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적정가치를 볼 수 있는 프리미엄 데이터 세일 중: 최대 50% 할인!지금 구독하기

[0831퇴근길] 빗썸-코인원-코빗, 트래블 룰 합작법인 ‘CODE’ 출범 외 경제금융뉴스

입력: 2021- 09- 01- 오전 02:33
© Reuters.  [0831퇴근길] 빗썸-코인원-코빗, 트래블 룰 합작법인 ‘CODE’ 출범 외 경제금융뉴스
KS11
-

[인포스탁데일리=원세영 에디터]

네이버 오디오클립과 인포스탁데일리가 전해드리는 8월 31일 퇴근길 써머리입니다.

▲코스피 3199.27 마감 (+1.75%)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5% 오른 3199.27에 마쳤습니다. 코스닥지수는 0.63% 오른 1038.33에 마감했습니다.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7.5원 떨어진 1159.5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 순매수로 돌아선 데다 달러화가 약세를 보인 영향입니다.

▲빗썸-코인원-코빗, 트래블 룰 합작법인 ‘CODE’ 출범

국내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코인원·코빗이 ‘트래블 룰(Travel Rule’) 시스템 구축을 위한 ‘CODE(COnnect Digital Exchanges)’를 공식 출범했습니다. 3사 공동 출자로 설립한 합작법인으로 출자금은 총 9억 원입니다. CODE는 특정금융거래정보법(이하 특금법) 개정안에 따라 2022년 3월 말 이전을 목표로 시스템을 더욱 견고하게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SK종합화학→SK지오센트릭…화학 떼고 친환경 ‘올인’

SK종합화학이 회사 이름을 ‘SK 지오센트릭(geo centric)’으로 바꾸고 ‘세계 최대 도시 유전 기업’으로의 도약과 변신을 선언했습니다. 도시 유전은 폐플라스틱에서 기름과 화학 원료를 뽑아내는 방식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폐플라스틱 사업과 친환경 소재 사업에 5조원을 투자하며 친환경 사업에 주력하기로 했습니다.

▲매그나칩 매각, 사실상 무산…美 "국가안보 리스크 존재" 판단

중국계 사모펀드의 매그나칩반도체 인수가 사실상 무산됐습니다. 미국 정부가 매그나칩반도체 인수합병(M&A)과 관련해 국가 안보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서 대중 강경책을 펼쳐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승인 거부’로 최종 결정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반도체 패권을 사이에 둔 미·중 갈등이 가열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HMM 육상노조, 98% 찬성으로 파업 가결…내일 ‘최후의 담판’

HMM 육상노조 파업 찬반 투표가 찬성률 97.88%로 가결됐습니다. 해원노조도 파업을 가결한 만큼 HMM 양대 노조의 공동 투쟁 전선이 한층 견고해졌다는 평가입니다. 다만 당장 파업에 돌입하지는 않습니다. 내일로 (9월 1일) 예정된 임단협 교섭 결과에 따라 사상 첫 파업 여부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정몽구 명예회장, 감염병 백신 개발 위해 사재 100억원 내놨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에 사재 100억 원을 기부합니다. 기부금은 '정몽구 백신혁신센터'를 운영할 고려대의료원에 전달돼 글로벌 감염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국산 백신 개발과 연구 인프라 확충 등에 사용됩니다.

▲포스코, 글로벌 2위 태양광 제작사에 철강재 공급···“태양광 부품 경쟁력 강화”

포스코가 글로벌 2위 태양광 발전설비 제작사인 미국 ATI(Array Technologies Inc)에 철강재를 공급합니다. 포스코는 국내 중소 철강업체들 및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협업해 포스맥 등 소재를 태양광 부품으로 가공해 ATI가 참여하는 글로벌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공급합니다. 2023년까지 공급 예정 물량은 약 20만t입니다.

▲한화시스템, 스마트폰 활용 실시간 전투 상황 공유 시스템 개발한다

한화시스템이 방위사업청 주관 ‘개인전장가시화체계 체계개발’ 사업을 계약했습니다. 사업규모는 약 150억원으로, 업체 주도 무기체계 체계개발사업입니다. 2021년 8월부터 2024년까지 개발 및 시험평가를 거친 후 육군-해군-해병대에 전력화될 계획입니다.

▲현대중공업그룹, 해상용 이산화탄소 주입 플랫폼 개발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사인 현대중공업과 한국조선해양이 한국석유공사와 공동으로 ‘한국형 해상용 이산화탄소(CO₂) 주입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노르웨이 DNV로부터 기본승인(Approval In Principle)도 획득했습니다. 오는 2025년부터 동해가스전에 연간 40만 톤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지중 저장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6월말 은행 부실비율 0.54% '또 역대 최저'…"코로나 지원 착시효과"

6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0.54%로 집계돼 또다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코로나19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조치 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다만 정부의 금융 지원책이 끝날 경우 코로나발 '착시 효과'에 가려진 대출 부실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금융거래 없어도 정수기 렌털 가능” LG전자, 사회초년생・대학생 위한 새 신용평가제 도입

LG전자가 업계 최초로 비금융정보 기반 신용평가모형인 텔코스코어를 연내 도입할 예정입니다. 통신비 납부에 기반한 신용평가모델로, 금융 거래 실적이 적은 사회초년생, 대학생, 주부 등이라도 LG전자 가전을 렌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2년 뒤 상장 목표, 11번가 vs SSG닷컴...이커머스 시장 '끝장승부' 나선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을 네이버(17.4%)와 쿠팡(13.6%)이 양분하고 있는 가운데, 11번가가 오늘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를 오픈했습니다. 이에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한 신세계(SSG닷컴)와 11번가 간의 치열한 싸움이 시작됐습니다. 특히, 두 회사는 2023년까지 반드시 상장을 해야하는 상황으로 각 회사가 가진 모든 전력을 쏟아부을 기세입니다. 

▲올해 첫 5G 품질평가, "속도 SKT · 커버리지 LGU+ · 다중시설 KT" 1위

서울과 6대 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85개 시에서 SK텔레콤의 5G(5세대 이동통신) 다운로드 속도가 통신 3사 중 가장 빠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평균 커버리지 면적은 LG유플러스가 높았고, 백화점·지하철·대학 등 주요시설에서의 5G 구축은 KT가 비교 우위를 보였습니다.

▲넷마블 '가상 아이돌' 나온다…'메타버스엔터' 설립

넷마블이 글로벌 메타버스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각오를 밝혔습니다. 넷마블의 개발 자회사 넷마블에프앤씨는 지분 100%를 출자해 자회사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습니다. 가상현실 플랫폼을 개발하고, 버추얼(가상의) 아이돌 매니지먼트 등 게임과 연계된 메타버스 콘텐츠를 제작해 관련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中 청소년들 일주일에 게임 3시간 제한

앞으로 중국 청소년(미성년자)들은 주중에 게임 접속이 불가할 전망입니다. 중국의 게임 부문을 총괄하는 국가신문출판서는 청소년의 게임 중독이 너무 심하다고 판단해, 게임 접속 차단 규제를 대폭 강화했습니다. 다만 중국 미성년자 관련 매출 비중이 크지 않아 국내 게임사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삼양·오뚜기, 시각장애인 점자 표기 라면 출시

오뚜기와 삼양식품이 업계 최초로 점자 표기 컵라면을 출시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취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용기 외부에 만질 수 있는 선을 새겨 넣어 이를 통해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점자 표기는 향후 컵라면 전 제품에 확대 적용될 예정입니다.

▲LG생활건강, 美헤어케어社 ‘보인카’ 지분 56%, 1억 달러에 인수

LG생활건강이 미국 헤어케어 브랜드 ‘알틱 폭스(Arctic Fox)를 보유한 보인카(Boinca) 지분 56%를 인수했습니다. 취득금액은 1억 달러, 한화로 약 1164억원입니다. 알틱 폭스의 미국 내 높은 인지도를 기반으로 글로벌 하이엔드 패션 헤어케어 시장으로 진입할 목적입니다. 향후 LG생활건강은 보인카의 잔여지분 전체를 취득할 계획입니다.

▲중고차 1위 케이카, 반기 사상 최대 실적 경신

국내 최대 직영중고차 기업 K Car(케이카)가 중고차 시장 호황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상반기 누적 매출 9106억원, 영업이익 38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반기 만에 지난 한 해 실적(377억원)을 뛰어넘었습니다. 브랜드 인지도와 품질 신뢰도가 향상되며 중고차 사업부문 실적이 대폭 성장한 것이 주효했습니다.

▲대기업, 중고차 진출 합의 또 불발…거래대수 등 첨예 대립

완성차 업계의 중고차 시장 진입 관련 상생안 도출 합의가 끝내 무산됐습니다. 핵심인 거래 대수와 완성차 업계의 중고차 매입 방식을 놓고도 첨예한 갈등이 이어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2주간의 협의기간을 갖기로 했으나 업계에서는 공이 중소벤처 기업부로 넘어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대우건설, 3876억 용인수지 현대 리모델링 계약

대우건설이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700-1번지 일대에서 진행되는 ‘수지 현대아파트 리모델링사업’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대우건설이 12년 만에 단독으로 추진하는 리모델링 사업입니다. 총 공사비는 3876억원 규모입니다.

▲공사 늦다고 하도급계약 일방해지…엔에스건설 과징금 2.5억원

건설공사 하도급계약을 임의로 취소하는 등 하도급 갑질을 벌인 엔에스 건설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수급사업자에게 철근콘크리트공사를 위탁한 후 해당 건설위탁을 임의로 취소한 엔에스건설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2억 5천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지금까지 8월 31일 퇴근길 써머리였습니다.

원세영 에디터 130seyoung@gmail.com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