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2월 23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가 4년 전 생산을 중단했던 국경지대 유전에서 생산을 재개하기 위한 협상에 나섰다는 소식에 WTI가 2일 연속 하락하고 있다.
생산이 재개될 경우, 시장에는 하루 500,000 배럴의 원유가 추가적으로 공급된다. 새로운 압박이 가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과연 이것으로 끝이 날까? 아니면 유가가 더욱 떨어지게 될까?
차트의 기술적인 분석으로 다음에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유가는 10월 3일 저점으로부터 이어진 상승 채널의 상단에서 물러서고 있다. 이 패턴의 역학은 가격이 상승해야 한다는 수급 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가가 채널 바닥에 도달하면 수요가 가격을 채널 상단으로 밀어올리고, 그 뒤 공급이 다시 바닥으로 가격을 밀어내리는 식이다.
수요와 공급이라는 요소를 움직이는 투자자들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한 트레이더가 채널 하단에서 수요를 제공하고, 패턴 상단에서는 이익실현에 나서 공급 편에 설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는 해도, 움직임은 추세의 방향에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번 움직임은 상승 채널에서 일어나는 것이니만큼 위를 향하고 있다. 추세와 다른 방향으로 거래에 나서는 것에는 가격이 예상대로 하락하는 대신 추세를 따라 움직이며 타격을 안겨줄 수 있다는 리스크를 안고 있다.
보수적인 트레이더들은 바로 이 이유로 채널 바닥을 향한 완전한 복귀 움직임이나, 채널이 무너졌다는 증거를 확인한 뒤 이때의 꼭대기를 지지선으로 삼는다. 보다 적극적인 트레이더들은 리스크를 감안하고 거래 계획을 세운 뒤 매도 포지션을 취하기도 한다.
하지만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증거는 이뿐만이 아니다. 50일 이동평균선이 200일 이평선을 향해 움직이며 골든 크로스 형성 가능성을 보이고는 있으나, 7월에 데드 크로스가 형성된 뒤 가격이 보합세를 보이고 있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평소만큼 강한 강세 신호라고는 볼 수 없다. MACD는 5월 이래 가장 심각한 과매수 상태이며 곡선을 그리며 하락해 매도 신호를 보내고 있다. RSI는 12월 6일 고점 위에 머무르면서도 10월부터 이어진 고점들 밑으로 하락하는 하락 다이버전스를 제공한다.
$57이나 $58까지의 하락이 예상되지만, 12월 6일 고점 $59.85 밑이자 심리적 어림수 밑의 종가가 확인된 뒤에 움직이는 것이 더욱 안전할 것이다.
거래 전략
보수적인 트레이더들은 채널 하단에서 지지선이 확인되거나, 채널이 무너진 뒤 채널보다 높은 지점에서 중기 상승 추세를 따라 매수 포지션을 취할 수 있다.
보통의 트레이더들은 $59.85 밑의 종가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할 수 있다.
적극적인 트레이더들은 리스크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리스크-리워드 비율을 제시하는 진입과 청산을 설정해두었다는 가정 하에 지금 매도 포지션을 취할 수 있다.
거래 예시
--번역: 임예지/Investing.com Korea
인베스팅닷컴 & https://kr.investi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