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2월02일 (로이터브레이킹뷰스) - 환율 움직임이 말보다 더 중요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점을 배우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1995년 이후 자국 정책의 초석이었던 강달러의 종말에 대해 서로 모순되는 시그널들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시장은 무역에 가장 의존적인 지역인 아시아에 문제를 초래할 약달러 시대가 도래했다고 확실하게 믿고 있다.
지켜볼 부분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아시아의 수출품이 경쟁력을 잃으면서 무역 규모가 감소한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기업들이 달러 이익을 자국 통화로 환전하면서 이익이 줄어든다는 점이다.
2017년의 달러 약세는 이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삼성전자는 실적이 전망에 미치지 못한 이유로 원화 강세를 꼽았고, 한국 경제는 4분기 전분기 대비 위축됐다. 한국은 아시아산 제품의 수요 변화를 감지하는 풍향계로 여겨지기도 한다. 또 하나의 선행지표 격인 싱가포르의 제조업 생산도 12월 중 전년비 3.9% 줄었다.
달러가 더 약화되면 이런 역풍은 한층 더 거세질 것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기업들에 디플레 타개를 위해 임금을 인상하라고 재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아시아 통화들의 강세를 주도하고 있는 엔에 대한 우려로 기업가들은 임금 인상 의지가 더욱 줄어들 수도 있다. 중국의 경우 수출품 가격이 비싸지면서 6.5% 이상의 성장률 유지가 더욱 어려워진다. 미국 기업에 비해 아시아 기업들이 갖는 불리한 위치는 아시아의 주가 재평가를 초래할 수도 있다.
트럼프의 약달러 도박이 외환시장에 새로운 대립 상황을 초래하는 것이 가장 큰 리스크다. 그의 정책 변화는 중국을 겨냥한 것이지만, 한국과 일본, 동남아 정부들은 자국통화 강세를 억제하거나 약화시키기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느끼게 될 수 있다. 한국과 필리핀 등의 중앙은행들은 추가 절상을 초래할 수 있는 금리 인상 연기에 유혹을 느낄 수도 있다.
아시아가 미국 재무부와 싸우려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자국 통화 강세를 제한하기 위한 중앙은행들의 조치는 오히려 환율 조작이라는 백악관의 비난이나 직접적인 보복 관세에 직면하게 될 리스크가 있다. 신중한 통화 및 재정 완화 조치를 도입하고 혁신과 생산성, 생활수준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것에 보다 큰 성공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트럼프가 절하 전략을 완성한다면 아시아 국가들이 할 수 있는 것은 그 여파를 완화시키는 것 뿐이다.
* 이 칼럼은 윌리엄 페섹 칼럼니스트의 개인 견해로 로이터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칼럼원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