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銀) 공급 부족과 미국 거래소로의 자금 이동이 추가 상승을 견인할 가능성
- 온스당 33달러 돌파 시 장기 고점 재시험 가능성
- 무역 전쟁과 에너지 정책이 불확실성을 더하지만, 수요와 연준 정책이 핵심 변수
- 현재 시장 변동성을 헤쳐나갈 수 있는 실행 가능한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찾고 계신가요? 여기에서 구독하면 인베스팅프로가 엄선한 AI 추천 종목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은 가격은 올해 급등세를 보이며, 미국 무역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의 상승세는 관세 및 지정학적 긴장에 의해 촉진되었지만, 기본적인 펀더멘털 요인들은 랠리가 지속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실버 인스티튜트(Silver Institute)는 2025년에도 공급 부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에너지 정책이 화석 연료를 우호적으로 조정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분석이다.
한편, 금속 시장은 여전히 연준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무역 관세 전쟁이 심화될 경우 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질 가능성이 있어, 이는 금과 은의 추가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보면, 은 가격은 현재 온스당 33달러 부근의 핵심 공급 구간을 테스트하고 있다.
이 수준을 상향 돌파할 경우, 장기 고점을 다시 시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속적인 공급 부족이 가격 상승 지지
글로벌 은(銀) 생산량은 2016년 9억 온스를 넘은 이후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지난해 생산량은 약 8억 3,250만 온스로 감소했으며, 2024년에는 소폭 반등해 8억 4,400만 온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재활용을 포함한 총 공급량은 11년 만에 최고치인 10억 5,000만 온스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약 2억 5,000만 온스 규모의 공급 부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올해 하반기 재고 감소 속도가 빨라질 경우 은 가격은 추가적인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멕시코, 칠레, 페루 등 주요 광산 지역의 생산 안정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며,이들 지역에서 공급 차질이 발생할 경우 은의 강세 전망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미국 에너지 정책 및 무역 전쟁이 불확실성 요인
미국의 에너지 정책 변화 및 지속되는 무역 갈등이 은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미국이 화석 연료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하고, 관세가 글로벌 성장 둔화를 초래할 경우, 태양광(PV) 및 전기차(EV) 등 주요 산업에서의 은 수요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공급 충격 또는 산업 수요의 재반등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위험 요인은 일부 상쇄될 수 있다.
실물 은(銀) 흐름, 미국 거래소로 이동 중
최근 몇 달간 실물 은의 이동 경로에 이례적인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런던과 아시아에서 미국 거래소(뉴욕·시카고)로 대량의 은이 유입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뉴욕과 시카고에서 금속 보관 시 관세 면제 정책이 도입된 영향으로, 이로 인해 미국에서 보관되는 금속의 리스크가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또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 및 중국의 보복 조치가 무역 흐름 변화에 영향을 미치면서 이 같은 패턴을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러한 흐름이 지속된다면, 은 시장의 유동성과 가격 결정 메커니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주요 저항선 테스트… 장기 고점 돌파 가능성
올해 초 온스당 29달러 부근에서 저점을 형성한 후, 은 가격은 상승 모멘텀을 얻으며 33달러의 주요 저항선을 테스트하고 있다. 만약 이 저항선을 강하게 돌파할 경우, 34.60달러까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35달러에 근접할 수도 있다.
트레이더들은 기술적 신호와 거시경제적 변화를 주시해야 하며, 이는 돌파 상승을 촉진할 수도 있고 조정을 유발할 수도 있다.
***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도 든든한 동반자와 함께라면 현명한 투자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기업들의 다양한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최고의 투자 파트너, InvestingPro를 구독하고 2025년 변동성 높은 시장에 대비하세요!
면책 조항: 이 글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든 자산 구매를 장려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투자 권유, 제안, 추천 또는 제안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모든 자산은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되며 위험도가 높으므로 모든 투자 결정 및 관련 위험은 투자자에게 귀속된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당사는 어떠한 투자 자문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인베스팅닷컴 & https://kr.investi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