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깜짝 선물! 워런 버핏의 성공적인 포트폴리오는 +49.1% 수익을 냈습니다.포트폴리오 복사하기

상장 첫날 111.6% 급등…버핏, 하루 만에 9500억원 벌었다 [이고운의 머니백]

입력: 2020- 09- 17- 오후 05:11
© Reuters.  상장 첫날 111.6% 급등…버핏, 하루 만에 9500억원 벌었다 [이고운의 머니백]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대형 기술주들의 주가가 일제히 하락하는 와중에 혼자서 ‘화끈한’ 수익률을 낸 초대형 신인 기술주가 등장했습니다.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이 이례적으로 공모주 투자자로 나서며 더욱 화제를 모은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기업 스노플레이크(Snow flake·티커 SNOW)입니다. 평소 ‘공모주 투자=복권’이라고 여기던 버핏 회장은 반세기 만에 본격적인 공모주 투자에 나선 결과 상장 첫날에만 1조원 가까운 차익을 올렸습니다. 82조원짜리 '무서운 신인' 스노플레이크, 우버 델 GM 시총 제쳤다 사진=REUTERS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신규상장한 스노플레이크는 공모가(120달러)보다 111.6% 급등한 253.93달러로 장을 마쳤습니다. 장중 한때 공모가보다 165.8% 높은 319달러까지 뛰었습니다. 같은날 나스닥시장에서 대장 기술주인 MAGAT(마이크로소프트· 애플·구글·애플·테슬라)가 일제히 하락한 것과 정반대입니다.

공모금액(33억6000달러) 기준으로 스노플레이크의 기업공개(IPO)는 미 소프트웨어 기업 중에서 사상 최대, 올해 뉴욕증시 기준으로는 전 업종을 통틀어 최대(스팩 제외)라는 기록을 썼습니다. 상장하자마자 주가가 공모가보다 104% 뛰었는데요. 뉴욕증시 역사상 2006년 이후 14년만에 최대 상승폭이라고 합니다. 지난 2월 프리IPO(상장 전) 투자유치 당시 기업가치보다 상장 첫날 시총이 6배 불어났습니다.

이날 종가를 기준으로 스노플레이크의 시가총액은 705억달러(약 82조원)입니다. 우버(660억달러), 델(503억달러), 제너럴모터스(455억달러) 등 미 주요기업들의 시총을 단숨에 제쳤습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꽤 유명하긴 했지만 일반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2012년 설립된 적자 스타트업의 기업가치가 시장에서는 이 수준으로 인정받은 겁니다. 기업 경영에서 데이터의 활용이 중해지고, 이에 따라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이전해 통합 관리하려는 수요가 이제 시작됐기 때문에 스노플레이크의 본격적인 성장도 이제부터라는 기대가 반영됐습니다. 스노플레이크의 최근 연간(지난해 2월~올 1월) 매출은 전년보다 174% 늘어난 2억6470만달러였고 이 기간 적자는 1억7100만달러였습니다. 이 회사는 아마존웹서비스 등 쟁쟁한 기업의 경쟁자로 꼽히기도 합니다.

스노플레이크의 화려한 데뷔는 성장기업, 그 중에서도 기술기업에 대한 엄청난 투자수요를 보여줍니다. 대형 기술기업 주가가 과도한 밸류에이션 논란과 나스닥 조정으로 최근 출렁이고 있지만, 스노플레이크의 성공을 볼 때 여전히 투자자들은 기술기업이 미래라고 여기는 듯합니다. 스노플레이크와 같은날 나스닥에 신규상장한 소프트웨어 회사 제이프로그(JFrog)도 공모가보다 47.25% 뛴 64.79달러로 마감했습니다. 버핏, 스노플레이크 공모주 투자로 상장 첫날 9500억원 벌었다지난 8일 버핏 회장이 스노플레이크에 투자한다는 소식이 알려졌을 때 시장이 놀란 이유는 두가지였습니다. 일단 벅셔해서웨이가 기술기업, 그것도 스타트업 투자에 손을 댔다는 점입니다. 벅셔해서웨이가 애플 투자로 좋은 실적을 내며 기술기업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긴 했지만 바로 기술 스타트업에 손을 뻗을 것이라는 예상을 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습니다.

두번째 이유는 버핏 회장이 공모주 투자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동안 벅셔해서웨이는 공모주 투자에 큰 관심이 없었습니다. CNBC에 따르면 버핏 회장은 1956년 포드자동차 공모주 투자 이후에는 공모주시장에 발을 딛지 않았다고 합니다. 지난해에는 CNBC에 출연한 버핏 회장이 “54년 동안 공모주 투자라는 것을 해본 적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2016년에는 공모주 투자란 복권 매입이라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벅셔해서웨이가 2018년 브라질 디지털결제회사 스톤코의 IPO시 투자하긴 했지만 벅셔해서웨이에서는 주요 투자로 여기진 않는 듯합니다. 이번 스노플레이크 투자도 버핏 회장의 측근인 벅셔해서웨이 임원들이 주도했다는 후문입니다.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 /사진=EPA

어쨌든 ‘대박’이 났습니다.

벅셔해서웨이는 공모가 기준으로 2억5000만달러어치를 매수하기로 했습니다. 또 역시 공모가로 스노플레이크 구주 소유자로부터 400만주를 사들이기로 했습니다. 그렇다면 스노플레이크 공모가를 기준으로 벅셔해서웨이는 7억3000만달러(약 8570억원)을 투자했고, 16일 종가를 기준으로 한 보유지분 가치는 약 15억4000만달러(약 1조8000억원)가 됩니다. 그렇다면 벅셔해서웨이가 스노플레이크 상장 첫날 거둔 평가차익만 8억1000만달러(약 9500억원)입니다.

버핏 회장처럼 미 공모주에 투자하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난 7월 ‘SK바이오팜의 무서운 질주…미국 새내기주도 그래요’에서도 소개해 드렸듯이 IPO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투자나 상장 후 매입, 관련 펀드 투자 외에는 선택지가 없습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개인의 공모주 청약제도가 없습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뉴욕증시, 연준 장기 저금리 확인에도 기술주 불안…다우, 0...

美 Fed "3년간 제로 금리…모든 지원책 동원"

"역사상 가장 극적"…코로나 와중에 주가만 급등한 이유

뉴욕증시, 미·중 경제지표 호조에 상승…나스닥 1.21%↑

뉴욕증시, 상승 출발…中 경제지표 호조 영향

美증시 뜨겁게 달굴 'IPO 大魚'들이 온다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