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르네상스, 10년 만의 기회…"공급망 유지·SMR 실증 시급"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 국내 증시
지난 2일 코스피지수는 美中 무역갈등 재점화 및 철강관세 기습 인상 속 제 21대 대통령선거를 하루 앞두고 관망심리가 짙어진 가운데 0.05% 상승한 2698.97에 거래를 마쳤다.
수급별로는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989억, 1284억 순매수했고, 기관은 2414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4608계약 순매도했고, 기관과 개인은 각각 3321계약, 1077계약 순매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30일 美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US스틸 공장 연설과 SNS를 통해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부과중인 25% 관세를 50%로 인상하겠다며, 이는 6월4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한국 철강의 미국향 수출은 기존에 쿼터제가 폐지되는 대신 25%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데 최종적으로 50% 관세 확정 시 국내 철강제품의 미국향 수출에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세아제강(-10.12%), KG스틸(-6.16%), 포스코스틸리온(-4.08%), 동국제강(-3.72%), POSCO홀딩스(-2.40%), 현대제철(-2.66%) 등 철강주가 하락했다.
대선을 하루 앞두고 정책 수혜주로 부각됐던 KB금융 (KS:105560)(-4.12%), 신한지주(-3.96%), 하나금융지주(-3.71%), BNK금융지주(-2.80%), SK스퀘어(-3.92%), 한국금융지주(-2.87%), 코오롱(-2.58%), 삼성증권(-2.15%), 신영증권(-6.44%), 메리츠금융지주(-0.36%) 등 은행, 증권, 지주사 등 테마가 하락했다.
반면, 5월 반도체 수출 역대 최대 소식 등에 DB하이텍(+8.46%), 삼성전자 (KS:005930)(+1.07%), SK하이닉스 (KS:000660)(+1.47%)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했다. 에이피알(+6.85%), 코스맥스(+3.10%), 아모레퍼시픽홀딩스(+2.67%), 한국콜마(+2.29%) 등도 5월 수출 역대 최대 소식 등에 상승했다. 솔루스첨단소재(+13.29%)는 中 CATL과 전지박 공급계약 체결 소식 등에 급등. 엔씨소프트 (KS:036570)(+9.18%)는 신작 아이온2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했다.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373.1원으로 전거래일대비 10.0원 하락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7bp 하락한 2.340%, 10년물은 전일 대비 0.7bp 상승한 2.793%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틱 내린 107.49 마감했다. 금융투자가 7685계약 순매도, 은행과 외국인은 각각 3354계약, 4320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2틱 내린 118.95 마감했다. 금융투자가 1643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1711계약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했다. KB금융(-4.12%), 신한지주(-3.96%), 하나금융지주(-3.71%), 현대모비스(-2.57%), HD한국조선해양(-1.26%), 기아(-1.12%), 현대차 (KS:005380)(-0.70%), NAVER(-0.53%), LG에너지솔루션(-0.52%), 메리츠금융지주(-0.36%), 한화오션(-0.26%),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10%) 등이 하락했다. 반면, HD현대중공업(+5.55%), HMM (KS:011200)(+4.69%), 한화에어로스페이스(+2.96%), 두산에너빌리티(+1.49%), SK하이닉스(+1.47%), 삼성전자(+1.07%), 삼성물산(+1.00%) 등은 상승했다. 셀트리온은 보합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유입 등에 0.81% 상승한 740.29에 장을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109억, 143억 순매수했고, 개인은 1202억 순매도했다.
5월 화장품 수출 역대 최대 기록 소식 등에 실리콘투 (KQ:257720)(+9.96%), 브이티(+8.82%), 코디(+8.52%), 코스메카코리아(+5.17%), 네오팜(+4.70%) 등 화장품, 원텍(+10.43%), 클래시스(+1.75%) 등 미용기기 등 테마가 상승했다. 네이버웹툰, 넷플릭스 탑재 거론 소식 등에 미스터블루(+18.84%), 핑거스토리(+6.18%), 와이랩(+5.46%), 디앤씨미디어(+5.33%) 등 웹툰 테마가 상승했다. 5월 반도체 수출 역대 최대 소식 등에 파크시스템스(+5.33%), 고영(+2.92%), 리노공업(+2.53%), 저스템(+2.10%), 티씨케이(+1.83%), 마이크로컨텍솔(+3.07%) 등 일부 반도체 테마도 상승했다. 금일 싱규 상장한 키스트론(+168.33%)은 급등했다.
대선을 하루 앞두고, 유라클(+29.95%), 웹케시(+21.72%), 쿠콘(+4.49%), 갤럭시아머니트리(+3.60%) 등 지역화폐, DSC인베스트먼트(+11.13%), 나우IB(+8.50%), 포바이포(+8.22%), 엑스페릭스(+4.21%) 등 퓨리오사AI, 솔트룩스(+11.88%), 플리토(+9.90%), 코난테크놀로지(+8.82%) 등 AI 관련주가 정책 기대감 등에 상승했다.
반면, 에코프로비엠 (KQ:247540)(-0.78%), 에코프로(-1.64%), 엔켐(-0.30%), 브이원텍(-3.17%) 등 일부 2차전지 테마가 하락했다. HLB (KQ:028300)(-3.11%), 펩트론(-1.08%), 리가켐바이오(-0.17%), 삼천당제약(-0.34%), 씨젠(-1.94%), 국전약품(-4.31%), HLB제약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하락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다소 우세했다. 실리콘투(+9.96%), 알테오젠 (KQ:196170)(+6.06%), 젬백스(+5.02%), 파마리서치(+4.99%), JYP Ent.(+3.08%), 리노공업(+2.53%), 클래시스(+1.75%), 레인보우로보틱스(+1.70%), 휴젤(+1.36%), 에스엠(+1.25%), 에이비엘바이오(+0.12%) 등이 상승했다. 반면, HLB(-3.11%), 코오롱티슈진(-2.96%), 에코프로(-1.64%), 펩트론(-1.08%), 에코프로비엠(-0.78%), 삼천당제약(-0.34%), 리가켐바이오(-0.17%), 펄어비스(-0.13%) 등은 하락했다.
■ 미국 증시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0.51% 상승한 4만2519.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81% 상승한 1만9398.96에, S&P500 지수는 0.58% 상승한 5970.37에 거래르 마쳤고,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2.72% 상승한 4964.40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 대화가 조만간 이뤄질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면서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가 확산됐다. 백악관 대변인은 “조만간 정상 간 대화가 있을 것”이라고 공식 확인하며,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이 제네바 무역 합의를 준수하는지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낙관적 분위기 속에서 반도체 업종이 강하게 반등했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정상회담 논의는 미중 간 기술 협상의 핵심 수혜주로 엔비디아가 부각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엔비디아 (NASDAQ:NVDA)(+2.80%)는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시가총액 1위 자리를 탈환했으며, AMD(+2.34%), 브로드컴(+3.27%), 인텔 (NASDAQ:INTC)(+2.79%), 마이크론(+4.15%), TSMC(+1.42%) 등 관련주가 일제히 상승했다.
미국 경제의 중심지인 뉴욕 월스트리트의 금융회사들. 사진= 픽사베이
한편,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은 미국 대사와의 회동에서 “중국은 제네바 회담 이후의 합의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며, 미국의 부정적 조치에 유감을 표했다.
연방준비제도(Fed) 주요 인사들은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경제를 둔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관세 정책은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높인다”고 했고, 리사 쿡 이사도 “행정부 정책이 인플레이션 상승과 노동시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4월 구인건수(JOLTS)는 739만 건으로, 전월(720만 건) 대비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710만 건)를 상회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7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은 74.3%로 전일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국제유가는 캐나다 산불과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에 따라 상승세를 보였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물은 전일 대비 0.89달러(+1.42%) 오른 배럴당 63.41달러에 마감됐다.
채권시장은 단기물 약세와 혼조세가 혼재했고, 달러화는 구인건수 호조 및 유로화 약세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금 가격은 달러 강세 속에 하락했다.
종목별로는 달러 제너럴(+15.85%)이 1분기 실적 호조로 급등했고, 핀터레스트(+3.82%)는 JP모건의 목표가 상향 조정에 힘입어 상승했다.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상향 행정명령 소식에 US스틸(+0.43%), 알코아(+3.98%) 등도 상승했다. 유가 상승에 따라 엑슨 모빌(+0.73%), 셰브론(+1.24%) 등 에너지주도 강세를 보였다.
대형 기술주는 등락이 엇갈렸다. 애플 (NASDAQ:AAPL)(+0.78%), 마이크로소프트(+0.22%), 테슬라 (NASDAQ:TSLA)(+0.46%)는 상승했으며, 아마존 (NASDAQ:AMZN)(-0.45%), 알파벳A(-1.69%), 메타(-0.60%)는 하락했다.
■ 아시아 증시
6월3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엔화 강세 속 수출주 하락 등에 약보합권인 0.06% 하락한 3만7446.81에 장을 마감하며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일본은행(BOJ) 우에다 총재는 이날 국회 재정금융위에 출석해 경제나 물가 등과 관련 불확실성이 높다며, 무리하게 정책 금리를 올릴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무역 갈등이 경제 둔화와 기업 수익성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 금리 인상 시기를 신중하게 판단할 것이며, 경제나 물가가 전망대로 움직인다는 전제에서는 계속해서 정책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기존 입장도 반복했다. 이에 외환시장에서는 엔/달러 환율이 143엔 대까지 상승하는 엔화 강세가 나타났으며, 시장에서는 스즈키자동차(-4.51%), 혼다자동차(-0.94%), 도요타자동차(-0.59%) 등 수출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출회됐다.
다만, 美 증시 상승 속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한 점은 증시 하락폭을 제한하며 시장에서는 어드반테스트(+2.64%), 디스코(+1.22%), 레이져테크(+0.39%) 등 반도체 관련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한편,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재무성이 실시한 국채 10년물 입찰에서 최저 낙찰 가격이 시장 예상 범위 상단을 웃돌았다고 전해졌다. 응찰액을 낙찰액으로 나눈 응찰 배율은 3.66배로 직전 회차(2.54배)를 상회했고, 지난 2024년 4월 이후 1년 2개월 만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종목별로는 도쿄가스(-3.43%), 샤프(-1.15%), 도쿄일렉트론(-0.91%), 스미토모화학(-0.35%) 등이 하락했다.
사진=Bank of Japan(BOJ)
6월3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美中 대화 가능성 부각에 0.43% 소폭 상승한 3361.98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주말사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우리와의 합의를 완전히 위반했다"고 발언하면서 미중 간 무역 갈등이 고조되기도 했지만, 간밤 양국간 긴장 완화 기대감이 재차 확산되면서 중국 증시는 상승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일(현지시간) 취재진과 만나 "두 정상이 이번 주 대화를 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통화하면 지난달 10~11일 제네바 회담에서 이뤄진 관세 합의 이후 이행을 둘러싼 이견을 조율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미중간 무역 갈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말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등 비관세 조치 해제 지연을 두고 합의 위반이라고 주장하면서 다시 불거진 바 있으며, 중국도 트럼프 행정부의 인공지능(AI) 칩 수출 통제 가이드라인 발표 등이 중국에 대한 차별적 제한 조치라고 맞받아친 바 있다.
다만,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차이신(財新)에 따르면, 5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3으로 집계돼 2022년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수가 50을 밑돌며 제조업 경기가 8개월 만에 위축세로 돌아섰다.
종목별로는 중신증권(+0.27%), 중국중철(+0.54%), 농업은행(+0.72%), 교통은행(+1.32%), 하문텅스텐(+2.32%) 등이 상승 마감했다.
홍콩항셍 지수는 1.53% 상승한 2만3512.49에, 대만가권 지수는 0.59% 상승한 2만1126.93에 장을 마감했다.
■ 전일 장마감 후 주요 종목 공시
* 글로벌텍스프리(204620) - 수익성이 낮은 종속회사에 대한 투자금 회수 등 목적으로 주식회사 스와니코코 주식 3,705,974주를 261.30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후지분율:100%, 처분예정일:2025-07-04)
* LF(093050) - 보통주 300,120주(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6-04~2025-09-02)
* M83(476080) - 필름몬스터와 56.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63%) 규모 공급계약(드라마 VFX 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6-02~2026-12-07)
* 기아(000270) - 2025년5월 자동차 판매량 269,148대(전년동월대비 +1.7%)
* 바른손(018700) -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강성철 등 대상으로 6.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1,000원, 교환청구일:2025-07-05 ~ 2028-05-05). 보통주 600,000주(6.0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6-05)
* 일양약품(007570) - 대한민국 조달청과 142.9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31%) 규모 공급계약(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백신) 체결(계약기간:2025-06-02~2026-06-30)
* 꿈비(407400) - 꿈비가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총 전환사채금액:200.00억원, 매도 결정 전환사채 금액:11.44억원)
* DI동일(001530) - 3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6-02)
* 포톤(208710) - 종속회사 재무건전성 제고 목적으로 PHOTON VINACO., LTD(베트남) 출자증권을 123.81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5-06-20)
* 엔젠바이오(354200) - 최대주주가 에스에이치헬스케어투자1호조합으로 변경
* 코닉오토메이션(391710) -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본건 펀드 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등 대상으로 13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637원, 전환청구일:2026-06-05 ~ 2030-05-05)
* 다날(064260) - 박성찬이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 담보제공 계약 해제ㆍ취소(담보 주식수:398,010, 담보설정금액:-)
* 인스코비(006490) - 자기 전환사채 만기전 취득 결정(총 전환사채금액:120.00억원, 만기전 취득 결정 전환사채 금액:15.00억원)
* TP(007980) - 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6-02)
* 카이노스메드(284620) - LT9 Enterprises Limited와 9.9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67.78%) 규모 공급계약(무통자동주사기 (i-Ject)) 체결(계약기간:2025-05-30~2025-08-30)
* 롯데지주(004990) - 재무구조 개선 및 미래 성장투자 재원 확보 목적으로 롯데글로벌로지스㈜ 주식 6,044,952주를 1,259.64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후지분율:46.04%, 처분예정일:2025-06-11)
* 롯데관광개발(032350) - 2025년5월 호텔 매출액 79.20억원(전년동월대비 +2.3%), 카지노 매출액 413.55억원(전년동월대비 +52.5%)
* 한창(005110) - 김ㅇㅇ 외 29인이 회계장부등 열람등사 가처분 소송 제기
* LS(006260) - 종속회사 CYPRUS INVESTMENTS가 100% 자회사인 INC., CYPRUS INVESTMENTS, INC.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CYPRUS :SEI = 1 : 1.4690538, 합병기일:2025-05-30). 조회공시 요구(LS전선(주), 국내 최대 해상풍력 프로젝트 수주관련 보도)에 대한 답변으로 LS전선(주)은 전남 안마해상풍력사업에 대하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선정일자 : 2023년 9월 18일)되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가 없다고 밝힘
* 오스코텍(039200) - 진행성 고형암 치료 후보물질 OCT-598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 동성제약(002210) - 이양구 외 1명이 제기한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소송 기각 판결. 이양구 외 1명이 제기한 이사의 위법행위유지 가처분 소송 기각 판결
* 삼익THK(00438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관련 기업심사위원회 심의대상 결정 안내
* CBI(013720) - 사업다각화로 회사 수익성 제고 목적으로 주식회사 뉴큐브게임즈 주식 2,000주를 3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31.81%, 취득예정일:2025-06-02)
* 광명전기(017040) - 보통주 1,340,946주(27.35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신탁 결정(기간:2025-06-03~2025-08-31). 최대주주 나반홀딩스(유)가 엠에이치건설(주)에 보유주식 6,508,298주를 200.0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 푸른소나무(057880) - 회생절차 개시신청. 회생절차 개시신청으로 관리종목 지정사유추가. 기업심사위원회 개최기한 연장안내
* 엔케이맥스(182400) - 기업심사위원회 개최기한 연장안내
* 비유테크놀러지(230980) - 기업심사위원회 개최기한 연장안내
* 대산F&B(065150) - 기업심사위원회 심의·의결 결과 및 개선기간 부여 안내
* EDGC(245620) - 기업심사위원회 개최 결과 및 심의속개 결정 안내
* 씨씨에스(066790) - 이○○ 외 24명이 주주총회소집허가 신청 소송 취하
* 세아메카닉스(3963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엘앤씨바이오(2906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지씨셀(14451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차바이오텍(08566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세코닉스(0534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태웅(04449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박상철 기자 3fe94@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