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12마감체크] 국내증시, 7거래일 연속 상승... 코스피 2920선 마감

입력: 2025- 06- 12- 오후 05:40
© Reuters.  [0612마감체크] 국내증시, 7거래일 연속 상승... 코스피 2920선 마감

사진=픽사베이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

▶마감체크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0.45% 상승한 2920.03에 마감했다.

밤사이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 합의·인플레 안도에도 중동 지정학적 긴장 고조, 기술주 부진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대부분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909.99로 강보합 출발했다. 장중 저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상승폭을 다소 키워 오전 중 2920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였다. 오후 들어 상승폭을 더욱 키워 2934.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반납하는 모습을 보였다. 장후반 2911선으로 밀려나기도 했지만, 장막판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결국 2920.03으로 장을 마감했다. 종가 기준 지난 2022년 1월14일 이후 3년 5개월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에도 새 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속 외국인 매수세가 이어지며 코스피지수는 7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물가 우려가 완화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외국인은 7거래일 연속 순매수했으며, 선물시장에서도 1400계약 넘게 순매수했다. 다만,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차익실현 매물 속 개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을 보였다. 개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했다.

미국 원자력발전 업체 주가 강세, 이재명 대통령-체코 총리 첫 통화 속 체코 원전 추가 수주 기대감, 세계은행, 개발도상국 원자력발전 사업 금융 지원 소식 등에 두산에너빌리티(+6.85%), 한전기술(+25.63%), 한전산업(+18.76%), 한전KPS(+13.93%)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급등했다. LG에너지솔루션(+3.93%), 삼성SDI(+1.10%), 포스코퓨처엠(+6.77%) 등 2차전지 테마도 강세를 이어갔고,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남광토건(+14.65%), 인디에프(+12.67%), 조비(+9.70%), 현대엘리베이터(+7.25%) 등 대북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다. 한화오션(+5.79%), HJ중공업(+5.76%), 한화에어로스페이스(+5.30%), 현대로템(+5.15%) 등 조선/방산주도 상승했다.

반면, 삼성전자 (KS:005930)(-0.67%), SK하이닉스 (KS:000660)(-1.88%) 등 반도체, KB금융 (KS:105560)(-1.21%), 신한지주(-2.01%) 등 은행, 카카오 (KS:035720)(-1.75%), NAVER(-1.04%) 등 인터넷 관련주 등은 하락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가운데, 강한 자본시장 개혁 의지 등에 따른 정책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이 대통령은 ’코스피 5000시대’를 열겠다고 공약한 바 있으며, 상법 개정안을 발의하고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에 대해 엄정히 대응하기로 하는 등 주식시장 투명성 제고 및 투자자 신뢰 회복 조치에 힘을 쏟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전일에는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를 방문해 자본시장 활성화 의지를 재차 언급하면서 "배당을 촉진하기 위한 세제 개편이나 제도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밤 발표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등 일부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미국 5월 CPI는 전월대비 0.1% 상승해 전월(0.2%)에 비해 오름세가 둔화됐으며, 시장 예상치(0.2%)도 밑돌았다. 전년동월대비로는 2.4% 상승해 전월(2.3%)보다 소폭 높았지만, 시장 예상치(2.5%)는 밑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도 전월대비 0.1% 상승하면서 전월(0.2%)에 비해 오름세가 둔화됐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8% 상승하면서 전월(2.8%)과 같았지만, 시장 전망치(2.9%)는 하회했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소폭 상승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 등은 하락했다.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2.2원 급락한 1358.7원을 기록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4076억 순매수, 기관과 개인은 각각 2370억, 1795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424계약, 2865계약 순매수, 기관은 4539계약 순매도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0bp 상승한 2.429%,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0bp 하락한 2.827%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틱 내린 107.17로 마감했다. 금융투자, 투신이 1346계약, 517계약 순매도, 연기금등, 은행, 외국인은 1120계약, 603계약, 444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3틱 오른 118.14로 마감했다. 금융투자가 6872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6098계약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다소 우세했다. 두산에너빌리티(+6.85%), 한화오션(+5.79%), 한화에어로스페이스(+5.30%), LG에너지솔루션(+3.93%), HMM (KS:011200)(+2.22%), 기아(+1.55%), HD한국조선해양(+1.19%), 셀트리온 (KS:068270)(+1.05%), HD현대중공업(+0.36%), 현대차 (KS:005380)(+0.25%), 삼성생명(+0.08%) 등이 상승했다. 반면, 삼성물산(-2.94%), 신한지주(-2.01%), SK하이닉스(-1.88%), 현대모비스(-1.39%),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1.34%), KB금융(-1.21%), NAVER(-1.04%), 삼성전자(-0.67%)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했다. 기계/장비(+4.16%), 건설(+3.36%), 일반서비스(+2.56%), 운송장비/부품(+2.14%) 업종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보험(+1.37%), 전기/가스(+1.23%), 금속(+0.84%), 통신(+0.70%), 의료/정밀기기(+0.67%), 오락/문화(+0.63%), 제조(+0.51%), 운송/창고(+0.44%), IT 서비스(+0.44%) 업종 등이 상승했다. 반면, 종이/목재(-1.21%), 유통(-1.08%), 제약(-0.37%), 전기/전자(-0.16%) 업종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0.40% 상승한 789.45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786.27로 약보합 출발했다. 장초반 784.96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했고 오전 중 788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다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후 장중 793.2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반납하다 결국 789.45로 장을 마감했다. 종가 기준 지난해 8월1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새 정부 기대감이 지속된 데다 미국 물가 지표 안도감이 커진 가운데, 개인이 순매수하며 코스닥지수는 7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개인은 하루 만에 순매수 전환했다. 다만,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차이 매물 출회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상승폭은 다소 제한된 모습을 보였다. 외국인은 7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하루 만에 순매도 전환했다.

에코프로비엠 (KQ:247540)(+2.74%), 에코프로(+0.79%), 피엔티(+1.40%) 등 2차전지 관련주가 반등세를 이어갔고, 젬백스(+13.11%), 삼천당제약(+3.11%), 휴젤(+1.76%), 알테오젠 (KQ:196170)(+0.61%) 등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주들이 대체로 강세를 보였다. 서진시스템(-4.59%), 원익IPS(-2.08%), 하나마이크론(-1.85%) 등 반도체 관련주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393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99억, 91억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했다. 젬백스(+13.11%), 삼천당제약(+3.11%), HPSP(+2.89%), 에코프로비엠(+2.74%), 클래시스(+1.99%), 휴젤(+1.76%), 레인보우로보틱스(+1.40%), 에코프로(+0.79%), 펄어비스(+0.65%), 알테오젠(+0.61%), 펩트론(+0.42%), 에이비엘바이오(+0.38%), 파마리서치(+0.38%), HLB (KQ:028300)(+0.38%) 등이 상승했다. 반면, 실리콘투 (KQ:257720)(-10.36%), 코오롱티슈진(-1.50%), 에스엠(-1.50%), 리노공업(-1.31%), JYP Ent.(-0.90%), 리가켐바이오(-0.51%)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했다. 기타 제조(+3.07%)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금속(+1.86%), 건설(+1.71%), 출판/매체복제(+1.29%), 전기/전자(+1.25%), 운송/창고(+1.20%), 기계/장비(+1.12%), 운송장비/부품(+0.75%), 제조(+0.65%), 일반서비스(+0.60%), 통신(+0.36%) 업종 등이 상승했다. 반면, 유통(-1.75%), 비금속(-0.87%), 오락/문화(-0.49%), IT 서비스(-0.27%), 화학(-0.14%) 업종 등은 하락했다.

▶섹터분석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軍은 전일 "확성기 방송이 상부 지시에 따라 중지됐다"고 밝혔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난해 6월 윤석열 정부가 6년 만에 재개를 결정했고, 이번에 재개 1년 만에 중지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한반도 긴장 완화 등을 위해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확성기 방송 중단 조치가 취임 일주일 만에 실현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인스타그램을 통해 “11일 오후 2시부로 우리 군이 전방 지역에서 진행하던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하도록 지시했다”며 “북한의 소음 방송으로 오랜 시간 어려움을 겪어온 접경 지역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드리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9일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 중단을 요청했고, 군 당국이 확성기 방송까지 중지하면서 남북 긴장 완화 조치가 잇달아 이뤄지고 있다.

우리 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한 이후 북한은 11일 밤까지 대남 방송을 송출했으나, 12일 오전에는 방송을 재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동참모본부는 “12일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이 청취된 지역은 없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도 “서부전선에서 어제 늦은 밤에 마지막으로 대남 방송이 청취됐고, 이후로는 없었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소식 속 아난티, 남광토건, 인디에프, 조비, 신원, 좋은사람들, 현대엘리베이, 현대건설, 일신석재, 남해화학, 모나용평, 자연과환경, 대아티아이, 푸른기술 등 남북경협, DMZ 평화공원, 철도, 농업 등 대북관련주들이 상승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 美 원자력발전 업체 강세 영향 및 체코 원전 추가 수주 기대감

지난밤 뉴욕증시서 오클로(+29.48%), 뉴스케일 파워(+20.41%), 탈렌 에너지(+7.73%), GE 버노바(+3.90%) 등 원자력발전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다. 이는 탈렌 에너지, 아마존과의 원자력 발전 협력 확대 소식 및 오클로, 미국 공군기지에 에너지 공급 사업자로 잠정 선정 소식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탈렌 에너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위치한 수스케한나 원자력 발전소 인근 아마존 (NASDAQ:AMZN) 데이터 센터 캠퍼스에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전력 구매 계약에 따라 탈렌은 2042년까지 아마존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 캠퍼스에 1920메가와트 규모의 무탄소 원자력 발전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계약에는 공급 기간을 추가로 연장할 수 있는 옵션도 포함됐으며, 탈렌은 단계적으로 전력 공급량을 늘려 2032년까지 전체 물량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오클로는 11일(현지시간) 알래스카의 아일슨 공군 기지에 원자력 발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힘. 계약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지만, 공군으로부터 허락 통보를 받았다며 조만간 계약이 성사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오클로는 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과 기술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전일 페트로 피알라 체코 총리와 첫 통화를 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힘.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4일(현지시간) 체코 두코바니 원전 2기를 공급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추가적인 수주까지 노린 행보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양 정상은 최근 체코 두코바니 원전 계약이 체결된 것을 축하하고, 양국 간 경제협력이 더욱 확대되는 데 시금석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세계은행이 개발도상국의 원자력 발전 사업에 금융 지원에 나섰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지난 2013년 세계은행이 원전 사업 지원 중단을 결정한 이후 12년 만이다. 방가 총재는 세계은행이 기존 원전의 수명 연장과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 가속화 노력을 지원할 것이라며, 세계은행은 이번 원전 지원을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한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소식 속 한전기술, 한전산업, 지투파워, 한전KPS, 태웅, 한신기계, 우리기술, 우진, 에너토크,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자력발전/전력설비 테마가 상승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신고가 한 줄 분석

■ 미투온(201490)(+29.98%) -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카지노 플랫폼 ’에이스카지노’ 정식 오픈 소식 / 3295원

■ 아난티(025980)(+26.70%)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 1만120원

■ 고스트스튜디오(950190)(+18.99%) -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최대주주 미투온,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카지노 플랫폼 ’에이스카지노’ 정식 오픈 소식 / 1만1260원

■ 지투파워(388050)(+15.84%) - 원자력발전/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매출 고성장세 지속 전망 / 1만2450원

■ 남광토건(001260)(+14.65%)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남북경협/ 철도 테마 상승 / 1만2240원

■ 한전KPS(051600)(+13.93%) - 美 원자력발전 업체 강세 영향 및 체코 원전 추가 수주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전력설비 테마 상승 / 5만4000원

■ 대아티아이(045390)(+13.86%)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철도 테마 상승 / 5690원

■ 태웅(044490)(+13.23%) - 원자력발전 및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SMR용 부품 수주 주목 분석 모멘텀 지속 / 3만5400원

■ 젬백스(082270)(+13.11%) - 유럽 최대 루게릭병 학회서 GV1001 전임상 결과 발표 모멘텀 지속 / 6만7400원

■ 인디에프(014990)(+12.67%)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 1316원

■ SAMG엔터(419530)(+10.35%) - 에스엠과 IP 컬래버레이션 본격화 소식 / 8만4500원

■ 내츄럴엔도텍(168330)(+10.00%) - ’가짜 백수오’ 발표 위법에도 배상 책임 없다는 대법원 판단 모멘텀 지속 / 6050원

■ 조비(001550)(+9.70%) - 남북경협/ 농업/ 비료, 태풍 및 장마 테마 상승 / 1만6500원

■ 푸른기술(094940)(+9.58%)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철도 테마 상승 / 9760원

■ 모나용평(070960)(+9.39%)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DMZ 평화공원 테마 상승 / 5700원

■ JB금융지주(175330)(+7.79%) - 상법 개정 본격화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 2만1550원

■ 아이티센글로벌(124500)(+7.57%) - 스테이블 코인 발행 사업 본격화 기대감 지속 / 2만3850원

■ 애드바이오텍(179530)(+7.51%) - 사료 테마 상승 및 오큐피바이오엠으로 최대주주 변경 예정 모멘텀 속 오레고보맙 글로벌 임상 3상 가속화 기대감 지속 / 5450원

■ 현대엘리베이터(017800)(+7.25%)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 8만8600원

■ 텔코웨어(078000)(+7.04%) - 최대주주 공개매수 결정 모멘텀 지속 / 1만4910원

■ 두산에너빌리티(034020)(+6.85%) - 원자력발전 및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9,639.94억원 규모 베트남 가스복합발전소 모멘텀 지속 / 5만6300원

■ 한국카본(017960)(+6.41%) -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보냉재 매출 성장 전망 및 조선업 LNG 수주 호황 기대감 / 2만3400원

■ 현대건설(000720)(+5.69%) - 건설 대표주, 원자력발전, 남북경협 테마 상승 속 원전 EPC기업으로 리레이팅 기대감 지속 / 7만8800원

■ 일신석재(007110)(+5.39%)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남북경협/ DMZ 평화공원 테마 상승 / 3010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5.30%)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한화, 오스탈 지분 인수美 정부 승인 소식 모멘텀 지속 / 95만8000원

■ 남해화학(025860)(+5.16%) - 남북경협/ 농업/ 비료, 태풍 및 장마 테마 상승 / 8180원

■ 현대로템(064350)(+5.15%)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철도 테마 상승 속 2분기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 달성 기대감 지속 / 17만9700원

■ 비에이치아이(083650)(+4.74%) - 美 원자력발전 업체 강세 영향 및 체코 원전 추가 수주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 4만5650원

■ 웅진(016880)(+4.44%) -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공정위, ’프리드라이프 인수’ 기업결합 신고 승인 모멘텀 지속 / 2530원

■ SNT다이내믹스(003570)(+4.32%)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1,100억원 규모 교환사채 발행 결정 모멘텀 지속 / 5만1000원

■ 풍산(103140)(+4.04%)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기대감 지속 / 8만8400원

■ 부산산업(011390)(+3.90%) -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방송 전격 중단 지시 소식 등에 철도 테마 상승 / 12만4700원

■ 하림지주(003380)(+3.82%) - 상법 개정 본격화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 9680원

■ 키움증권(039490)(+3.68%) - 2분기 양호한 실적 달성 전망 및 내년 단기금융업(발행어음) 사업 개시 기대감 지속 / 20만5250원

■ 한화생명(088350)(+3.62%) -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권고기준 하향 소식 등에 생명보험 테마 상승 / 3365원

■ CS홀딩스(000590)(+3.46%) - 상법 개정 본격화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 10만2100원

■ 롯데관광개발(032350)(+3.07%) - 카지노 테마 상승 속 탄력적 실적 성장 전망 / 1만3700원

■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445680)(+3.01%) - 실적 성장 위해 과감한 전략 변화 단행 및 글로벌 고객 확보 가능성 증가 모멘텀 지속 / 3만4300원

■ 네오위즈홀딩스(042420)(+2.86%) - 일부 지주사 및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 3만600원

■ LS마린솔루션(060370)(+2.73%) - 국내 최대 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소식 / 3만4600원

■ 아세아(002030)(+2.47%) - 상법 개정 본격화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 31만2000원

■ 코스맥스비티아이(044820)(+2.42%) - 상법 개정 본격화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 1만7140원

■ 동부건설(005960)(+2.29%) - 부산신항~김해간 고속국도 건설공사 1공구 낙찰자 선정 / 5380원

■ 지아이이노베이션(358570)(+2.10%) - 알레르기 후보물질 ’GI-301’ 美 물질특허 등록 소식 / 2만2450원

■ GKL(114090)(+2.02%) - 구조적 성장 기대감 속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카지노 테마 상승 / 1만5420원

■ 감성코퍼레이션(036620)(+1.82%) - 실적 성장과 주주환원 기대감 지속 / 5750원

■ 이지홀딩스(035810)(+1.77%) - 일부 지주사 및 사료 테마 상승 / 4030원

■ NHN(181710)(+1.60%) - 신작 출시 모멘텀 및 스테이블코인 도입 본격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 2만5750원

■ SK스퀘어(402340)(+1.59%) -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속 본격적인 저평가 해소 구간 진입 모멘텀 지속 / 14만2500원

■ 삼성중공업(010140)(+1.50%) - 군함시장 확장에 따른 조선업 호황 장기화 전망 등에 상승 조선 테마 상승 / 1만7930원

■ 코리안리(003690)(+1.41%) -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권고기준 하향 소식 등에 손해보험/ 생명보험 테마 상승 / 1만170원

■ 제닉(123330)(+1.26%) - 전방위적 수주 확대 기대감 지속 / 4만1300원

■ 코스맥스(192820)(+1.25%) - 동남아 최대 이커머스 쇼피와 협업 모멘텀 지속 / 24만3500원

■ JW홀딩스(096760)(+1.23%) -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속 JW중외제약, 항생제 ’에르타페넴’ 중국 품목허가 획득 모멘텀 지속 / 4130원

■ HD한국조선해양(009540)(+1.19%) - 조선 및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자회사 HD현대중공업 2.4조원 규모 컨테이너선 8척 수주 모멘텀 지속 / 34만5000원

■ 한화시스템(272210)(+1.15%)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한화, 오스탈 지분 인수 美 정부 승인 모멘텀 지속 / 5만4000원

■ LG유플러스(032640)(+1.14%) -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속 이익개선·외국인·주주환원 모두 긍정적 분석 / 1만3550원

■ 대한약품(023910)(+1.12%) - 올해 실적 성장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모멘텀 지속 / 3만2200원

■ 대성산업(128820)(+0.80%)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 영향 등에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 4650원

■ 파루(043200)(+0.54%) - 올해 1호 태풍 ’우딥’ 발생 소식 등에 태풍 및 장마 테마 상승 / 1947원

■ 애니플러스(310200)(+0.46%) - 日 애니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흥행 기대감 지속 / 4395원

■ 세진중공업(075580)(+0.25%) -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저PER주 분석 모멘텀 지속 / 1만2410원

■ KSS해운(044450)(+0.20%)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불확실성 부각 등에 해운 테마 상승 / 1만130원

▶주요공시

■ 제이준코스메틱(025620) - 최대주주가 메타엑스1호조합으로 변경

■ 파두(440110) - 해외 Nand Flash Memory 제조사와 67.9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5.62%) 규모 공급계약(기업용 SSD 컨트롤러 공급) 체결(계약기간:2025-06-11~2025-12-20)

■ 한국가스공사(036460) - 2025년5월 천연가스 판매량 239.3만톤(전년동월대비 +5.0%)

■ 브이엠(089970) - SK하이닉스와 9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81%)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제조장비) 체결(계약기간:2025-06-12~2025-08-31)

■ 신한알파리츠(293940) - 신규자산 투자 목적으로 ㈜신한알파강남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 7,437,500주를 1,19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00%, 취득예정일:2025-06-24)

■ 한글과컴퓨터(030520) - 주식회사 한컴위드가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 담보제공 계약 해제ㆍ취소(담보 주식수:1,000,000주, 담보설정금액:-)

■ 종근당(185750) - 948.84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6.50%)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취득 결정(취득예정일:2025-08-18). 풍문 또는 보도(새 황금알로 뜬 ’바이오의약품’…종근당, 유례없는 ’통 큰 투자’)에 대한 해명 재공시로 2025년6월12일 바이오 복합연구개발단지 조성을 위한 토지매입 이사회 결의를 실시하였으며, 관련사항은 유형자산취득결정 공시로 진행했다고 밝힘

■ 캐스텍코리아(071850) - 이ㅇㅇ이 주주총회결의무효확인 등 소송 제기

■ 동성제약(002210) - 1.50억원 규모 당사 발행 만기어음 부도발생

■ 비트맥스(377030) - (주)아이엘포유와 소규모합병 이사회 승인

허준범 기자 jb_3heo@infostock.co.kr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5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