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장쑤성 난징의 헝다 아파트. [사진=뉴스1]
[시티타임스=중국/일본] 중국 정부의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경기는 회복 조짐이 뚜렷하지 않다는 진단이 나왔다. 서비스업·제조업 경기 하방 리스크는 완화됐지만, 부동산 경기는 단기간에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23일 펴낸 해외경제포커스에는 이 같은 내용의 '중국의 부동산경기 상황 및 정부 부양책에 대한 평가' 보고서가 실렸다.
보고서는 "부양책 도입 이후 소비·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완화되고 있으나 부동산 부문은 아직 회복 조짐이 뚜렷하지 않은 모습"이라며 "주택가격, 신규착공 및 투자 모두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주요 부양 조치가 실제로 시행된 국경절 연휴 기간 이후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됐으나, 10월 들어서도 신규 주택 판매가 여전히 과거 수준을 하회하는 등 회복 조짐이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021년 하반기 이후 중국의 부동산 경기는 규제 강화, 제로 코비드 정책 등의 영향으로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과거 부동산 경기 하강기(2008년, 2014~2015년)에 비해서도 하강 폭이 클뿐만 아니라 장기간 이어지는 상황이다.
중국의 부동산 경기 침체는 금융시장 불안으로까지 전이됐다. 올 하반기 비구이위안(Country Garden) 등 부동산 개발기업의 유동성 리스크가 부각되고 중롱신탁의 신탁상품 환매가 연기되는 등 금융 불안이 불거지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위안화 환율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그나마 중국 정부의 부동산 부양 조치 도입으로 상황은 나아졌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는 주택구입 제한 완화, 모기지 금리 인하 등 수요 촉진책을 시행하는 한편 대도시 빈민촌 재개발 계획도 발표했다"면서 "또한 전기차·가구·가전제품 구매지원, 소비쿠폰 발행 등으로 민간 수요 확대를 도모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재정·통화정책 역시 완화한 바 있다.
보고서는 "종합해 보면 정부의 부양 조치 등에 힘입어 중국경제의 하방 리스크는 다소 완화됐다"면서 "3분기 중국 경제는 소비를 중심으로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보였으나 부동산 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부동산 개발기업의 디폴트 가능성도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경기가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중국 부동산 경기의 향방과 정책적 대응에 따른 파급 영향 등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