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세종시 세종호수공원 주변에서 자율주행버스 시승한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2023년까지 세종시에 자율주행버스를 총 200대 투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초연결 사회’로 상징되는 스마트시티를 세종시에 가장 먼저 건설하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무인 차량을 이 같이 대규모로 투입하는 건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연구원, 산업연구원 등 각 부처 및 연구기관은 세종시에 자율주행형 셔틀버스를 대량 투입하는 내용의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2021년 시범적으로 20대를 도입한 뒤 2023년 운행 대수를 총 200대로 늘리기로 했다. 관련 차량 예산만 총 600억원(대당 3억원)으로 추산된다.
세종시에 자율주행버스를 대량 투입하는 건 스마트시티 기반이 잘 조성돼 있기 때문이다. 세종시 전체 인구가 현재 33만여 명이지만, 계획도시인 행정중심복합도시만 보면 23만명 정도다. 주차장이 협소하고 대중교통 체계가 부족한 단점을 자율주행버스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란 게 정부 판단이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세종시는 BRT(간선급행버스)가 발달돼 있어 자율주행차를 투입하기 좋은 환경”이라며 “다만 사고 위험성을 감안해 초기엔 긴급 제동을 할 수 있는 인력이 운전석에 앉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세종시에서 자율주행차 상용화가 성공하면 각 산업단지와 대학 캠퍼스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크게 5개 지구로 쪼개져 있는 세종시에서 ‘5-1 생활권’에 자율주행버스를 먼저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5-1 생활권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이미 선정돼 있다. 교통연구원 관계자는 “약 8000가구가 거주할 5-1 생활권의 경우 아파트 단지 안에 주차공간을 두지 않을 정도로 대중교통을 우선시하게 된다”며 “무인 셔틀버스를 상용화하기엔 최적의 장소”라고 말했다.
현재 전세계에서 운행되고 있는 자율주행차는 1000대 정도다. 이 중 국내에 도입된 무인차는 작년 9월 경기 판교에서 시범 운행을 개시한 ‘제로셔틀’(11인승 미니버스) 2대 뿐이다. 그나마 40여차례 주행 뒤 보수·점검작업 중이다. 때문에 세종시의 자율주행버스 프로젝트 역시 계획대로 진행될 지 의문이란 지적도 나온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국토부, 다임러·볼보 덤프트럭 리콜
세종 소재 부처 장·차관 서울 집무실, 연말까지 완전 폐쇄
정부 간섭에 골병 드는 공기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