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월 23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최근 시장의 가장 큰 이슈로 부상한 코로나19가 중심지인 중국을 넘어 전세계로 확산하고 있다. 이번 주에도 코로나19에 대한 우려가 다른 요소들을 가리고 시장의 관심을 장악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코로나19 확진자는 중국을 중심으로 78,000명을 돌파했으며 2,4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한국과 이란, 이탈리아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확인된 상황이다. 이란의 경우에는 지난 이틀 사이 18명의 확진자와 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지난 금요일, 미국과 글로벌 경제가 예상보다 큰 타격을 입을지도 모른다는 우려 속에서 0.78%에 달하는 227 포인트 하락했다.
이러한 리스크와는 별개로, 이번 주에는 각종 대형 소매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주식 3종을 소개한다.
1. 홈디포
미국 최대 가정용 건축자재 유통회사인 홈디포(Home Depot, NYSE:HD)는 2월 25일 화요일 개장 전 4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주당 $2.11의 순이익과 257억 달러의 매출이 예상된다.
홈디포는 최근 몇 년 사이 소비자 지출 강세에서 이익을 거두고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성공적으로 펼쳐왔다.
하지만 3분기에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발표하고 3개월 만에 두 번째로 연간 성장 전망을 하향하는 등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홈디포의 주가는 금년 들어 12% 이상 상승해 $245.34로 금요일 장을 마감했다. 2020년 들어 증시 전반과 함께 보인 강한 상승세는 것은 투자자들이 매출 성장세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는 신호일 것이다.
2. 세일즈포스닷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업체 세일즈포스닷컴(Salesforce.com, NYSE:CRM)은 화요일 폐장 뒤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는 주당 $0.56의 순이익과 47억 달러 이상의 매출이 예상된다. 주가는 12월 초에 있었던 지난 실적 발표 이후 17% 이상 상승했으며, 금요일 종가는 $189.50다.
세일즈포스닷컴은 향후 몇 년 동안 강세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시장의 전망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RBC 캐피털 마켓(RBC Capital Markets)은 이번 1월, 세일즈포스닷컴이 "2020년 상당한 상승 잠재성을 보인다,"며 시장수익률 상회에서 최선호주로 평가를 상향했다. 애널리스트인 알렉스 주킨(Alex Zukin)은 회계 2024년까지의 매출 성장률이 20%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을 지적하며 "중요한 전략적 자산"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주요 성장 동력 중 하나는 작년 153억 달러에 인수한 태블로 소프트웨어(Tableau Software)다. 태블로 전량 인수는 세일즈포스가 진행한 가장 큰 거래건이자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야 확장 시도의 일환이다.
세일즈포스는 태블로 인수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NASDAQ:MSFT)와 오라클(Oracle, NYSE:ORCL)을 상대로 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야 경쟁과 매출 증대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3. 비욘드미트
캘리포니아 엘세군도에 위치한 식물성 대체육류 전문업체 비욘드미트(Beyond Meat, NASDAQ:BYND)는 2월 28일 금요일 폐장 뒤 4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비욘드미트는 작년 각종 식당과 식료품점을 통해 보였던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한 신제품 개발과 프로모션에 힘을 쏟고 있다. 현재 협력 업체로는 칼스 주니어(Carl’s Jr.)와 하디스(Hardee’s), 그리고 던킨 도너츠(Dunkin’ Donuts)가 있으며, 최근에는 캐나다 서브웨이(Subway)와의 제휴를 발표했다. 서브웨이는 비욘드미트 제품을 사용한 "미트볼" 메뉴를 판매할 예정이다.
타이슨(Tyson, NYSE:TSN)과 스미스필드 푸즈(Smithfield Foods, OTC:WHGLY), 네슬레(Nestle, OTC:NSRGY), 그리고 켈로그(Kellogg, NYSE:K) 등을 포함한 대기업들이 대체육류 시장에 진출할 계획을 세우면서 비욘드미트의 전망에도 먹구름이 드리우기 시작했다.
주가는 지난 5월 1일, 주당 $25의 가격으로 IPO를 진행한 뒤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금요일 종가는 $117.45로, 지난 7월 말 기록했던 최고가 $239.71에 비해서는 크게 하락한 수준이지만 2020년 들어서는 총 55%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번역: 임예지/Investing.com Korea
인베스팅닷컴 & https://kr.investi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