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적정가치를 볼 수 있는 프리미엄 데이터 세일 중: 최대 50% 할인!지금 구독하기

[0605마감체크] 코스피, 삼성전자·2차전지주 강세로 상승

입력: 2024- 06- 06- 오전 02:14
[0605마감체크] 코스피, 삼성전자·2차전지주 강세로 상승
KS11
-

주가 차트 그래프 주식 거래소. 사진= 픽사베이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1.03% 상승한 2,689.50에 마감했다.

지난밤 뉴욕증시가 고용시장 둔화 기대감 속 Fed 올해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ECB 회의를 앞둔 경계감 등에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681.11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2,667.6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재차 확대했다. 장 후반 2,697.4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상승폭을 다소 줄인 끝에 결국 2,689.50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미국 경기 둔화에 따른 금리인하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국채금리 하락,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삼성전자 (KS:005930) 2%대 강세 등에 코스피지수는 하루만에 반등했다. 외국인이 6,000억 가까이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 개인은 3,000억 넘는 순매도를 기록했다.

지난밤 발표된 JOLTS(구인·이직보고서)에 따르면, 4월 구인 건수가 805만9,000건으로 지난 2021년 2월 이후 3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837만건)와 전월 수치(835만5,000건)를 모두 크게 하회했다. 채용률은 3.6%, 자발적 퇴직자 비율은 2.2%로 전월(각각 3.5%. 2.1%) 대비 소폭 상승했다.

미국 5월 ISM 제조업 PMI 부진에 이어 구인건수가 두 달 연속 감소해 3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졌고, 이에 Fed의 올해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됐다.

전일 젠슨 황 엔비디아 (NASDAQ:NVDA) CEO는 대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삼성전자 HBM 관련 루머를 일축했다.

젠슨 황 CEO는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제공한 HBM을 검사하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아직 어떠한 인증 시험에도 실패한 적이 없다"고 발언했다. 이어 "삼성 HBM 제품은 더 많은 엔지니어링 작업이 필요하다"며, "아직 끝나지 않았을 뿐 우리는 엔지니어링만 하면 된다"고 발언했다.

이에 금일 삼성전자(+2.79%)가 상승했고, 한미반도체(+4.85%) 등을 비롯해 HBM(고대역폭메모리) 및 반도체 관련주가 동반 상승했다. SK하이닉스 (KS:000660)(+0.21%)는 강보합 마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재부각 및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성장세 지속, EU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부과 준비 소식 등으로 LG에너지솔루션(+4.46%), 삼성SDI(+3.57%), 포스코퓨처엠(+5.15%), 에코프로머티(+13.96%)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했다.

미국 액트지오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 방한 소식 등에 넥스틸(+30.00%), 동양철관(+29.96%), 휴스틸(+19.83%), 한국가스공사(+10.91%) 등 동해 석유·가스전 테마도 상승했다. 한국가스공사는 MSCI 지수 재편입 기대감도 부각됐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대만이 상승했을 뿐 중국, 일본 등은 하락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은 5,912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3,309계약, 2,595계약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897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801계약, 679계약 순매도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3.0원 하락한 1,373.0원을 기록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4.5bp 하락한 3.345%, 10년물은 전일 대비 4.0bp 하락한 3.430%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5틱 오른 104.64 마감했다. 외국인이 13,113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10,086계약 순매도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5틱 오른 113.18 마감했다. 외국인이 13,27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10,116계약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포스코퓨처엠(+5.15%), LG에너지솔루션(+4.46%), LG화학 (KS:051910)(+3.74%), 삼성SDI(+3.57%), 삼성전자(+2.79%), 현대차 (KS:005380)(+1.93%), POSCO홀딩스(+1.60%), 셀트리온 (KS:068270)(+1.17%),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93%), 현대모비스(+0.91%), 기아(+0.42%), 신한지주(+0.33%), SK하이닉스(+0.21%) 등이 상승했다. 반면, 하나금융지주(-1.16%), LG전자(-0.40%), KB금융 (KS:105560)(-0.26%), 삼성물산(-0.22%), 카카오 (KS:035720)(-0.11%)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했다. 전기가스(+2.55%), 전기/전자(+2.09%), 의료정밀(+2.06%), 섬유/의복(+1.57%), 제조(+1.52%), 기계(+1.12%), 철강/금속(+1.05%), 의약품(+0.91%), 비금속광물(+0.91%), 화학(+0.88%), 음식료(+0.69%), 증권(+0.62%) 등이 상승했다. 반면, 종이/목재(-1.40%), 건설(-0.72%), 보험(-0.43%), 금융(-0.38%), 서비스(-0.07%), 운수창고(-0.03%)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0.58% 상승한 850.75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849.33으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하락 전환했고, 844.1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다. 이내 상승 전환해 재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장 후반 852.1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줄인 끝에 850.75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4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Fed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된 가운데, 2차전지 및 동해 석유·가스전 테마 등이 상승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개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에코프로비엠 (KQ:247540)(+6.17%), 에코프로(+4.36%), 에코앤드림(+9.90%), 동화기업(+7.39%), 천보(+4.08%), 상신이디피(+3.58%)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했다.

고려시멘트(+29.99%), 삼표시멘트(+17.50%) 등 시멘트 테마가 동해 석유·가스전 테마에 합류하면서 급등, 화성밸브(+14.37%), 대창스틸(+7.28%) 등도 상승했다.

사진=삼표시멘트

MSCI지수에 신규 편입된 알테오젠 (KQ:196170)(+1.93%)은 4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전일 소속 가수 악성 루머 등에 8% 대 약세를 보였던 에스엠(+4.40%)은 강경대응 방침 등에 상승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20억, 372억 순매수, 개인은 902억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했다. 엔켐(-2.16%), 실리콘투 (KQ:257720)(-2.01%), 삼천당제약(-1.58%), HPSP(-1.24%), 클래시스(-1.16%), 리노공업(-0.75%), 리가켐바이오(-0.74%), 펄어비스(-0.72%), 휴젤(-0.65%), 레인보우로보틱스(-0.49%) 등이 하락했다. 반면, 에코프로비엠(+6.17%), 에스엠(+4.40%), 에코프로(+4.36%), HLB (KQ:028300)(+3.11%), 알테오젠(+1.93%), 동진쎄미켐(+0.95%), 셀트리온제약(+0.54%), 이오테크닉스(+0.25%) 등은 상승했다.

업종별로도 하락이 우세했다. 섬유/의류(-4.24%), 정보기기(-1.89%), 건설(-1.50%), 컴퓨터서비스(-1.24%), 통신장비(-1.20%), 인터넷(-1.19%), 소프트웨어(-0.83%), IT S/W & SVC(-0.82%), 방송서비스(-0.71%), 디지털컨텐츠(-0.68%), 유통(-0.68%), 통신방송서비스(-0.66%), 출판/매체복제(-0.55%) 등이 하락했다. 반면, 비금속(+5.29%), 일반전기전자(+3.17%), 금융(+2.92%), 종이/목재(+2.21%), 반도체(+0.93%), 제조(+0.90%), 기계/장비(+0.90%), 금속(+0.82%), 기타서비스(+0.43%) 등은 상승했다.

허준범 기자 jb_3heo@infostock.co.kr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