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40% 할인
👀 👁 🧿 모두가 주목하는 Biogen, 실적 발표 이후 4,56% 상승했습니다. 3월 2024에 인베스팅프로 AI가 선별한 종목입니다.
다음으로 급등할 종목은 무엇일까요?
AI 선별 주식 확인하기

새 먹거리 경쟁… 키움, MTS 무기로 STO 시장 선점

입력: 2023- 03- 25- 오후 04:21
수정: 2023- 03- 25- 오전 07:42
새 먹거리 경쟁… 키움, MTS 무기로 STO 시장 선점

①'떠오르는 STO' 증권형 토큰으로 돈 버는 시대

②새 먹거리 경쟁… 키움, MTS 무기로 STO 시장 선점

③자본시장 돌풍 토큰증권, 15년 낡은 규제 발목[소박스]

토큰증권발행(STO, Security Token Offering)이 제도권 편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새 먹거리에 대한 기대감으로 금융투자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주요 증권사들은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해 협의체 구축, 업무협약(MOU) 등 전략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자산인 토큰증권(ST·Security Token)은 부동산과 미술품, 음악 저작권 등 다양한 자산을 디지털화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증권이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상반기 중 토큰증권 제도화를 위한 법률 개정안을 제출하고 이르면 내년 말 토큰증권에 투자하는 STO를 시행하겠다는 목표다.

STO 시장 선점 경쟁 치열… '리테일 강자' 키움, 개인투자자 유치 물밑 작업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인 곳은 키움증권이다.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 강점을 갖고 있는 키움증권은 자사 플랫폼에서 토큰증권발행을 중개할 수 있도록 MTS를 고도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토큰증권을 자사 MTS에서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개인투자자를 유치할 계획이다.

키움증권은 지난해 증권사 중 전산운용에 가장 큰 비용을 투자하기도 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키움증권은 지난해 전산운용비로 919억원을 투자했다. 이는 전년 대비 764억원(20.5%) 늘어난 수준으로 증권업계에서 가장 많다. 2020년, 2021년 키움증권의 전산운용비 규모는 삼성증권에 이어 업계 2위였으나 지난해 삼성증권(879억원)을 넘어섰다.

전산운용비용에는 서버 증설, 신규 서비스 개발 및 개시 등이 포함된다. 키움증권 전산운용비 증가는 기존 MTS 시스템 업데이트 외에도 STO 제도권 편입을 앞두고 STO 시스템 구축 작업과 사용자 편의성 증대 및 디자인 설계 등을 위해 사용됐다.

업계는 키움증권이 국내 주식시장 리테일(개인고객) 시장점유율(M/S) 선두권을 달리고 있어 ST 시장에서 다른 증권사에 비해 유리한 고지를 점한 것으로 보고 있다. ST가 기관투자자보다는 개인들의 참여가 많을 것으로 전망돼 리테일 경쟁력이 성과를 가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키움증권의 주식시장 리테일 M/S는 지난해 4분기 기준 30.1%로 업계 1위다.

제3자 광고. Investing.com의 제안이나 추천이 아닙니다. 여기에서 고지 사항을 참조하거나 광고를 삭제하세요 .

키움증권 관계자는 "개인고객수가 많고 리테일 사업의 강점을 보이는 회사 특성상 전산 부문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토큰증권과 관련 시장이 활성화되면 투자 규모는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토큰증권발행을 기반으로 새로운 리테일 채널 확장 전략을 세운 타 증권사들도 관심을 끈다. 대신증권은 국내 최초 부동산 조각투자 업체 카사를 인수했다. 대신증권은 올해 상반기 카사와 계좌 연동 시스템을 마련하고 부동산 ST를 중심으로 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증권사 고객에게 새로운 투자 대안을 제시하고 다른 수요를 가진 투자자를 확보해 STO 기반 리테일 사업부문에서 선두를 차지하겠다는 계획이다.

SK증권도 미술품 공동구매 플랫폼 '아트앤가이드'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열매컴퍼니, 가상자산 지갑을 만드는 해치랩스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ST 상품개발에 나섰다. 디지털 자산시장을 선점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는 블록체인 기업에 관련 규제 정보를 제공하고 STO 관련 기술도 공유한다는 전략이다.

STO 협의체 구축 잰걸음… 금융지주 계열 증권사 '부각'

이 중 가장 먼저 STO 민간협의체(얼라이언스)를 구축한 곳은 신한투자증권이다. 지난달 6일 꾸려진 'STO 얼라이언스'는 신한투자증권을 포함한 기업들이 토큰증권 시장 확대와 발전을 위해 모였다. 신한투자증권은 업권에 관계없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들을 모집했고 블록체인 기술 업체 람다256 등 수십여곳이 협의체에 합류했다.

NH투자증권도 지난달 20일 토큰증권 생태계 구축을 위해 기업 간 협의체 'STO 비전그룹'을 출범했다. STO 비전그룹에는 NH투자증권과 조각투자사업자 투게더아트, 트레져러, 비상장주식중개업자 서울거래비상장, 블록체인 기술기업 블록오디세이, 한국기업평가 등 8개사가 참여했다.

KB증권 역시 지난 8일 STO 관련 사업자들을 모아 'ST오너스'를 구성했다. 주요 사업자로는 스탁키퍼, 서울옥션블루, 펀더풀, 알엔알 등이 있다.

하나증권은 최근 금·은 현물의 조각투자를 위한 협의체 구성에 나섰다. 하나증권은 한국 금거래소의 지분을 보유한 아이티센과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면서 귀금속 조각투자 시장을 구상하고 있다. 금·은 현물을 토큰증권으로 쪼개 투자자들이 쉽게 매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계획이다.

제3자 광고. Investing.com의 제안이나 추천이 아닙니다. 여기에서 고지 사항을 참조하거나 광고를 삭제하세요 .

한국투자증권도 카카오뱅크·토스뱅크와 STO 협의체 '한국 ST 프렌즈'를 결성하고 토큰증권 생태계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한국투자증권을 주축으로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가 토큰증권을 기록할 분산원장(블록체인)의 금융기관 시범 운영 파트너로 참여한다.

시장에선 토큰증권 사업 확장을 위한 증권사들의 플랫폼 서비스와 투자 상품 개발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업계의 행보가 빨라진 반면에 규제 정비는 미흡해 이를 한국형 디지털 시장에 맞게 정비하는 것이 주요 과제로 남았다.

한아름 자본시장 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토큰증권을 활용한 다양한 투자 상품이 출시되면서 조각투자 시장 확대와 함께 신규 사업자들의 참여에 따른 경쟁도 증가가 예상된다"며 "국내와 유사한 방향으로 규제를 정립 중인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제도를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머니S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4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