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부호들의 포트폴리오 속 종목을 따라 매수하는 75만명의 투자자들과 함께하세요!참여하기

20조 IPO 대어 크래프톤…투자·리스크 포인트

입력: 2021- 06- 15- 오전 02:14
© Reuters.  20조 IPO 대어 크래프톤…투자·리스크 포인트
036570
-

[이코노믹리뷰=정다희 기자] 크래프톤이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면서 기업공개(IPO)에 속도를 낸다. 투자업계는 견조한 실적 성장세에 크래프톤의 기업가치를 최소 20조원 이상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인기작 배틀그라운드에 매출이 편중된 점과 장외 시장에서의 주가 급등은 부담요인으로 지목된다.

크래프톤의 흥행작 배틀그라운드. 출처=뉴시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지난 11일 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한 후 증권신고서 제출을 앞두고 있다. 증권신고서 제출 이후에는 기업 IR, 수요예측을 거쳐 일반 투자자 대상의 공모주 청약 일정이 진행된다.

투자업계에서는 크래프톤의 기업가치가 최소 20조원을 넘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인 증권플러스 비상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크래프톤의 주가는 55만5,000원선으로 추정 시가총액은 24조171억원이다. 국내 게임 상장사 시총 1위 엔씨소프트 (KS:036570)(18조8,146억원)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지난 2007년 설립된 크래프톤은 게임소프트웨어 개발과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게임 개발 및 유통(퍼블리싱)사다. 흥행작으로는 ‘배틀그라운드’가 있다. 배틀그라운드는 지난 2017년 출시된 배틀로얄 장르의 서바이벌 게임으로 출시 13주 만에 판매량 400만장, 누적매출 1억달러(약 1,117억원)를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매출액은 1조1,200억원→1조8,74억원→1조6,704억원으로, 영업이익은 3,002억원→2,593억원→7,738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영업이익률도 2018년 26.81%에서 2019년 33.04%, 2020년 46.33%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 1분기 기준 매출액은 4,610억원, 영업이익은 2,271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기준 영업이익률은 49%에 달한다. 이처럼 견조한 성장세와 높은 영업이익률에도 불구하고 배틀그라운드에 편중된 매출, 높은 중국 의존도, 차기작 부진 등이 투자 부담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배틀그라운드라는 초흥행작 한 편이 회사의 실적을 견인하고 있는데다 차기작으로 내놓은 엘리온 등이 인기를 얻지 못하면서 크래프톤이 ‘원히트원더’로 남을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게임업계에서는 이렇다 할 후속작이 나오지 않는다면 선데이토즈(애니팡), 데브시스터즈(쿠키런), 액션스퀘어(블레이드), 썸에이지(영웅) 등과 같은 수순을 밟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텐센트가 크래프톤에 투자하면서 중국 리스크가 부각된 점도 부담요인이다. 지난해 11월부터 크래프톤은 주요 시장인 인도에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서비스를 중단했다. 중국과 국경분쟁을 겪고 있는 인도가 지난해 9월 현지 배급사인 텐센트의 인도 활동을 제재하면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을 퇴출시켰기 때문이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크래프톤 매출의 8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FPS(1인칭슈팅게임) 장르 특성상 고객 이탈율이 높다는 점도 향후 성장세에 제동을 걸 수 있다.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의 PC 온라인게임 오버워치가 배틀그라운드와 에이팩스레전드로 분산됐고, 앞서 국내 FPS 장르에서도 고객 이동이 다수 일어난 바 있다. 이 때문에 비슷한 신작이 흥행에 성공할 경우, 배틀그라운드도 고객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기존 배틀그라운드의 해외 판권은 텐센트가 대부분 갖고 있지만 신작의 경우 크래프톤이 해외 판권을 갖는 데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면서 “단일 흥행작에 대한 부담은 게임의 라이프 싸이클(생애주기)이 짧다는 데에 기인하는데, (스타크래프트를 아직도 플레이하는 것처럼) 배틀그라운드의 경우는 그런 부담이 낮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공모주 청약 열기에 인기 종목을 선점하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장외 시장 가격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상장 후 수익률에 대한 기대감으로 장외주식 거래가 늘면서 주가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상장을 앞 둔 비상장주식에 투자할 경우 상장 후 주가가 공모가를 상회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하락하게 될 가능성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현재 장외가격이 많이 높아진 상태"라면서 "단일 게임 등 리스크를 고려했을 때 공모주 청약 경쟁이 치열하다고 해서 지금 장외시장 가격에 매수를 하는 건 부담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