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만관 (농경지에 물을 가득 채운다는 의미로 선진국의 양적완화를 비유)
1. 하반기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 기준금리 작년 4월 이후 동결
올해 1분기 18.3%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중국은, 2분기에는 7.9%로 해당 수치가 빠르게 낮아지면서, 하반기에 경기가 지나치게 빠르게 식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어 왔습니다. 이에 중국은 지난 15일부터 전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0.5%씩 낮추면서 1조 위안 (원화기준 약 178 조원)의 유동성 공급에 나서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지난주 LPR (Loan Prime Rate, 대출우대금리) 발표에 따르면, 기존 1년과 5년 만기 LPR 금리를 각각 3.85%와 4.65%로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각에서 나온 인하 기대감을 일축했습니다.
미국이나 한국처럼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발표하면 이에 따라 시장금리가 연동되어 움직이는 것과 달리, 중국의 경우에는 1) 역 Repo 금리 조절 (Repurchase Agreement, 환매조건부채권 매매, 중국 인민은행이 은행으로부터 일단 채권을 사면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일정 기간 후에 해당 채권을 매각), 그리고 2) MLF 금리 조절 (Midium Term Lending Facility, 중기 유동성 지원 창구, 중소기업 등에 3개월, 6개월, 1년 만기 등으로 유동성 공급), 3) TMLF 금리 조절 (Targeted Medium Term Lending Facility, 중소기업 등 특정 민간 부문 제공을 목적으로 은행에 저금리 유동성 공급), 그리고 4) LPR 금리 조절 (Loan Prime Rate, 대출우대금리,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통해 통화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LPR 금리는 중국 내 18개 시중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에 적용되는 대출금리의 평균치로, 1년물 MLF 금리에 은행조달비용 및 위험 프리미엄 등을 가산해서 산출됩니다. 따라서 보통 MLF 금리가 먼저 인상 혹은 인하 된 후에 이에 따라 LPR 금리가 조절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참고로 이들 금리들은 코로나 직후 2020년 4월에 인하된 이후 현재까지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중국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이번 동결 조치에 다소 실망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 조치에 긍정적인 측면을 바라본다면, 지준율을 낮추고 기준금리는 동결하는 등 이러한 선택적인 완화 조치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여전히 중국 경제가 안정적인 상태로 양호하게 작동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이미 이번 달 리커창 총리의 발언을 통해서 지난 지급준비율 인하가 대수만관 (농경지에 물을 가득 채운다는 의미로 선진국의 양적완화를 비유) 을 하겠다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 바 있습니다. 최근의 거시 경제 데이터인 2분기 수출 32.2% 증가, 6월 소매판매 12.1% 증가 등 예상을 뛰어넘는 탄탄한 수치들이 이러한 자신감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미국-베트남 간 무역 합의 도달 의미는
지난주 미국 재무부와 베트남 중앙은행과의 합의 도달이 인해 베트남 투자자들에게는 긍정적인 소식이 될 전망입니다.
이번 합의 성명에서 베트남은 불공정한 이익을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국통화인 동의 가치를 낮추는 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것과 통화 및 환율정책을 더욱 투명하게 하겠다는 것을 약속했습니다. 동시에 이에 반대급부로 미국은 지난 트럼프 행정부 때 환율조작국 지정 등에 따른 베트남산 수입품에 전면적인 징벌적 관세 부과를 하겠다는 입장을 철회했습니다.
2020년 12월 트럼프 행정부는 베트남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올해 4월에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환율조작국 지정이 해제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관세 부과 관련해서는 지속적으로 공방을 이어가다가, 이번 합의를 통해 양국 간의 갈등이 일단락되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그리고 이러한 관세 등 갈등 상황 속에서도, 미중 간의 갈등으로 촉발된 중국에서의 글로벌 공급망 이동으로 수혜를 입은 베트남은 2020년 미국을 상대국으로 한 무역 흑자가 191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미국은 현재 베트남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수출의 28%를 미국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 뒤로는 중국 18%, 일본 7% 순입니다.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 중에서는 전자제품, PC/모바일 기기, 가구 및 의류가 전체의 3분의 2 수준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