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美 하원의장. 사진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연방 부채한도를 상향할 수 있게 되면서 미 재무부가 4개월여만에 신규 국채 발행을 재개한다.
일각에서는 미국 재무부가 대규모 국채 발행에 나서면서 시장의 유동성을 대거 흡수하는 '구축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채 발행으로 인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강도는 미국 중앙은행이 한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것과 맞먹는 수준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현지시간 4일 블룸버그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법안(국가 재정 책임법)은 2025년 1월 1일까지 부채한도를 유예해 미 재무부가 정상적인 수준까지 현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미 재무부는 지난 1월 중순 31조4000억달러(약 4경1040조원)의 부채한도에 도달한 이후 연방 부채에 대한 지출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 회계 조처를 해왔다. 지난달 31일 현재 사용 가능 금액이 330억달러(약 43조1000억원)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미 재무부가 1조달러(약 1307조원)를 훨씬 웃도는 국채 발행에 나설 것으로 블룸버그통신은 예상했다.
하지만 이는 은행 부문의 유동성 고갈, 단기 조달금리 상승, 경기침체를 야기할 수 있는 경제 위축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뱅크오브아메리카 (NYSE:BAC)(BofA)는 이같은 대규모 국채 발행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0.25%포인트 금리 인상과 같은 경제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JP모간은 광범위하게 계산했을 때 미국의 부채한도 상향 조정 이후 시장의 유동성이 1조1000억달러(약 1441조원)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추정했다.
JP모간은 또 국채 발행이 급증하면 연준의 양적긴축(QT) 상황과 맞물려 올해 주식 및 채권 합산 수익률이 5%가량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1일 미 재무부는 이번 주에 발행 예정인 3개월물 및 6개월물 국채 발행 규모를 각각 20억 달러(약 2조6000억원)씩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으며, 이미 4개월물의 발행 규모도 확대하고 있다.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