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부호들의 포트폴리오 속 종목을 따라 매수하는 75만명의 투자자들과 함께하세요!참여하기

카스티야·마야…'듣보잡 원유'까지 쓰는 정유사

입력: 2021- 02- 20- 오전 02:22
© Reuters.  카스티야·마야…'듣보잡 원유'까지 쓰는 정유사
LCO
-

국제 유가는 연일 오르는데 정유사 실적이 부진한 ‘이상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유가 상승으로 제품 마진을 높여야 하는데 수요가 살아나지 않아 마진을 높일 수 없는 탓이다. 과거 ‘유가 상승=정유사 수익 증대’라는 공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대에는 통용되지 않는 것이다. 정유사는 값비싼 중동산 원유 대신 중남미의 값싼 원유를 들여오고 정제를 여러 번 하는 등 수익성 개선을 위한 ‘마른 수건 짜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정제마진 상승은 미미해19일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국제 유가는 올 들어 연일 연중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국내 정유사가 가장 많이 들여오는 두바이유는 올 들어 23.7% 상승했다. 작년 말 배럴당 51.1달러였던 것이 전일 기준 63.2달러로 껑충 뛰었다. 브렌트유(상승률 23.4%), 서부텍사스유(WTI·24.7%) 등도 20% 이상 올랐다.

유가 상승은 정유사에 통상 실적 개선 요인이다. 정유사는 상승한 유가 이상으로 제품 가격을 올려 이익을 늘려왔지만 올 들어 마진 상승폭은 미미하다. 한 정유사 관계자는 “정제마진이 배럴당 4~5달러는 돼야 이익을 낼 수 있는데 1달러대에 머물러 있다”고 전했다. 싱가포르 정제마진은 작년 12월 월평균 배럴당 1달러에서 올 1월 1.4달러, 2월 1.7달러 수준이다. 소폭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손익분기점(BEP)을 한참 밑돈다. 팔수록 적자를 내고 있다는 얘기다.

원인은 부족한 수요에 있다. 최근 유가 상승은 수요 회복이 아니라 공급 부족에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 텍사스주의 기록적인 한파, 일본 후쿠시마현의 강진 등으로 미국과 일본 주요 정유설비가 일부 가동을 멈춘 영향이 컸다. 여기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올 들어 감산 조치를 이어가자 유가가 선제적으로 뛰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수요는 여전히 적은데 원유가만 뛴 것이다.

정유사로선 원료인 유가만 비쌀 뿐 정작 제품인 휘발유, 경유 등에서 이익을 못 내고 있다. 한승재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기름 수요가 2019년 이상으로 급격히 개선되지 않는 한 확연한 정제마진 상승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했다. ○체질 개선 나선 정유사작년 5조원 넘는 적자를 기록한 국내 정유사들은 ‘체질 개선’을 시도 중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최근 콜롬비아 카스티야 원유를 도입했다. 기존에 주로 썼던 중동산 원유에 비해 품질은 다소 떨어지지만 가격이 10% 이상 저렴하기 때문이다. 2015년부터 수입했던 멕시코산 마야원유도 작년 비중을 확 늘렸다. 회사 관계자는 “안정적으로 원유를 공급받기 위해 과거에는 가격이 다소 비싸도 중동산 원유를 들여왔으나, 요즘에는 그때그때 싼 원유를 현물시장에서 찾아 수입하는 일도 많다”고 했다. 현대오일뱅크의 중동산 원유 비중은 지난해 기준 41.8%였다. 2016년 84.5% 대비 절반 수준이다. GS칼텍스도 같은 기간 99.2%에 달했던 중동산 원유 비중이 73.5%까지 떨어졌다. 휘발유, 경유 등 수송용 기름 이외의 고부가 제품을 최대한 많이 생산하는 것도 최근 추세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1조원 넘는 적자를 내고도 윤활기유 부문에선 4263억원의 이익을 거뒀다. 고급 윤활유 수요 증가 덕분이다.

정제한 기름을 한 번 더 정제하거나 품질이 낮은 중질유를 정제하는 식으로 ‘마른 수건을 짜는’ 것도 수익성 개선 노력이다. 한 정유사 관계자는 “지난해 정유 설비 가동률이 역대 최저치까지 떨어졌지만 중질유를 처리할 수 있는 고도화설비는 풀가동했다”고 밝혔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美 원유 생산량 40% 꺾였다…"텍사스발 원유시장 혼란 온다...

美산유량 41% 책임진 텍사스 '블랙아웃'…세계 원유 공급망...

얼어버린 美 '에너지 심장' 텍사스…원전만 빼고 다 멈췄다

"사우디 원유 증산 검토…3월까지는 감산 기조 유지"

국제유가, 美 기록적 한파에 연일 상승…금값 8개월래 최저

코나 배터리로 '현금 비상' LG에너지…SK와 합의할까 [최...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