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부호들의 포트폴리오 속 종목을 따라 매수하는 75만명의 투자자들과 함께하세요!참여하기

이자로 번돈만 '9조'…금리 인상에 은행만 '호황'

입력: 2022- 10- 26- 오전 03:09
© Reuters.  이자로 번돈만 '9조'…금리 인상에 은행만 '호황'
105560
-

KB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금융지주가 올해 3분기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오르면서 은행의 이자이익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4대 금융지주에 속한 네 개 은행이 3개월 동안 거둬들인 이자이익만 8조4396억원에 달했다. 이미지 크게보기 25일 지난 3분기 실적을 발표한 4대 금융지주의 합계 순이익은 4조8876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3분기(4조1208억원)보다 18.6% 늘었다. 역대 최대였던 올 1분기(4조5951억원)에 비해서도 6.4% 증가했다.

최대 실적을 거둔 곳은 신한금융으로 순이익이 1조5946억원에 달했다. 분기는 물론 3분기 누적 순이익(4조3154억원)도 역대 최대다. 하나금융도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한 1조1219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3분기 기준 최대 순이익을 냈다. 우리금융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 늘어난 8998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KB금융은 증권과 보험 등 부진으로 3분기 순이익이 작년보다 2.1% 줄어든 1조2713억원이었다.

은행이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로 벌어들인 이자이익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의 올 3분기 이자이익은 2조4030억원과 2조1397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22.5%, 28.1% 늘었다. 하나은행(1조9759억원)과 우리은행(1조9210억원)도 2조원 가까운 이자이익을 냈다.은행, 이자로 번돈 9兆…지주 '실적질주' 견인

대출금리 오르며 이자 쓸어담아KB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금융지주가 올해 3분기(7~9월) 5조원 가까운 순이익을 내면서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대출금리 상승으로 9조원 가까운 이자를 벌어들인 은행이 증권사와 보험사 등 비은행 계열사의 부진을 만회한 덕분이다. 하지만 대출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 이자 부담 증가로 서민들의 고통이 커지고 기업들의 수익성도 나빠지고 있는데 은행들만 나홀로 호황을 누린다는 지적이 많다. ○은행 예대마진 확대 효과25일 3분기 실적을 발표한 4대 금융지주의 합계 순이익은 4조8876억원으로 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했다. 금리 인상기를 맞아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빠르게 올리면서 예대마진(대출과 예금 금리 차이에 따른 이익)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4대 금융지주에 속한 국민(2조4030억원) 신한(2조1397억원) 하나(1조9759억원) 우리(1조9210억원) 등 은행 4곳의 3분기 합계 이자이익은 8조4396억원에 달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은행 대출금리(잔액 기준)가 평균 0.8%포인트 오르는 동안 예금금리 인상폭은 0.52%에 그쳤다. 은행의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NIM이 1.72%로 지난해 3분기(1.57%)보다 0.15%포인트 올랐다. 이 덕분에 4대 은행이 올해 3분기까지 거둔 이자이익은 23조7757억원에 이른다.

내년 상반기까지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된 만큼 은행들의 이자수익은 더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정상혁 신한은행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기준금리 인상 효과로 내년 1분기에도 0.1%포인트가량의 NIM 추가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신한금융 리딩뱅크 탈환할 듯신한금융은 올해 3년 만에 KB금융을 제치고 ‘리딩뱅크(1등 금융지주)’ 자리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금융은 신한투자증권 서울 여의도 사옥 매각 이익(세전 4438억원)을 포함해 3분기 1조5946억원의 순익을 냈다. 3분기까지 누적 순익은 4조3154억원으로 KB금융 (KS:105560)(4조279억원)을 2875억원 차이로 앞섰다. 신한금융은 올해 금융지주 가운데 최초로 연간 ‘순이익 5조원 클럽’ 가입도 눈앞에 두게 됐다.

KB금융의 주력 계열사인 국민은행의 순익(8242억원)은 작년 3분기보다 6% 증가했지만 KB증권(-27.9%) KB손해보험(-35.6%) KB카드(-12.1%) 등 비은행 계열사들의 실적이 부진했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도 3분기까지 각각 2조8494억원과 2조6617억원의 순익을 달성해 연간 순익 3조원 시대를 열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비은행 사업 확대로 수익을 다각화하겠다던 4대 금융지주의 은행 의존도는 오히려 심화됐다. KB금융의 순이익에서 국민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3분기 58.3%에서 올해 3분기 67.2%로 높아졌다. 신한(60.1%) 하나(78.7%) 우리(89.1%)도 은행 의존도가 커졌다.

금리 상승 탓에 은행의 조달비용도 늘어나고 있어 올 4분기 실적은 3분기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연 3~4% 금리로 조달한 4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3분기에만 50조원가량 늘어난 반면 이자율이 연 0.1%에 그치는 요구불예금은 같은 기간 20조원 넘게 줄었다. 채권시장 유동성 위기 여파로 기업 대출 연체율이 증가할 경우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한층 커질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김보형/이소현 기자 kph21c@hankyung.com

"작년 연간 실적 넘었다"…우리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조6...

기아, 3분기 역대 최대매출에도…'품질비용 반영'에 아쉬운 ...

기아, 3분기 영업익 7682억…전년비 42.1% 감소

하나금융, 2022년 3분기 당기순이익 '1조1219억원'…...

"대출 성장 영향"…하나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조8494...

하나금융그룹,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2조 8,494억원 시현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