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가계대출을 취급하는 18개 국내은행 은행장들이 참석한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최근 은행권이 여신심사기준을 강화하고 자율적 리스크관리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개별은행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적 측면에서도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감독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는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최소한의 기준"이라며 은행의 자율적인 리스크 관리 강화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 전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9조5천억원 이상으로, 2021년 7월(15조3천억원)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거래량이 회복되면서 가계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이미 높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앞으로도 가계부채를 적정수준으로 긴축해나가지 못할 경우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고 경제성장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는 등 국민경제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국내 은행의 주택 관련 대출 집중도가 높은 점을 우려하며 "금융 불균형이 누증되고, 주택가격 조정 시 건전성이 악화하는 등 시스템 리스크로의 전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한 "은행이 손쉽고 안정적으로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부동산 부문 위주로 자금을 공급하면서 혁신성장 부문으로의 자금공급은 도외시한다는 비판도 제기돼 왔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주택가격 상승 기대를 전제로 한 자금 등 위험 성향이 높은 대출에 대해서는 심사를 보다 강화하는 등 대출포트폴리오를 건전하게 조정해나가야 할 시점"이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서도 은행권이 리스크관리를 강화하고 건전한 여신 관행을 정착시키는 데 앞장서 주길 기대한다"며 "금융당국도 은행권의 자발적인 노력이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책성 대출에 대해서도 관계부처가 긴밀히 협의해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신용대출과 2금융권 대출 풍선효과에 대해서도 면밀히 모니터링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