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깜짝 선물! 워런 버핏의 성공적인 포트폴리오는 +49.1% 수익을 냈습니다.포트폴리오 복사하기

작년 국민연금 최애 업종 IT·전자…삼성전자 34조 최대 보유

입력: 2024- 01- 17- 오후 05:13
© Reuters.  작년 국민연금 최애 업종 IT·전자…삼성전자 34조 최대 보유
005380
-
000660
-
005930
-
006400
-
000270
-
035420
-
005490
-
207940
-

CityTimes - [시티타임스=한국일반]

2022~2023년 국민연금 지분투자 상위 10개사(CEO스코어 제공)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국민연금이 지난해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상장사는 모두 281곳으로 집계됐다. 2022년보다 6곳 줄었다.

업종별로는 5% 이상 투자 종목 7개 중 1곳꼴로 정보기술(IT)·전기전자여서 가장 많았다. 2022년 투자 비중 1위였던 지주(금융지주 포함한 지주사) 업종은 2위로 내려 앉았다.

같은 기간 국민연금 지분율 증가폭이 가장 큰 종목은 효성중공업(298040)으로 나타났다. 감소폭이 가장 큰 종목은 SK렌터카(068400)였다.

◇지분 10% 이상 투자 종목 늘려…IT·전기전자 가장 많아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17일 국민연금이 2022년 12월~2023년 12월 기준 국내 상장사 중 5% 이상 투자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국민연금의 5% 이상 투자 종목 수는 281개로 전년(287개) 대비 6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만 10% 이상 투자한 종목은 2022년 36개에서 지난해 43개로 7개 증가했다.

국내 코스피 지수가 지난해 말 2655.28로 전년 대비 400p 넘게 치솟는 동안 국민연금은 안정적인 성과 제고와 위험 분산을 위해 내실 있는 기업에 대한 주식 투자를 대폭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22개 업종(281개 기업) 가운데 5% 이상 투자 종목이 가장 많은 업종은 IT·전기전자였다. 2022년 말 37개(전체 투자 종목의 12.9%)였던 IT·전기전자 종목 수는 지난해 41개(14.6%)로 4개 늘었다.

이어 △지주 40개(14.2%) △석유화학 26개(9.3%) △서비스 24개(8.5%) △조선·기계·설비 23개(8.2%) 순이었다. 이들 4개 업종의 5% 이상 투자 종목 수는 전년 대비 감소했다.

◇지분율 최대 종목은 LS…지분율 증가폭 최대는 효성중공업 (KS:298040)

국민연금 보유 지분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LS (KS:006260)였다. LS 지분율은 2022년 13.54%에서 지난해 13.85%로 0.31%p 늘었다. 2위 LIG넥스원(079550)은 지난해 13.53%를 기록하며 전년보다 0.84%p 증가했다.

국민연금 보유 지분율 상위 5위 중 화장품 ODM 기업은 두 곳이나 됐다. 코스맥스 (KS:192820)가 13.35%로 3위에 올랐고, 13.2%를 기록한 한국콜마(161890)가 5위다.

효성중공업은 지난해 국민연금이 지분을 가장 많이 늘린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2022년 6.04%에서 지난해 5.25%p 오른 11.29%를 기록했다. 초고압 변압기, 전력 설비 등 신규 수주 확대로 인한 실적 개선 기대감이 국민연금의 투자를 이끌어낸 것으로 풀이된다.

솔루엠 (KS:248070) 지분율 증가폭도 컸다. 2022년 5%에서 지난해 10.19%로 5.19%p 늘었다. 이는 전기차 충전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본 것으로 분석된다.

지주사 종목 중에서는 CJ (KS:001040)(001040)가 가장 크게 늘었다. 2022년 7.84%였던 CJ에 대한 지분율은 1년 만에 12.94%로 5.1%p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세아제강지주는 4.56%p 오른 10.17%를 기록했다.

이어 지분율 증가폭이 높은 종목은 △효성티앤씨 (KS:298020) 4.54%p(7.16%→11.7%) △한올바이오파마 (KS:009420) 4.23%p(8.11%→12.34%) △이수페타시스 (KS:007660) 3.91%p(8.92%→12.83%) △한국콜마 (KS:161890) 3.4%p(9.8%→13.2%) △삼양식품 (KS:003230) 2.78%p(9.94%→12.72%) △파마리서치(KQ:214450)(214450) 2.77%p(7.17%→9.94%) 등이었다.

◇SK렌터카 지분율 급감…두산·콘텐트리중앙도 크게 감소

SK렌터카 지분율은 1년 새 8.06%p 급감했다. 2022년 8.66%에서 0.6%까지 떨어졌다. SK렌터카가 SK네트웍스의 자회사로 편입되는 데 따른 매도 때문이다. SK렌터카 최대주주인 SK네트웍스는 지난해 8월 SK렌터카의 완전 자회사 편입을 결정하고, SK렌터카 주식 공개매수를 실시한 바 있다.

두산(000150) 지분율 감소도 컸다. 2022년 13.6%에서 지난해 6.19%로, 무려 7.41%p 폭락했다. 지주사 중 가장 큰 폭의 감소다. 두산로보틱스 (KS:454910)가 지난해 10월 상장하면서 두산에 대한 기업 평가가 낮아지자 국민연금도 투자 철회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콘텐츠 제작·유통, 극장 운영 등 사업을 하는 콘텐트리중앙 (KS:036420)(036420)은 지분 감소폭이 세 번째로 높은 종목이었다. 지분율은 1년 새 6.86%p 떨어져 4.52%에 그쳤다.

이어 △포스코인터내셔널 (KS:047050)(047050) -5.26%p(10.15%→4.89%)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4.94%p(6.87%→1.93%) △에스엠(041510) -4.64%p(8.96%→4.32%) △HD현대에너지솔루션 (KS:322000)(322000) -3.86%p(8.48%→4.62%) △대웅제약 (KS:069620)(069620) -3.8%p(10.9%→7.1%) △동아쏘시오홀딩스 (KS:000640)(000640) -3.8%p(13.26%→9.46%) △동국홀딩스 (KS:001230)(001230) -3.79%p(5.99%→2.2%) 순이었다.

◇지분 가치 1위는 '34.5조' 삼성전자…SK하이닉스·LG엔솔 2~3위

국민연금이 5% 이상 투자한 종목 중 보유 지분 가치가 가장 큰 기업은 삼성전자(KS:005930)다. 지난해 삼성전자 지분율은 7.35%로, 가치는 34조4646억원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 지분율은 2022년(7.53%) 대비 0.18%p 줄었는데도 지분 가치는 주가 상승 영향으로 24조8511억원 대비 9조6135억원이나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비중은 국민연금 5% 이상 투자 종목의 전체 지분 가치 138조2732억원 중 4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분 가치 2위는 지분율 7.9%의 SK하이닉스(KS:000660)로 국민연금이 8조1396억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2022년 3조9301억원에서 배 이상 확대됐다.

LG에너지솔루션 (KS:373220)은 5조7378억원(5.74%)으로 3위에 올랐다.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 3조6354억원(6.72%) △NAVER (KS:035420) 3조3961억원(9.34%) △현대자동차(005380) 3조1619억원(7.35%) △기아 (KS:000270) 2조8843억원(7.17%) △POSCO홀딩스 (KS:005490) 2조8338억원(6.71%) △LG화학 (KS:051910) 2조5924억원(7.36%) △삼성SDI (KS:006400) 2조5592억원(7.88%) 등이었다.

국민연금이 최대주주인 투자 종목은 2022년 △DGB금융지주 (KS:139130) △KB금융 (KS:105560) △KT (KS:030200) △KT&G(033780) △NAVER (KS:035420) △신한금융지주회사(055550) △POSCO홀딩스 (KS:005490) △하나금융지주 (KS:086790) 등 8개였으나 지난해 KT&G가 제외돼 7개로 줄었다.

국민연금 지분율 증가·감소 상위 10곳(CEO스코어 제공)

시티타임스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