세를 보였지만 시장 전망치인 21.0%, 10.9%에는 미치지 못했다.
제조업 회복 지연도 두드러졌다. 구매자관리지수(PMI)는 서비스업 분야에서 4개월 연속 확장 국면으로 드러난 반면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월 49.2에 이어 5월에도 48.8을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이어갔다. 제조업 PMI는 전국 700개 이상 제조업 구매담당자에 신규 주문, 출하량, 생산, 재고, 고용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해 산출한다. 50 이하면 경기가 위축 국면에 있다는 의미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 지표는 리오프닝 수요와 작년 낮았던 기저효과로 인해 소비를 중심으로 개선세가 나타나고 있으나 제조 생산활동의 회복은 상대적으로 더딘 상태”라며 “시장은 이번주 발표될 중국의 수출과 수입이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생산자물가 상승률 역시 마이너스 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소비 회복에 필요한 취업률은 낮아졌다. 4월 중국 청년층(16~24세) 실업률은 전월보다 0.8%포인트 오른 20.4%로 2018년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물가까지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불거졌다.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0.1%를 기록하며 예상치(0.3%)를 밑도는 동시에 2021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CPI의 선행지수로 간주되는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전년보다 3.6% 하락하며 전월(-2.5%)보다 낙폭을 키웠다.
위안화 가치 하락도 외국인 자금 유출 속도를 가속화했다. 지난 5월 19일 위안화 환율 7.0356위안을 기록하는 등 달러당 7위안을 돌파하는 ‘포치(破七)’ 현상이 발생하면서 환손실 리스크가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30일에는 2022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7.1위안을 돌파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반기 중국 경기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체감 소득이 회복세에 들어섰으며, 여전히 남아 있는 재고 부담이 하반기 중 안정될 것으로 보이고, 부동산 시장 역시 주택가격과 유동성이 회복되는 등 정상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이유다.
다만 리스크는 산재한다. 김진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민간 수요, 정책 모멘텀, 미-중 갈등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계 수요가 부족한 반면 청년층 고용은 불안정한 데다가 부동산 시장은 신규 착공이 거의 이뤄지지 않아 양극화 상태에 있다.
전문가들은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정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통화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들었다. “중국 정부가 고용 분야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용 회복 속도가 지연될 경우 중국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LPR을 지난해 8월 인하 이후 아홉 달 연속 동결한 상태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부양 정책 가능성에 보다 무게를 실었다. 신 연구원은 “7월 정치국회의에서 정부가 부동산 기조를 전환하고 강한 부양책을 펼쳐야 업황 개선세가 이어질 수 있다”며 “미-중 기준금리차가 크게 벌어진 상태라 통화 정책 운신의 폭이 제한된 만큼 금리 인하에 대한 가능성을 높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당분간 중국 증시의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저평가 매력이 부분적으로 해소돼 증시 상승으로 이어지기 어렵고 7월 정치국회의 전까지 정책 공백기로 상승 모멘텀이 부재할 것이라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