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진호 기자 = 금융당국이 취약계층 등에 한해서 예외적으로 대면 영업을 허용했지만 정작 당사자인 인터넷은행(케이뱅크·카카오뱅크)들은 시큰둥한 반응이다. 현재 운영중인 취약계층 지원 방안만으로도 충분한 대응이 가능한 만큼 무리해서 지점을 개설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CI=케이뱅크, 카카오뱅크] |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장애인 및 65세 이상 노인의 편의 증진과 휴대폰 분실, 고장 등 법령·기술상 제약 등으로 비대면거래가 어려운 경우에 한해 인터넷은행의 대면 영업이 가능하도록 법을 개정했다.
케이뱅크는 현재 지점 설립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디지털금융 교육 프로그램과 고객센터의 원격접속 등을 통해 취약계층 대응이 충분하다고 판단한다.
케이뱅크는 지난해부터 디지털 금융 취약계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추진단을 마련해 사회공헌 차원의 교육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50대 이상 고객 중 상담내용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질문이 가장 많았던 내용을 중심으로 교안을 마련해 노인복지회관 등을 찾아다니기도 한다.
또한 앱 사용 등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취약계층을 위해선 상담원이 고객 스마트폰에 원격접속해 업무를 돕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취약계층이 비대면거래에서 불편함이 없도록 다양한 방안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아직 지점 설립 계획을 내부적으로 검토한 적은 없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도 케이뱅크와 유사한 상황. 고객센터와 챗봇 등을 통해 취약계층 상담이 원만하게 진행되고 있어 지점 설립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만 65세 이상 고객 전용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며 "상속 등의 일부 특수한 상황을 대비해 서울역에 위치한 고객센터에 이미 대면 창구를 마련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모든 거래가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인터넷은행의 특수성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은행의 주 고객은 은행을 방문하기 힘든 직장인과 비대면이 익숙한 대학생이 대부분으로 전체 고객 가운데 20~30대 비중이 60%를 넘는다. 취약계층으로 분류할 수 있는 50대 이상 고령 고객은 10% 수준에 불과하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지점을 기반으로 영업을 영위해온 시중은행은 50대 이상 고령층 고객이 많아 취약계층을 위한 전용창구 등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와 달리 모든 거래가 모바일로만 이뤄지는 인터넷은행은 사실상 고령층 고객이 매우 적어 지점 설립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rpl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