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NASDAQ:TSLA) CEO가 29일(현지시간) MWC 2021 현장에서 위성 기반 인터넷 통신 서비스인 스타링크에 최대 300억달러를 투자할 것이라 밝혔다. 6만9,000명 수준인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 가입자는 1년 내 50만명으로 늘어날 것이라 전망했으며 오는 8월 극지방을 제외한 지구의 전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 강조했다.
스타링크는 저궤도 소형위성 1만2,000개를 쏘아올리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지난달 첫 번째 궤도 위성망 셀 구축작업을 마무리한 상태다. 현재 1,800개의 저궤도 소형위성이 하늘을 메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꿈꾸는 세상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하나의 지구’다. 이를 바탕으로 지구상에 작동하고 있는 머스크 월드의 기기들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생태계 외연의 확장을 키우려는 것이 스타링크의 정체성이다.
스타링크만 하늘을 메우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위성인터넷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며 그들의 비즈니스 모델도 조금씩 세분화되는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합종연횡의 가능성과 대규모 자본의 이동, 6G로 나아가는 이동통신 전략의 큰 그림이 그려지고 있다.
일론 머스크. 출처=갈무리
하늘을 향한 꿈
이동통신 기술은 기본적으로 지상의 기지국을 통해 조금씩 넓은 커버리지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외형을 키운다. 5G 기지국이 많아질수록 5G 전국망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밀리미터파 개척 등 다양한 가능성을 타진하며 실내 5G 커버리지 등을 위한 스몰셀 기술 등이 각광받는 이유다. 다만 지상의 거점을 중심으로 커버리지를 넓히는 이동통신 기술은 당연히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 위성인터넷이다. 지상의 고정된 기지국이 아닌 우주를 떠다니는 인공위성을 기반으로 초고속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이어지면서 일부 서비스가 개념적인 차원을 넘어 실제 유무선 브로드밴드 못지않은 성능을 보여주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물론 처음부터 위성인터넷 기술이 각광을 받았던 것은 아니다.
1957년 발사된 구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는 최초의 인공위성이라는 의미와 함께 20.005MHz와 40.002MHz 대역을 이용해 무선 신호를 송신, 위성통신의 시대를 열었으나 이후의 시도들은 성과가 크게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962년 발사되어 사상 최초로 위성통신을 통해 TV 영상과 사진의 대서양 전송에 성공한 텔스타(Telstar), 1965년 세계 최초의 상용 통신위성으로 이름을 남긴 ‘인텔샛 1호(Intelsat I), 뒤이어 1990년대 등장한 이리듐(Irudium)과 글로벌스타(Globalstar), 인마샛(Inmarsat) 등 초기 위성통신 서비스가 속속 등장했지만 막대한 투자 대비 실제 수요가 별로 없어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글로벌 로밍이 가능해지면서 위성통신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더욱 급감했으며 단말 구매 비용과 서비스 이용요금은 매우 비쌌는데, 셀룰러 이동통신을 위한 비용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위성통신 서비스는 명맥을 이어가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그 결과 이리듐 SSC의 경우 위성군 구축을 위한 엄청난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불과 창립 9개월만 파산하고 말았다.
팰컨9에 들어가는 스타링크. 출처=갈무리
위성통신에서 위성인터넷으로
최근까지 위성통신 서비스는 대양을 항해하는 선박 또는 오지에서 생활하거나 여행하는 일부 사람들, 그리고 군대 등 제한적인 고객층을 대상으로만 서비스가 이어졌다.
상황이 달라진 것은 2세대 위성통신업체들의 등장이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 아마존, 원웹 등이 등장하며 위성통신이 위성인터넷의 진화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컨설팅업체 맥킨지(McKinsey)가 초기의 위성통신 등장 이후 20여년이 지난 지금을 새로운 ‘위성 커넥티비티 2.0(satellite connectivity)’의 시대로 정의한 이유다.
스타링크를 탑재한 스페이스X, 아마존, 원웹 등 위성인터넷 시대를 연 새로운 도전자들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결정적 배경은 무엇일까.
시장조사업체 애틀러스리서치앤컨설팅의 정근호 팀장은 ‘위성인터넷, 경쟁 본격화되며 BM도 세분화…주요 업체별 추진 현황과 향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에 걸쳐 아직도 인터넷 접속을 위한 커넥티비티(connectivity)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상당하다”고 말했다.
시스코(Cisco) 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의 인터넷 이용인구는 53억명으로 2018년의 39억명에 비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2023년 전 세계 인터넷 이용률은 인구 대비 66%로서 여전히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하는 인구가 수십억 명 존재하게 된다.
정근호 팀장은 “이제 인터넷 서비스는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인프라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적정 가격 수준의 품질 높은 접속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위성인터넷 서비스는 기존의 위성통신 서비스를 이용해왔던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도 새로운 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된다”고 말했다.
기술환경도 변했다는 평가다. 안테나 기술, 개선된 지상국 설계, 고대역 통신용 주파수를 이용하는 통신 기술 등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위성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을 한층 더 높이고 있다.
대형 위성이 아닌 소형 위성 중심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는 기술적 수준이 확보된 상태에서 위성 제작사들의 기술적 노하우가 축적되면서 위성의 제작 속도 역시 더욱 빨라지고 있다.
당장 스페이스X의 경우 지난 2020년 3월 기준 하루에 6개의 스타링크 위성을 제작한다고 밝혔으며 에어버스(Airbus)와의 조인트벤처를 통해 인공위성을 제작하고 있는 원웹은 위성 제작 속도가 12~18개월마다 2배가 된다고 주장하는 중이다.
비용 문제도 중요하다. 1970년대에 1kg당 1만8,500달러 수준이던 발사 비용은 스페이스X의 팰콘9(Falcon 9) 로켓이 등장한 이후 1kg당 2,720달러로 7배 감소했다. 물론 초기비용은 여전히 높지만 조금씩 위성 제작 및 발사 비용이 낮아지는 것도 사실이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