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전국 초중고의 정식 개학일이 계속 연기되면서 1만여개 학교 급식 관련기업들이 벼랑끝으로 몰리고 있다. 학교 급식 시장은 연간 5조6000억원 규모. 관련업체만 1만 여개에 달한다. 전국학교급식업체조합 회원들은 지난 달 30일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개학이 1주 후 다시 2주 이런 식으로 계속 미뤄지면서 냉장과 신선식품을 사놨다가 폐기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4월도 휴업하면 3곳 중 1곳은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국내 학교 급식은 99%가 학교가 직접 업체를 선정해 진행하는 직영형태로 이뤄진다. 학교 소속 영양사가 매달 입찰을 통해 공산품·농산물·축산물·수산물·김치 분야 납품업체를 각각 선정한다. 급식시장은 진입장벽은 높고 수익성을 떨어진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국산 친환경·유기농 식재료를 사용해야 하고, 공산품도 까다로운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소규모 업체가 들어가기 힘들고, 들어가도 버티기 어렵다. 그래서 짧게는 10년, 길게는 30년을 해 온 장수 업체가 대부분이다. 연매출 100억~200억원대 기업도 있지만, 평균 영업이익률은 2~3%에 못 미친다.
학교 급식업체들은 1년 중 방학등을 제외하면 평균 185일을 일한다. 학기가 시작되는 3월과 9월에 1년 먹고 살 것을 벌어야 한다. 그러나 2월 중순부터 개학 시기가 1주, 2주 간격으로 미뤄지면서 대부분의 업체들은 신선식품과 가공식품을 직매입 했다가 모두 버려야 했다. 개학을 곧 할 것 같다는 희망을 갖고 휴업 신청도 못한 채 매월 1억원이 넘는 임대료와 인건비 등을 지출했다. 서울 5대 급식 직접 납품업체 중 하나인 A사 대표는 "20년간 회사를 운영하며 직원 월급을 못 준 일이 없었다"면서 "코로나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두 달간 급여의 50%씩만 지급하고 나머지는 정식 급식이 시작되면 3개월에 걸쳐 나눠주기로 했다"고 말했다.
조합은 도산을 막기 위한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3월에 낙찰된 업체를 개학 시기 때 재입찰 과정 없이 이월할 수 있도록 하고, 직원들의 고용 안정을 위해 교육부에 이미 지급된 급식비 예산을 긴급 자금으로 집행해 달라는 등의 요구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학교에 보증보험을 끊어주는 방식으로 급식비를 선지급 받으면 당장 폐업은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학교 급식 납품 업체들이 무너지면 개학 이 후 큰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생 업체들과 계약할 경우 급식 사고 등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 급식은 각 시·도 교육청 관할로 수 많은 업체가 매월 입찰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면서 "교육부에서 단일 지침을 내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서울시 확진환자 총 478명…해외입국자 자가격리 조치
과총-의학한림원, '코로나19 중환자 대응실태' 알린다
코로나19 피해기업에 금융지원 해드립니다.
UAE 두바이, '코로나19 덕에' 두달간 주요 범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