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1마감체크] 2차전지 쏠림 현상 완화... 코스피 지수 연고점 경신

입력: 2023- 08- 02- 오전 02:37
[0801마감체크] 2차전지 쏠림 현상 완화... 코스피 지수 연고점 경신
KS11
-
KQ11
-
005380
-
105560
-
051910
-
000660
-
005930
-
005490
-
028300
-
035720
-
068270
-
196170
-
207940
-
091990
-
247540
-
293490
-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

사진=픽사베이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1.31% 상승한 2,667.07에 마감했다.

지난밤 뉴욕증시가 양호한 기업 실적 및 경기 연착륙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644.34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2,639.1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확대했다. 오전중 2,667선을 상회하기도 했으나 이후 점차 상승폭을 줄였고, 오후 들어 2,651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했다. 장 후반으로 갈수록 재차 상승폭을 키웠고, 장 막판 2,668.2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2,667.07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기관과 외국인 순매수 등에 코스피지수는 4거래일 연속 상승, 연고점 경신했다. 코스피지수는 지난해 6월 초 이후 약 1년 2개월여 만에 2,660대에서 종가를 형성했다.

금융투자 중심의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 하루만에 2,000억 가까이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2만 계약 넘는 대규모 순매수를 기록했다. 개인은 코스피시장에서 3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했다.

LG에너지솔루션(-0.54%), POSCO홀딩스(-3.27%), 포스코퓨처엠(-3.42%) 등 2차전지 및 POSCO (KS:005490) 그룹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면서 수급 쏠림 현상이 완화됐고, 삼성전자 (KS:005930)(+1.86%), SK하이닉스 (KS:000660)(+1.38%), NAVER(+2.64%), 카카오 (KS:035720)(+7.02%), 현대차 (KS:005380)(+1.73%),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4.70%) 등 반도체, 인터넷, 바이오, 자동차 대표주 등이 상승하면서 코스피지수가 상승했다.

수급 쏠림 현상 속 최근 큰 폭으로 상승했던 2차전지 및 POSCO 그룹주 등은 에코프로비엠·금양 임원 자사주 처분 소식 및 증권가의 2차전지 쏠림 현상 완화 전망 등 투자심리 위축 속 하락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6.66%), SK이노베이션(-3.94%), 금양(-4.53%), 포스코퓨처엠(-3.42%), POSCO홀딩스(-3.27%), LG에너지솔루션(-0.54%) 등이 하락했으며, 삼성SDI(+0.75%)는 강보합세를 보였다.

환경부가 올해 6만2000대 전기차 충전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사진=뉴스1

금일 발표된 7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6.5% 감소한 503억3,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25.4% 감소한 487억1,000만달러로 무역수지는 16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가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으나 수입이 수출보다 더 줄어들면서 불황형 흑자를 보였다.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10개월 연속 감소했다.

한편, 외신에 따르면, 아시아 증시 추종하는 MSCI 아시아태평양 주식 지수가 전날 장중 171.80으로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찍은데 이어 이날도 소폭 상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외신은 경제 상황에 대한 낙관론이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했고, 중국, 홍콩은 하락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999억, 3,307억 순매수, 개인은 5,504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0,522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7,717계약, 10,957계약 순매도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9.2원 상승한 1,283.8원을 기록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3.4bp 하락한 3.647%, 10년물은 전일 대비 3.4bp 하락한 3.727%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1틱 오른 103.75 마감했다. 외국인이 8,87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5,825계약 순매도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8틱 오른 110.35 마감했다. 외국인이 1,377계약 순매수, 은행과 금융투자는 각각 652계약, 553계약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카카오(+7.02%), 삼성바이오로직스(+4.70%), KB금융 (KS:105560)(+3.53%), 셀트리온 (KS:068270)(+3.00%), NAVER(+2.64%), 삼성물산(+2.61%), 신한지주(+2.57%), 삼성전자(+1.86%), 현대차(+1.73%), SK하이닉스(+1.38%), 현대모비스(+1.29%), LG화학 (KS:051910)(+1.08%), 삼성SDI(+0.75%) 등이 상승했다. 반면, 포스코인터내셔널(-6.66%), SK이노베이션(-3.94%), 포스코퓨처엠(-3.42%), POSCO홀딩스(-3.27%), LG에너지솔루션(-0.54%)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했다. 의약품(+3.78%), 서비스(+3.04%), 증권(+2.78%), 통신(+2.61%), 금융(+2.28%), 음식료(+2.23%), 전기가스(+2.01%), 비금속광물(+1.89%), 운수창고(+1.73%), 기계(+1.15%), 운수장비(+1.07%), 전기/전자(+1.04%) 등이 상승했다. 반면, 철강/금속(-2.06%), 유통(-0.59%), 보험(-0.45%)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0.40% 상승한 939.67에 마감했다.

지난밤 뉴욕증시가 양호한 기업 실적 및 경기 연착륙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44.71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부터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 한때 952.1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오후 들어 상승폭을 급격히 줄여 하락 전환했고, 926.7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다. 장 후반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939.67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외국인 기관 동반 순매도 속 개인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개인이 이틀째 순매수,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기관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했다.

장중 상승하던 코스닥지수는 에코프로비엠 (KQ:247540)(-2.51%), 엘앤에프(-3.88%), 에코프로(+0.08%) 등 2차전지 수급 쏠림 현상 완화 등으로 장중 하락 전환하기도 하는 등 큰 변동성을 보였다. 에코프로비엠·금양 임원 자사주 처분 소식 및 증권가의 2차전지 쏠림 현상 완화 전망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에코프로비엠 본사.(사진=인포스탁데일리DB)

에코프로비엠(-2.51%), 엘앤에프(-3.88%), 더블유씨피(-3.02%), 나노신소재(-4.93%), 윤성에프앤씨(-4.68%) 등 2차전지 관련주가 하락했다.

반면, 2차전지 수급 쏠림 완화 등에 셀트리온헬스케어 (KQ:091990)(+1.22%), HLB (KQ:028300)(+2.13%), 셀트리온제약(+1.69%) 등 제약/바이오, HPSP(+1.88%), 리노공업(+0.83%), ISC(+2.33%), 주성엔지니어링(+7.01%) 등 반도체, 카카오게임즈 (KQ:293490)(+4.29%), 넥슨게임즈(+4.65%) 등 게임주 등이 상승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4,393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284억, 1,884억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루닛(+4.98%), 레인보우로보틱스(+4.48%), 카카오게임즈(+4.29%), 에스엠(+3.14%), HLB(+2.13%), HPSP(+1.88%), 셀트리온제약(+1.69%), 셀트리온헬스케어(+1.22%), 솔브레인(+1.10%), 리노공업(+0.83%), 포스코DX(+0.58%), 에코프로(+0.08%) 등이 상승했다. 반면, JYP Ent.(-4.91%), 엘앤에프(-3.88%), 더블유씨피(-3.02%), 에코프로비엠(-2.51%), 알테오젠 (KQ:196170)(-1.23%), 케어젠(-1.14%)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했다. 소프트웨어(+5.36%), IT S/W & SVC(+3.56%), 컴퓨터서비스(+2.43%), 인터넷(+2.33%), 출판/매체복제(+2.33%), 운송(+1.71%), 통신서비스(+1.70%), 통신장비(+1.63%), 디지털컨텐츠(+1.57%), 제약(+1.45%), 유통(+1.41%), 통신방송서비스(+1.29%), 섬유/의류(+1.24%), 방송서비스(+1.12%), 기타서비스(+0.99%), 기계/장비(+0.67%), 기타제조(+0.67%), 정보기기(+0.58%), IT부품(+0.50%) 등이 상승했다. 반면, 일반전기전자(-1.99%), 화학(-0.91%), 오락문화(-0.91%), 금속(-0.77%), 비금속(-0.76%) 등은 하락했다.

윤서연 기자 yoonsy0528@infostock.co.kr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