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를 매도할 때인가요? 7월 추천 주식 목록 받고 프로픽 AI에서 매도 타이밍 확인하기 🤔50% 할인받기

퇴직연금 판매상품, 중소형사 배제 검토

입력: 2022- 12- 19- 오전 03:08
© Reuters.  퇴직연금 판매상품, 중소형사 배제 검토
005490
-

퇴직연금 상품을 제공하는 금융회사에도 기존 퇴직연금사업자에 준하는 등록 요건을 부여하는 ‘상품제공기관 라이선스 제도’가 도입될 전망이다. 1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고용부는 이정식 장관 주재로 오는 21일 금융권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퇴직연금 제도 개선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금융권 최고경영자(CEO) 13명이 참석한다. 이들 금융사는 모두 현행법상 퇴직연금사업자로 등록돼 있다.

누적 적립금이 300조원에 달하는 퇴직연금을 놓고 비사업자인 중소형 금융사 위주로 고금리 과당 경쟁이 빚어지면서 일부 퇴직연금사업 금융사가 연말 유동성 위기에 몰리는 등 시장 교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퇴직연금사업자인 대형 금융사와 금융당국이 주무부처인 고용부에 관련 법령 개정을 건의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용부 관계자는 “현행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퇴직연금사업자 등록 요건을 규정하고 있지만 상품제공기관에는 별다른 제약이 없는 게 사실”이라며 “다만 라이선스 제도가 자칫 근로자입장에서 퇴직연금의 수익률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크게보기 고금리 앞세운 유치경쟁 과열…퇴직연금 판매사 문턱 높인다

21일 고용부 주최 간담회서 논의…제도 도입땐 수익률 하락 우려도은행·보험·증권사 등 퇴직연금사업자들이 정부에 퇴직연금 상품제공기관 라이선스 제도 도입을 건의하기로 한 것은 최근 시중금리 급등으로 일부 중소형 비사업자들이 고금리를 미끼로 무리한 퇴직연금 유치 경쟁에 나서면서 시장이 혼탁해지고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일부 보험·증권사들이 이 같은 ‘퇴직연금 머니무브’에 따른 유동성 확보를 위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신규 발행할 수밖에 없어 자금시장에도 적잖은 부담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제도 도입으로 금융회사 간 금리 경쟁이 완화되면 퇴직연금 운용 수익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비사업자, 고금리 미끼로 시장 교란18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은행·보험·증권 등 대부분의 금융사가 이달 들어 확정급여형(DB형) 퇴직연금에 제공하는 상품 금리를 줄줄이 인상했다. DB형 퇴직연금 상품은 12월 중 만기가 도래하는 비중이 70% 이상이어서 이때 자금을 유지하려는 금융사 간 금리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진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퇴직연금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중소형 금융회사들이 높은 금리를 제시하며 머니무브를 가속화하는 등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연 7.0%가 넘는 확정금리를 제공하겠다는 증권사 7곳 가운데 DB금융투자를 제외한 나머지 6곳은 모두 비사업자다.

이들 비사업자는 모두 증권사 자체 신용으로 발행하는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를 통해 퇴직연금 이자수익을 제공한다. 만약 해당 증권사가 파산하거나 부도가 날 경우 원금 손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다 비사업자는 매달 운용상품 금리를 4영업일 전까지 홈페이지에 공시해야 하는 의무가 없어 다른 경쟁사의 금리를 참고해 더 높은 금리로 고객을 빼앗는 ‘커닝 공시’ 논란이 일기도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부분의 은행 보험사들이 책임 있는 퇴직연금사업자로서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운용 전략을 펼치고 있는 데 반해 중소형 비사업자들은 당장 급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리한 수준의 금리로 물량을 빨아들임으로써 오히려 시장을 망가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품제공기관도 등록 요건 강화”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퇴직연금 상품제공기관에 대해서도 퇴직연금사업자에 준하는 등록 요건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현행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르면 퇴직연금사업자는 인적·물적 투자, 재무건전성 등 까다로운 등록 요건을 충족해야 하지만 상품제공기관에 대해서는 이 같은 규제가 전혀 없다.

상품제공기관 라이선스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관련 법령 개정 권한을 갖고 있는 고용노동부의 협조가 절실하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이 오는 21일 주재하는 금융권 간담회 행사에 이복현 금감원장을 비롯해 퇴직연금사업자 최고경영자(CEO) 13명이 총출동하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금융당국도 이런 문제를 인지하고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있으나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결국 칼자루를 쥔 고용부가 나서야 한다”고 했다. 고용부는 이 같은 금융권의 제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곽용희 /이호기 기자 kyh@hankyung.com

'민노총 꼼수'에 당한 고용부…포스코 (KS:005490) 탈퇴 두번 퇴짜놓고 뒷...

고금리 앞세운 유치경쟁 과열…퇴직연금 판매사 문턱 높인다

인터넷은행 전환설에 껑충…풍문에 널뛰기하는 제주은행

다주택자·임대사업자 주담대 허용

이복현 "美금리 불확실성 여전…변동성 철저히 대비 당부"

라임 때 처음 등장한 'CB 공장'…당국 무관심이 피해 키웠다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