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답극동 리모델링 조감도. [사진자료=쌍용건설]
[시티타임스=서울] 아파트 공사비 인상을 둘러싼 갈등이 리모델링 단지에서도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조합과 시공사간 갈등이 깊어지면서 이주완료 10개월이 지나서도 착공에 들어가지 못하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에 위치한 '신답극동아파트'는 지난해 11월 중순 이주 완료했지만 10개월째 첫 삽도 뜨지 못하고 있다. 애초 착공 예상 시점은 올해 6월이었지만, 조합과 시공사인 쌍용건설 간 공사비 협상이 길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합은 지하 1층~지상 15층, 2개 동, 총 225가구 단지를 지하 3층~지상 17층, 총 254가구로 수평증축형 리모델링을 추진하며 시공사로 쌍용건설을 선정했다.
지난해 5월 본계약 체결 당시 공사비는 3.3㎡(1평)당 660만원이었는데, 쌍용건설이 올해 들어 평당 870만원으로 인상이 필요하다고 요구하며 조합과 갈등을 겪고 있다.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은 통상 재건축보다 높은 공사비가 요구된다. 재건축은 전면 철거 후 다시 건물을 올리면 되지만, 리모델링은 기존 골조를 유지한 채 인력 철거가 이뤄지고 구조 보강도 함께 필요로 하다 보니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쌍용건설이 최근 평당 870만원에서 840만원으로 낮춰 다시 제안했지만, 조합은 평당 800만원 이상의 공사비는 부담이라는 입장이다. 조합 관계자는 "송파구의 오금아남이나 송파성지 아파트도 공사비가 평당 800만원을 넘지 않았다"며 "추석 연휴 이후 다른 시공사로 교체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박원순 시장 재임 시절 재건축·재개발 규제로 정비사업이 불가능해지자 서울 한강 변 등 알짜부지를 비롯해 서울 곳곳에서는 한때 리모델링 바람이 불었다.
그러나 초기 계약 이후 급격한 원자잿값 인상 등을 겪으면서 리모델링 공사비를 둘러싼 조합과 시공사의 갈등은 계속 불거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지에스건설이 처음으로 아파트 리모델링 시장에 진출한 강남구 청담건영의 평당 공사비는 900만원대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994년 준공된 청담건영은 19층 높이 2개 동, 총 240가구로 구성된 한강 변 아파트다. 조합은 고급 빌라가 많은 청담동 일대에 용적률이 397%에 달해 재건축 대신 리모델링을 선택했다.
GS건설은 2018년 청담건영 조합과 3.3㎡당 687만원으로 계약할 당시 국내 아파트 리모델링 공사 중 최고 금액이었다. 당시 리모델링 공사비는 3.3㎡당 평균 500만원 미만이었다.
이 아파트는 리모델링을 거쳐 총 262가구로 증축, 22가구를 일반 분양할 예정이다. 강남권인데다 한강변 상징적인 단지인 만큼 고난도의 설계를 계획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GS건설은 청담건영의 공사비 협상과 관련해 "(물가 상승률 등을 고려하면) 공사비 인상은 불가피하겠지만, 아직 조합에 공사비를 제안한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