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ityTimes - 전기차 충전. [사진자료=뉴스1]
[시티타임스=한국일반] 정부가 전기차 판매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보조금을 올릴 방침이다. 국내 완성차 및 배터리 업계에 간접적인 수혜가 예상되지만,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은 만큼 파격적인 지원 정책이 아닌 이상 수요를 다시 크게 끌어올리기는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25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환경부는 이번주 전기차 보조금 확대 방안을 발표한다. 정부는 최근 전기차 판매가 위축됐다는 점을 고려해 보조금 지급 한도를 상향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한국수출입은행이 발간한 '자동차산업 2023년 상반기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순수전기차(BEV) 판매량은 약 7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2.6%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량이 45.4%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순수전기차 판매 둔화로 국내 친환경차 판매량에서 순수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33.0%로 떨어졌다. 지난해 상반기(42.7%) 대비 9.7%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기차 신차 등록 대수는 1만348대로 전년 동월 대비 31.9% 줄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전기차 보조금 집행도 더디다. 환경부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서울시의 전기차 보조금 집행률은 39.4%에 그쳤다. 서울시는 올해 1만3688대에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었는데 현재까지 5398대만 출고됐다.
현행법상 전기 승용차 보조금은 가격이 5700만원 미만이면 100%, 5700만원 이상 8500만원 이하면 50%가 지급된다. 최대 지급 액수는 중대형 전기 승용차가 680만원, 소형차가 580만원이다.
지난해에는 보조금 한도가 최대 700만원이었지만 올해 축소됐다. 정부가 전기차 수요를 끌어올리기 위해 보조금 한도를 한시적으로 상향한다는 방침을 세운 만큼 보조금 한도가 다시 700만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완성차 및 배터리 업계는 전기차 보조금 확대 정책이 올해 4분기 및 내년 1분기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국내 완성차 시장 점유율 77.3%를 기록한 현대자동차그룹은 8월까지 전기승용차 누적 판매량이 전년 동기보다 줄어든 상황이다.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5는 8월 누적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41.0% 줄었고, G80과 GV60, GV70도 각각 59.2%, 32.4%, 24.0% 감소했다. 기아는 EV6 판매량이 21.4% 줄었다.
배터리 업계도 간접적인 수혜를 기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전기차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배터리가 탑재된다.
다만 완성차 및 배터리 업계에서는 보조금 확대 정책에도 최근 경기 부진 등 영향으로 전기차 판매량이 큰 폭으로 증가할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다. 국내에서 순수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차량 선호도가 높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 확대가 실적에 반영되려면 완성차 출고 계획이 확대돼야 한다"며 "보조금 확대는 호재일 수 있지만 글로벌 경기가 부진해 실질적인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도 "이미 얼리어답터 고객은 전기차를 구입한 상태"라며 "내연차 대비 전기차 가격이 비싼 만큼 신규 고객이 진입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