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9마감체크] 콘텐츠주 날았다, CJ ENM 급등

입력: 2022- 12- 10- 오전 01:29
[1209마감체크] 콘텐츠주 날았다, CJ ENM 급등
ADBE
-
KS11
-
KQ11
-
035760
-
BTC/USD
-

[인포스탁데일리=박명석 기자]

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우리 시장과 아시아 시장 마감과 시황 분석을 통해 내일의 전략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오늘 장 정리와 챙겨야 할 경제지표, 수급포인트, 증시 일정 등을 살펴 하루를 정리하고 내일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전략을 고민하기 위한 코너입니다.

■ 12월 9일 마감체크

국내 증시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에 힘입어 6거래일 만에 상승했습니다.

간밤 뉴욕 증시가 반발 매수와 함께 모처럼 반등하면서, 국내 증시 역시 낙폭과대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살아났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0.76% 상승한 2,389에 마감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전기전자 업종, 서비스 업종 등을 중심으로 각각 990억, 4,078억을 순매수했습니다.

개인은 5,084억을 순매도하며, 6거래일 만에 매도 우위로 마감했습니다.

전기가스 업종이 한국전력 강세에 급등했고, 운수창고 업종, 서비스 업종 등이 상승했습니다.

비금속광물 업종, 화학 업종이 2차전지주 약세에 하락했고, 섬유의복 업종이 조정을 받았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0.98% 상승한 719에 마감했습니다.

외국인이 197억을 순매수하며, 코스닥에서도 매수세를 가동했습니다.

기관 역시 109억 순매수로, 4거래일 만에 매수 우위로 마감했습니다.

개인은 335억 순매도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방송서비스 업종, 오락,문화 업종이 콘텐츠주 급등에 강세를 보였고, 통신장비 업종이 이틀 연속 상승했습니다.

종이/목재 업종, IT 부품 업종, 일반전기전자 업종 등은 2차전지주 차익 매물에 약세를 보였습니다.

■ 특징주

콘텐츠 섹터가 중국 모멘텀과 아바타2 기대감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습니다.

중국 현지시간 8일 오후 7시부터 OTT 비리비리가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1’의 독점 방영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OTT에 한국 드라마가 업로드 된 것은 지난 5월25일 배드 앤 크레이지 이후 약 7개월 만입니다.

이와 같은 소식에 스튜디오드래곤, CJ ENM (KQ:035760), 바른손, 키이스트 등이 동반 강세를 보였습니다.

한편 한국에서 전 세계 최초로 12월 14일에 개봉되는 ‘아바타: 물의 길’이 전일 기준으로 실시간 예매율 50%를 상회하며 흥행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CJ CGV, 콘텐트리중앙, 덱스터, 쇼박스 등 영화 관련주도 강한 탄력을 보였습니다.

5G 관련주가 가입자 확대 기대감이 지속되며 이틀 연속 강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7일 에릭슨엘지의 리포트에 따르면, 5G 가입자 수가 올해 연내 가입자가 10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는 LTE보다 약 2년 빠른 속도로 알려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하나증권에 따르면, 10월 5G 가입자 순증 폭이 75만명으로 크게 확대됐으며, 휴대폰 가입자중 5G 비중이 49%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오픈랜 시장 급성장, 해외 수출 모멘텀에 힘입어 국내 선발 5G 중소 장비 업체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입니다.

이와 같은 소식에 서진시스템, RFHIC, 에이스테크, 이노와이어리스 등이 동반 강세를 보였습니다.

한국전력이 전기요금 인상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전날 국회 본회의에서 한국전력의 한전채 발행 한도를 기존 2배에서 최대 6배로 늘리는 개정안이 부결됐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모습입니다.

SK증권은 전기요금 인상 없이 한전 정상화가 어려운 만큼, 법안이 부결되면서 인상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위메이드 그룹주가 위믹스 코인의 지닥(GDAC) 거래소 상장 소식에 반등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위믹스가 전일 오후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지닥(GDAC)에 상장됐으며, 입금 및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닥은 원화마켓을 운영하지 않아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통해서만 위믹스 거래가 가능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오는 15일 오전 10시부터 출금도 가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위메이드는 오늘부터 내년 3월8일까지 90일간 1,000만달러(약 130억원) 규모의 위믹스를 바이백해 소각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위믹스 재단은 "가격 안정화와 함께 차익 거래자보다 커뮤니티에 혜택이 갈 수 있도록 시간을 조절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같은 소식에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등이 동반 반등했습니다.

PI첨단소재가 매각 무산 소식에 하락했습니다.

PI첨단소재는 전날 공시를 통해 "당사 최대주주인 매도인(글랜우드PE)이 매수인(베어링PEA)으로부터 주식매매계약(SPA)을 해제한다는 통지를 수령했음을 당사에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글랜우드PE와 베어링PEA는 지난 6월 PI첨단소재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으며, 베어링PEA는 글랜우드PE가 보유한 PI첨단소재 주식 1587만7400주(지분 54.07%)를 1조2750억원에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베어링PEA가 돌연 인수 철회를 결정한 것이며, 현재까지 철회 배경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주간 체크포인트

일정

13일

OPEC 원유시장보고서

한국은행 금통위 회의록

14일

FOMC 회의

파월 연준 의장 기자회견

15일

ECB 통화정책회의

BOE 통화정책회의

16일

미국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경제지표

13일

미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 11월 NFIB 중소기업 낙관지수

EU 12월 ZEW 경기기대지수

독일 11월 소비자물가지수, 12월 ZEW 경기기대지수

14일

미국 11월 수출입물가지수

한국 11월 실업률

EU 10월 산업생산

15일

미국 11월 소매판매·산업생산, 12월 필라델피아 연은 경기 전망, 12월 뉴욕 연은 제조업지수, 12월 NAHB 주택가격지수

한국 11월 수출입물가지수

중국 11월 신규주택판매, 11월 산업생산·소매판매, 11월 고정자산투자

16일

미국 12월 제조업/서비스업 PMI

EU 11월 소비자물가지수, 12월 제조업/서비스업 PMI

실적

12일

미국 오라클

15일

미국 어도비 (NASDAQ:ADBE)

16일

미국 액센츄어

■ 전망과 포인트

국내 증시는 외국인과 기관의 저가 매수에 힘입어 6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간밤 미국의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고용 둔화 우려가 확산되면서, 다음주 FOMC를 앞두고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제어 기대감이 높아지기도 했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국제유가가 연일 약세를 보이면서, 이러한 전망에 지속적으로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물론 이에 따라 경기 침체 진입에 대한 우려 역시 동시에 확대될 수 있겠으나, 언제나 증시와 실물 경기는 차별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목 선택에 대한 고민을 해볼 필요는 있겠습니다.

현재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시장의 고민이 금리에서 경기로 넘어가고 있는 과도기라는 의견을 내놓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경기에 민감한 종목들은 당분간 수급적으로 부진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반면 이럴 때일수록 성장에 대한 희소성이 부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낙폭과대 성장주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이 주도하는 신흥국 모멘텀을 감안했을 때, 한정된 자금의 다음 종착지가 고금리 피해 섹터로 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여전히 금리와 유동성 불안감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종목 선택에 있어서는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다음주 미국의 CPI, FOMC, 동시 만기일로 이어지는 변동성 장세를 감안하면서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겠습니다.

12월 9일 마감체크였습니다.

※ 본 프로그램은 '인포스탁 모바일신문'과 함께 합니다.

박명석 기자 myungche90@hanmail.net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