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아파트 단지. [사진자료=뉴스1]
[시티타임스=서울] 수개월간 상승을 지속하던 서울 아파트 가격의 오름세가 최근 주춤하면서 시장에 매물이 쌓이고 있다. 가을 이사철을 맞아 거래가 증가해야 할 시점임에도 부동산 매매는 좀처럼 늘지 않는 분위기다.
18일 아파트 실거래가 정보 제공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달 들어 서울 일별 매도 물량은 줄곧 7만2000~7만4000건대를 유지 중이다. 지난 2020년 9월 집계 이래 최대치다.
지난해 시작된 하락 국면이 짧게 끝나고 최근 반등하자 매수자와 매도자 간 적정 가격에 이견이 커진 탓이다. 여기에 더해 정부가 이달 27일부로 '일반형' 특례보금자리론 판매를 중단하고 연휴가 시작하는 28일 전 추가 공급대책 발표를 예고하자, 시장은 거래를 멈추고 관망하는 분위기가 짙어졌다.
현재 부동산 시장의 관심은 정부가 예고한 공급대책에 쏠려 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5일 이달 20~25일 사이 공급대책 발표를 예고하면서다. 현재까진 비(非)아파트 규제 완화와 금융 지원을 통한 건설사 착공률 진작 등의 내용을 시사한 상황인데, 정확한 날짜가 나오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부처 간 조율할 게 많다'는 설명이다.
그러는 사이 시장에선 갖가지 소문이 무성하게 퍼지는 분위기다. 지난해 미국발(發) 금리인상으로 얼어붙었던 시장이 다시 활성화된 데에도 정부 정책이 주효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금껏 발표한 부동산 정책은 다주택자의 보유세·취득세·양도소득세 부담을 덜고 대출 규제를 완화하는 쪽으로 기울었다. 시장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해서였지만, 오히려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전고점의 85%를 회복하는 효과를 냈다.
이대로 가면 내년쯤 대통령의 후보시절 주장인 분양가상한제 폐지가 현실화할 것이란 기대마저 나온다. 올해 1·3 부동산 대책 이후 현재 남은 규제지역은 강남 3구와 용산뿐인데, 마침 강남 지역 분양 물량 대부분이 내년으로 밀렸다.
다만 실제 분위기는 지역별·유형별 편차가 크다. 마포구 C 개업 중개사는 "문의는 늘었지만 실제 거래는 많지 않다. 정부 대책 발표 이후엔 그래도 시장이 좀 활성화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했고, 동대문구 D 중개사는 "아파트는 이제 좀 거래가 살아났는데 오피스텔은 여전하다. 앞으로 편차가 더 커질 것 같다"고 했다.
반면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는 강동구 E 중개사는 "어차피 지금 거래하시는 분들이 주로 실거주자"라면서 "대출을 일으키지 않아도 되는 분들도 많다. 2021년 고점 때 집 팔고 전세 살면서 시장 상황 지켜봤다가 만기 돼서 오시는 분들이라 대출 규제나 정책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