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를 매도할 때인가요? 7월 추천 주식 목록 받고 프로픽 AI에서 매도 타이밍 확인하기 🤔50% 할인받기

125년 타이어만 만들던 미쉐린…'디지털 옷' 입고 서비스社로 변신

입력: 2018- 11- 02- 오전 02:12
125년 타이어만 만들던 미쉐린…'디지털 옷' 입고 서비스社로 변신
IBM
-

프랑스 타이어 제조업체 미쉐린이 트럭업체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처음 내놓은 건 2000년이었다. 매달 약간의 수수료를 받는 조건으로 타이어를 관리해주는 모델이었다. “타이어만 팔아선 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타이어 관련 서비스로 사업 영역을 넓히려는 시도였다. 반응은 싸늘했다. 이 정도 서비스에 지갑을 여는 트럭업체는 찾기 힘들었다. 미쉐린은 포기하지 않았다. ‘서비스로서의 타이어(tire as a service)’란 콘셉트는 그대로 유지했다. 대신 여기에 디지털을 입혔다.

타이어와 엔진에 자그마한 센서를 부착했다. 이를 통해 트럭별 연료 소비량, 타이어 압력, 속도, 위치 등의 정보를 수집한 뒤 트럭업체에 타이어 교체 시기, 운전습관 개선사항 등을 알려주는 서비스를 2013년 시작했다. 타이어 교체 주기가 15% 늘어나고, 100㎞당 2.5L의 연료가 절약된다는 소식에 차량 수십만 대가 회원으로 등록했다. 새로운 사업모델이 성공하자 미쉐린은 이런 선언을 했다. “우리는 더 이상 타이어 제조업체가 아니다. 디지털 서비스업체다.”

○디지털로 새로 태어난 미쉐린

20여년 전만 해도 미쉐린과 디지털이 어울리는 조합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역사(1889년 설립)로 보나 사업 영역으로 보나 미쉐린은 전통 제조업을 대표하는 기업이었다.

미쉐린 경영진은 미래를 다르게 봤다. 디지털이 세상을 바꿀 것이며, 이 흐름을 타지 못한 기업은 업종에 관계없이 도태된다고 생각했다. 디지털에 맞게 시스템을 하나둘씩 바꿔나갔다. 공장 직원들에게 디지털 시계를 지급해 시간대별로 해야 할 일을 알려준 것이 대표적이다. 실수가 줄어들면서 품질이 좋아졌다.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생산성도 높아졌다.

디지털 관련 사업도 확대했다. 운전자 안전 관련 솔루션업체인 넥스트랙과 브라질의 트럭 관리업체 사스카를 인수한 데 이어 타이어 및 휠체어 관련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인 아페리아테크놀로지와 스마트드라이브 지분도 사들였다. 중국의 차량공유업체 루리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에도 투자했다. 디지털 관련 사업을 키우는 인큐베이팅센터를 미쉐린 내부에 마련했다. 올 들어선 컨테이너 등 선박용 화물에 추적장치를 달아 실시간으로 위치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쉐린그룹 차기 최고경영자(CEO)로 내정된 플로랑 미네고 파트너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결국엔 미쉐린의 모든 것이 디지털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혁신 나선 전통기업들

영국의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 롤스로이스도 미쉐린과 비슷한 전략을 통해 성장했다. 롤스로이스는 엔진과 추진 시스템에 부착한 수백 개의 센서로 진동 압력 온도 속도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한 뒤 엔진 결함 및 교체 시기를 분석해 항공사에 유료로 제공하는 ‘토털케어’ 서비스를 하고 있다. 기체 결함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고 연료사용량도 최적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항공사들이 마다할 리 없었다. 토털케어를 통해 롤스로이스가 벌어들이는 수익은 엔진 판매 수익과 맞먹을 정도로 커졌다.

182년 역사의 프랑스 에너지 관리업체 슈나이더일렉트릭은 2009년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관리 플랫폼 ‘에코 스트럭처’를 앞세워 업계 강자로 우뚝 섰다. IoT의 개념조차 모호했던 시절에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시스코 IBM (NYSE:IBM)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와 손잡고 신개념 디지털 시스템을 개발한 덕분이었다. 제품 개발에서 시장 테스트까지 걸리는 시간을 3년에서 8개월로 단축시켰다. 전력·배전 관련 건설비도 절감해준다는 사실이 입소문을 타면서 세계 100여 개국 48만 개 빌딩과 데이터센터, 공장 등이 이 시스템을 도입했다. 크리스텔 헤이드만 슈나이더일렉트릭 대표는 “디지털은 어디에나 있다”며 “우리는 에너지를 더 잘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핵심 요소로 이것을 활용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

SNS에 밀리는 '암행평가'…118년 미쉐린가이드 '찌그러진...

라연·가온 3년 연속 미쉐린 3스타…알라프리마·밍글스 2스타로

"한국타이어, 타이어 판가 인상 미 시장에 국한될 가능성"-유진

미쉐린, "타이어가 닳아도 성능은 짱짱해야"

미쉐린, "2048년 타이어 원료 80% 친환경 소재로"

미쉐린 스타 셰프들이 만든 음식, 호텔서 맛...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