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10마감체크] 국내증시, 새 정부 출범 기대감 지속되며 5거래일 연속 상승

입력: 2025- 06- 10- 오후 05:40
© Reuters.  [0610마감체크] 국내증시, 새 정부 출범 기대감 지속되며 5거래일 연속 상승

주가 차트 그래프 주식 거래소1. 사진= 픽사베이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

▶마감체크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0.56% 상승한 2871.85에 마감했다.

밤사이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 협상 결과 대기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소폭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872.62로 상승 출발했다. 장초반 상승폭을 축소하다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2849.6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했다. 이내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확대하다 오전 장 후반 2885.67에서 고점을 형성했다. 이후 2880선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오후 장중 상승폭을 반납했고, 장후반 재차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했다. 장 막판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상승폭을 확대해 결국 시초가 부근인 2871.85에서 장을 마감했다. 종가 기준 지난해 7월11일 이후 약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기대감이 지속된 가운데 외국인 매수세가 지속되며 코스피지수는 5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미·중 무역 협상 기대감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외국인이 5거래일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기관도 하루 만에 순매수하며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최근 지수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폭은 다소 제한됐다. 개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K2전차 추가 수주 기대감에 현대로템(+9.71%)이 급등했고, 한화시스템(+20.09%), 풍산(+16.67%), 한화에어로스페이스(+6.36%), 한국항공우주(+6.02%), LIG넥스원(+4.20%) 등 방산주가 강세를 나타냈고, HD현대중공업 2.4조원 규모 컨테이너선 8척 수주 및 한화그룹, 오스탈 지분 인수 미국 정부 승인 소식 등에 HD현대중공업(+2.15%), 한화오션(+4.37%), HD한국조선해양(+4.35%) 등 조선주가 강세를 보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오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회담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호텔신라(+3.58%), 코스맥스(+4.42%), 콘텐트리중앙(+10.40%), 하이브(+2.15%) 등 중국 소비 관련주들이 상승했다.

반면, 최근 밸류업 정책 기대감 등에 강세를 나타냈던 삼성생명(-4.60%), 삼성화재(-2.36%) 등 보험, 신영증권(-5.73%), 상상인증권(-2.75%) 등 증권주는 차익실현 매물 속 하락했다. 더불어민주당이 공휴일 대형마트 의무휴업을 재추진할 것이라는 소식에 롯데쇼핑(-9.03%), 이마트(-8.28%), 현대백화점(-3.74%) 등 소매유통 테마가 하락했고, 3분기 전기/공공요금 동결 또는 인하 전망에 한국전력(-10.15%), 지역난방공사(-8.62%) 등이 급락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단은 전일(현지시간) 런던에서 협상을 재개했다. 이번 런던 회담에서는 중국의 대미 핵심광물, 희토류 등 수출통제 조치 해제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 통화에서 희토류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로 교감한 만큼 협상은 무난하게 흘러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이 쉽지 않다고 밝히는 등 경계심도 커지고 있다. 한편, 밤사이 블룸버그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몇 주 사이 부과한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제트엔진 부품, 화학물질, 핵물질 등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일부 철회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보도했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 홍콩 등은 하락했다.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0.1원 상승한 1,364.3원을 기록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332억, 142억 순매수, 개인은 6269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반대로 개인이 1182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39계약, 235계약 순매도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2.0bp 하락한 2.38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6bp 하락한 2.831%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틱 내린 107.29로 마감했다. 외국인이 10,531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1,828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9틱 내린 118.17로 마감했다. 외국인이 10966계약 순매도, 금융투자, 투신은 6300계약, 2929계약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6.36%), 한화오션(+4.37%), HD한국조선해양(+4.35%), HD현대중공업(+2.15%), 셀트리온 (KS:068270)(+1.25%), LG에너지솔루션(+1.23%), 두산에너빌리티(+1.05%), HMM (KS:011200)(+0.90%), 신한지주(+0.83%), NAVER(+0.76%),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68%), SK하이닉스 (KS:000660)(+0.66%), KB금융 (KS:105560)(+0.18%) 등이 상승했다. 반면, 삼성생명(-4.60%), 현대모비스(-1.61%), 삼성전자 (KS:005930)(-1.00%), 기아(-0.84%), 삼성물산(-0.48%), 현대차 (KS:005380)(-0.40%)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했다. 건설(+2.98%), 운송장비/부품(+2.45%), 종이/목재(+2.20%), 기계/장비(+2.16%), 금속(+1.86%), 오락/문화(+1.80%), 일반서비스(+1.43%), 화학(+1.37%), 제조(+0.97%), 제약(+0.94%), 의료/정밀 기기(+0.47%), 비금속(+0.43%), 섬유/의류(+0.42%), 운송/창고(+0.42%) 업종 등이 상승했다. 반면, 전기/가스(-9.34%), 보험(-2.67%), 유통(-0.72%), 증권(-0.36%), 음식료/담배(-0.16%) 업종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0.91% 상승한 771.20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767.91로 상승 출발했다. 장초반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761.36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이내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상승폭을 키워 768선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하던 지수는 장후반 상승폭을 더욱 키워 결국 장중 고점인 771.20으로 장을 마감했다. 종가는 지난 2월26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새 정부 정책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수하며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 개인은 5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했다. 반면, 기관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특히, 미국 당뇨학회를 앞두고 비만치료제 관련 임상연구를 발표할 예정인 한미약품(+8.21%)이 급등한 가운데 펩트론(+19.79%), 인벤티지랩(+6.97%), 아이큐어(+6.71%) 등 비만치료제 테마를 중심으로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정부 웹툰 산업 육성 기대감 등에 미투온(+29.89%), 미스터블루(+15.92%), 디앤씨미디어(+7.84%) 등 웹툰 테마도 강세를 나타냈고, 와이지엔터테인먼트(+3.44%), 에스엠(+1.95%), JYP Ent.(+1.75%) 등 엔터주들도 한중 관계 개선 기대감 속 상승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57억, 133억 순매수, 기관은 23억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했다. 펩트론(+19.79%), 휴젤(+5.52%), 젬백스(+4.43%), 파마리서치(+3.79%), 리가켐바이오(+3.11%), HLB (KQ:028300)(+2.14%), 에스엠(+1.95%), JYP Ent.(+1.75%), 알테오젠 (KQ:196170)(+1.42%), 셀트리온제약(+0.79%), 삼천당제약(+0.72%), 실리콘투 (KQ:257720)(+0.19%) 등이 상승했다. 반면, 클래시스(-1.54%), 에이비엘바이오(-1.13%), 코오롱티슈진(-0.90%), 리노공업(-0.52%), 레인보우로보틱스(-0.35%), 에코프로(-0.23%), 에코프로비엠 (KQ:247540)(-0.22%)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했다. 오락/문화(+4.05%), 제약(+3.19%), 출판/매체복제(+1.82%), 일반서비스(+1.50%), 운송장비/부품(+1.06%), 금속(+0.79%), 제조(+0.75%), IT 서비스(+0.54%), 금융(+0.47%), 건설(+0.46%), 비금속(+0.36%) 업종 등이 상승했다. 반면, 통신(-1.67%), 기타제조(-1.04%), 섬유/의류(-0.89%), 운송/창고(-0.78%), 기계/장비(-0.35%), 음식료/담배(-0.32%), 화학(-0.26%) 업종 등은 하락했다.

▶섹터분석

■ 정부 웹툰 산업 육성 기대감

언론에 따르면, 정부는 웹툰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공식 지정하고, 세제 혜택 및 해외진출 지원 등 종합 지원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웹툰 산업의 20주년을 맞아 2027년까지 산업 규모 4조원, 수출 3조40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공격적 육성 전략을 발표했으며, 특히 AI 기반 제작지원을 위한추경예산 165억원 편성, 중화권ㆍ동남아 등 해외 진출 지원, 저작권 보호 체계 정비 등을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문화강국’을 국가 비전으로 제시하며 웹툰을 포함한 K-콘텐츠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공언한 바 있다. 특히, 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에만 한정됐던 세액 공재를 웹툰 제작 분야로 확대하는 방안도 포함됐으며, 웹툰 불법 유에 적극 대응하기로 하면서 웹툰 업계의 글로벌 진출과 수익 개선 등에 있어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울러 웹툰 지식재산권(IP)을 바탕으로 만든 드라마가 또 한 번 세계를 휩쓸면서 웹툰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6일 공개된 네이버웹툰을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광장’은 공개 첫 주 만에 넷플릭스 TV쇼(비영어) 부문 글로벌 3위에 올랐다고 알려짐졌다. 한국을 포함해 일본, 대만, 태국 등 아시아 국가는 물론 브라질, 멕시코, 프랑스 등 전 세계 83개국에서 ’오늘의 톱 10’ 목록에 이름을 올리며 폭넓은 인기를 증명했다. 시장에서는 최근 웹툰 IP를 활용한 영상이 성공을 이어가면서 탄탄한 스토리를 갖춘 한국 웹툰이 글로벌 콘텐츠 시장의 흥행 보증수표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소식 속 미스터블루, 미투온, 핑거스토리, 키다리스튜디오, 엔비티, 디앤씨미디어, 와이랩 등 웹툰 테마가 상승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 HD현대중공업 2.4조원 규모 컨테이너선 8척 수주 및 한화그룹, 오스탈 지분 인수 美 정부의 승인

HD현대중공업, 아시아 소재 선사와 2.40조원(최근 매출액대비 16.57%) 규모 공급계약(컨테이너선 8척) 체결(계약기간:2025-06-09~2028-11-30) 공시했다. 선박을 발주한 선주는 일본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NE)로 추정되고 있으며, 척당 단가는 3,000억 원으로 동일 규모 선박의 최근 가격인 2억200만 달러(약 2,700억 원)를 11%가량 웃도는 수준이다.

아울러 한화그룹이 미국 정부로부터 호주 오스탈 지분을 최대 100%까지 보유할 수 있는 승인을 받으면서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음. 호주에 본사를 둔 오스탈은 미국 앨라배마주 모바일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군함 건조가 가능한 조선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는 “해결되지 않은 국가안보 우려가 없다”며 한화가 최대 100%까지 오스탈의 지분을 확대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마이클 쿨터 한화글로벌디펜스 대표는 “한국 조선 기술과 운영 시스템이 미국 방산 산업과 결합하면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며 “오스탈과의 협력을 통해 미국 조선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소식에 금일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 세진중공업, HD현대마린솔루션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인포스탁 리서치

▶신고가 한 줄 분석

■ 다날(064260)(+29.90%) - 음원/음반 및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및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전자결제(전자화폐)/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 5930원

■ 한화시스템(272210)(+20.09%)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및 한화, 오스탈 지분 인수 美 정부 승인 소식에 한화 그룹주 상승 / 5만2000원

■ 플리토(300080)(+19.41%) - 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 / 2만9000원

■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6.95%) - 건설기계 테마 상승 / 1만1200원

■ 풍산(103140)(+16.67%)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전망 / 7만7000원

■ 카카오페이(377300)(+15.96%) -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전자결제(전자화폐) 테마 상승 / 5만8400원

■ 지아이이노베이션(358570)(+15.68%) - 머크社와 대규모 기술이전(L/0) 계약 체결 기대감 지속 / 2만900원

■ 스튜디오드래곤(253450)(+13.59%) - 엔터테인먼트 및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 5만7000원

■ 신대양제지(016590)(+11.15%) - 자진상폐 가능성 지속 부각 / 1만3810원

■ 헥토파이낸셜(234340)(+10.69%) -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전자결제(전자화폐)/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 2만5400원

■ 콘텐트리중앙(036420)(+10.40%) - 엔터테인먼트 및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SLL중앙 매각 추진 소식 / 1만3700원

■ SBS(034120)(+9.98%) - 中 외국 우수영화 도입 시사 소식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 2만9450원

■ LS마린솔루션(060370)(+9.83%) - 전선/ 전력설비/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주가 급등에 따른 유상증자 비율 감소로 지분희석 우려 해소 / 3만1850원

■ 현대로템(064350)(+9.71%)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및 K2전차, 사상 최대 규모 폴란드 2차 수출계약 임박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16만9300원

■ 일성아이에스(003120)(+7.31%) - 자사주 소각 의무화 추진 기대감 속 ’자발적 상장폐지’ 가능성 지속 부각 / 2만4700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6.36%)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한화, 오스탈 지분 인수美 정부 승인 소식에 한화 그룹주 상승 / 95만0000원

■ 갤럭시아머니트리(094480)(+5.76%) -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전자결제(전자화폐)/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 1만3100원

■ 풍산홀딩스(005810)(+5.67%) - K2전차, 사상 최대 규모 폴란드 2차 수출계약 임박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3만8900원

■ 비츠로셀(082920)(+5.57%) - 올해 실적 성장 전망 및 기업가치 제고계획 발표 기대감 / 3만1100원

■ 현대건설(000720)(+5.42%) -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원전 EPC기업으로 리레이팅 기대감 / 7만4000원

■ 애니플러스(310200)(+5.41%) - 中 외국 우수영화 도입 시사 소식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 4125원

■ 웅진(016880)(+5.03%) - 프리드라이프 인수 마무리 기대감 지속 / 2350원

■ 코스맥스(192820)(+4.87%)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동남아 최대 이커머스 쇼피와 협업 소식 / 24만0000원

■ YG PLUS(037270)(+4.69%) - 韓-中 정상간 통화 속 양국 관계 개선 기대감 부각에 음원/음반 테마 상승 / 7220원

■ 젬백스(082270)(+4.43%) - 유럽 최대 루게릭병 학회서 GV1001 전임상 결과 발표 모멘텀 지속 / 5만4700원

■ HD한국조선해양(009540)(+4.35%) - 조선 및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자회사 HD현대중공업 2.4조원 규모 컨테이너선 8척 수주 / 33만9500원

■ 가비아(079940)(+4.28%) - 베슬AI와 함께 ’가비아 클라우드 AI 플랫폼’ 구축 소식 / 2만3200원

■ 태웅(044490)(+4.27%) - 풍력에너지 및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SMR용 부품 수주 주목 분석 모멘텀 지속 / 3만3400원

■ LIG넥스원(079550)(+4.20%) - K2전차, 사상 최대 규모 폴란드 2차 수출계약 임박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46만2000원

■ 원텍(336570)(+4.09%) - 레이저 장비 ’브이 레이저’ 사우디 시장 본격 공략 기대감 지속 / 1만500원

■ 한국콜마(161890)(+3.93%)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아시아 지역 국가 화장품 규제 담당 고위 공무원 방문 모멘텀 지속 / 9만1000원

■ 파마리서치(214450)(+3.79%) - 화장품/ 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10분기 연속 사상 최대 실적 경신 모멘텀 지속 / 52만5000원

■ 신성통상(005390)(+3.57%) - 자진상폐 위한 공개매수 재추진 모멘텀 지속 / 4075원

■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3.44%) -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속 블랙핑크 신보 및 MD 성장 기대감 지속 / 9만1200원

■ 한화(000880)(+3.37%) -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오스탈 지분 인수 美 정부 승인 소식에 한화 그룹주 상승 / 9만8400원

■ 한솔홀딩스(004150)(+3.15%) - 한솔PNS와 주식교환·이전 결정 / 3350원

■ SK이터닉스(475150)(+2.95%) - 이재명 정부,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 기대감 지속 등에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 2만3650원

■ 에프엔씨엔터(173940)(+2.70%) -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및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 4195원

■ GS건설(006360)(+2.56%)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모멘텀 지속 / 2만4600원

■ 효성중공업(298040)(+2.40%) - 전력설비/ 풍력에너지 및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2030년까지 실적 호조 전망 / 69만0000원

■ SK케미칼(285130)(+2.35%) - 기억력 감퇴 개선제 ‘기넥신메모케어’ 출시 소식 / 6만2500원

■ 하이브(352820)(+2.32%) -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속 BTS 완전체 컴백 효과 기대감 / 31만0000원

■ 한화투자증권(003530)(+2.26%) -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 5520원

■ CJ프레시웨이(051500)(+2.11%) - 2분기 이후 실적 모멘텀 강화 기대감 지속 / 2만9800원

■ 동양이엔피(079960)(+2.11%) - 저평가 및 높은 자산가치 분석 모멘텀 지속 / 2만4500원

■ 롯데관광개발(032350)(+1.97%) - 5월 호실적 모멘텀 및 외인 카지노 시장 동반 성장 기대감 지속 / 1만3480원

■ 에스엠(041510)(+1.95%) -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속 실적 개선 기대감 지속 / 14만4700원

■ 에이스토리(241840)(+1.60%) - NFT(대체불가토큰) 및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 1만2140원

■ LF(093050)(+1.53%)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모멘텀 지속 / 1만8110원

■ 대한약품(023910)(+1.15%) - 올해 실적 성장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모멘텀 지속 / 3만1400원

■ 두산에너빌리티(034020)(+1.05%) - 전력설비/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9,639.94억원 규모 베트남 가스복합발전소 수주 소식 / 4만8500원

■ 하나금융지주(086790)(+0.90%) -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 8만800원

■ 에이피알(278470)(+0.86%)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세금 안 내는 ’감액 배당’ 추진 모멘텀 지속 / 13만900원

■ 선광(003100)(+0.47%) -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2만1650원

■ 텔코웨어(078000)(+0.47%) - 최대주주 공개매수 결정 모멘텀 지속 / 1만3070원

■ 서울옥션(063170)(+0.43%) -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 9590원

■ KB금융(105560)(+0.18%) - 신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 11만4800원

▶주요공시

■ 플리토(300080) - 보통주 1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5-06-25, 상장예정:2025-07-18)

■ 대우건설(047040) - 디에스케이피에프브이(주)와 3,985.6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79%) 규모 공급계약(풍무역세권 B3BL 공동주택 신축공사) 체결

■ 대명에너지(389260) - 안마해상풍력(주)와 31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5.75%) 규모 공급계약(육상변전소 공사도급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8-31~2028-12-31)

■ 크레오에스지(040350) - (주)국민은행과 12.1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4.90%) 규모 공급계약(계정계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 체결(계약기간:2025-06-09~2025-07-31)

■ HD현대중공업(329180) - 아시아 소재 선사와 2.40조원(최근 매출액대비 16.57%) 규모 공급계약(컨테이너선 8척) 체결(계약기간:2025-06-09~2028-11-30)

■ AP시스템(265520) - Xiamen Tianma Display Technology Co., Ltd와 규모 공급계약(OLED 제조장비)체결(계약기간:2025-06-09~2026-05-20)

■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 유럽소재제약사와 1,024.5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25%) 규모 공급계약(의약품 위탁생산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6-10~2031-12-31)

■ STX엔진(077970) - 에이치디현대중공업(주)와 766.4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58%) 규모 공급계약(선박용 이중연료 발전기엔진) 체결(계약기간:2025-06-10~2028-03-02)

■ 자화전자(033240) - 운전자금 및 시설자금 확보 목적으로 JH VINA CO., LTD. 출자증권을 407.67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5-07-10).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6-10~2025-12-10, 한국투자증권(KOREA INVESTMENT & SECURITIES CO,LTD))

■ 컨텍(451760) -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6-10~2025-12-09, 미래에셋증권(주)(MIRAE ASSET SECURITIES CO., LTD.))

■ 엑시온그룹(069920) - (주)엠제이테크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5-08-18)

■ 영원무역(111770) - 5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6-10)

■ 피노(033790) - 주식회사 엘앤에프와 36.5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90%) 규모 공급계약(NCM 전구체) 체결(계약기간:2025-06-07~2025-09-17)

■ 한신공영(004960) - 조달청(한국토지주택공사)와 1,661.0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1%) 규모 공급계약(인천영종 A-24BL 아파트 건설공사 12공구) 체결(계약기간:2025-06-30~2028-02-03)

■ 에스엘에스바이오(24625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결정 기한 안내

■ 제이앤티씨(204270) - (주)코메트와 소규모합병 이사회 승인

■ 노을(376930) - 마이랩(miLab)플랫폼 등 총 4종 제품 이탈리아 공급 및 독점 판매권 부여 계약 체결

■ 한솔홀딩스(004150) - 한솔피엔에스(주)와 주식교환ㆍ이전 결정(교환ㆍ이전 비율 : 한솔홀딩스(주) : 한솔피엔에스(주) = 1 : 0.6513541)

■ 한솔PNS(010420) - 한솔홀딩스(주)와 주식교환ㆍ이전 결정(교환ㆍ이전 비율 : 한솔홀딩스(주) : 한솔피엔에스(주) = 1 : 0.6513541)

■ 씨유테크(376290) - (주)라비닉스와 소규모합병 이사회 승인

■ 클래시스(214150) - 2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연장 결정(기간:2024-12-30~2025-12-30, 삼성증권(Samsung Securities))

허준범 기자 jb_3heo@infostock.co.kr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5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