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19마감체크] 국내증시, 美 국가신용등급 강등에 하락

입력: 2025- 05- 19- 오후 05:40
© Reuters [0519마감체크] 국내증시, 美 국가신용등급 강등에 하락

주식, 전광판, 그래프, 증시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

▶마감체크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0.89% 하락한 2,603.42에 마감했다.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갈등 완화 지속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613.70으로 하락 출발했다. 장 초반 2619.4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오전중 2,594선까지 낙폭을 확대했다. 이후 2609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오후 들어 재차 낙폭을 키웠고, 2593.4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다. 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결국 2603.42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무디스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여파,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하락했다. 외국인은 9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하루만에 1900억 넘게 순매도했다. 개인은 하루만에 3000억 가까이 순매수했다.

현지시간 16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최고 수준인 ’Aaa’에서 ’Aa1’으로 하향 조정했다. 등급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조정했다. 무디스는 3대 국제신용평가사 중 유일하게 미국의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으로 유지해왔었다. 피치는 23년 8월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 S&P는 지난 2011년 미국 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한 바 있다.

무디스는 "지난 10여년 간 미국 연방정부 부채가 지속적인 재정 적자로 급격히 증가해왔다"며, "연방 재정지출은 증가한 반면 감세 정책으로 재정 수입은 감소했다"라고 하향 배경을 설명했다. 무디스는 이자 비용을 포함한 의무적 지출이 총 재정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4년 약 73%에서 2035년 약 78%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된다며 "과세와 지출에 대한 조정이 없다면 예산의 유연성이 제한적인 상태에 머물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삼성전자 (KS:005930)(-1.76%), SK하이닉스 (KS:000660)(-2.49%), 한미반도체(-6.34%) 등 반도체 관련주, 현대차 (KS:005380)(-1.44%), 기아(-0.54%), 현대모비스(-2.16%), 현대위아(-2.96%) 등 자동차 대표주, 미래에셋증권(-2.14%), 삼성증권(-1.65%), NH투자증권(-2.93%), 키움증권(-3.17%) 등 증권주가 하락했다. 이날 발표된 중국 4월 소매판매가 5.1% 증가를 기록, 예상치를 하회한 가운데, 제주항공(-2.43%), 티웨이항공 (KS:091810)(-2.11%), 에어부산(-2.13%) 등 항공, 한국화장품제조(-5.16%), 토니모리(-5.11%), 코스맥스(-2.38%) 등 화장품 등의 중국 소비 관련주도 하락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0.34%), 삼성SDI(+2.85%), SK이노베이션(+0.34%), 포스코퓨처엠(+3.60%)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은 반등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2.59%), SK바이오사이언스 (KS:302440)(+3.74%), 신풍제약(+5.37%) 등 일부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상승했다. 삼성생명(+5.58%)은 배당 매력 부각 등에 상승했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하락, 중국, 홍콩은 상승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138억, 1947억 순매도, 개인은 2985억 순매수했다.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2618계약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051계약, 1605계약 순매수했다.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397.8원으로 전거래일대비 2.2원 하락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4.7bp 상승한 2.366%, 10년물은 전일 대비 7.1bp 상승한 2.747%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7틱 내린 107.49 마감했다. 외국인이 17,459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은행은 각각 7286계약, 7834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76틱 내린 119.56 마감했다. 은행과 외국인은 각각 2544계약, 1707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4329계약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했다. 한화오션(-2.83%), SK하이닉스(-2.49%), 현대모비스(-2.16%), 삼성전자(-1.76%), HMM (KS:011200)(-1.74%), 현대차(-1.44%), NAVER(-1.28%), 메리츠금융지주(-1.24%), 삼성물산(-1.21%), POSCO홀딩스(-0.81%), 기아(-0.54%), 한화에어로스페이스(-0.24%) 등이 하락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2.59%), KB금융 (KS:105560)(+1.50%), HD현대중공업(+0.95%), 두산에너빌리티(+0.87%), 신한지주(+0.58%), HD한국조선해양(+0.35%) 등은 상승했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했다. 증권(-2.38%), 전기/전자(-1.62%), IT 서비스(-1.51%), 음식료/담배(-1.41%), 일반서비스(-1.38%), 금속(-1.37%), 운송/창고(-1.19%), 오락/문화(-1.16%), 제조(-1.06%), 운송장비/부품(-1.04%), 기계/장비(-0.97%), 의료/정밀기기(-0.91%), 종이/목재(-0.87%), 비금속(-0.79%), 부동산(-0.65%), 섬유/의류(-0.51%), 화학(-0.40%), 통신(-0.39%), 금융(-0.30%) 등이 하락했다. 반면, 보험(+1.87%), 제약(+1.25%), 전기/가스(+0.96%) 등이 상승했다.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1.56% 하락한 713.75에 마감했다.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갈등 완화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1.27로 하락 출발했다. 장 초반 721.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오전중 710선까지 낙폭을 확대했다. 이후 716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오후 들어 낙폭을 재차 키웠고, 710.4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다. 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결국 713.75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무디스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여파,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했다.

리노공업(-3.60%), HPSP(-5.14%), 이오테크닉스(-3.77%), 주성엔지니어링(-4.42%), 테크윙(-4.12%) 등 반도체, HLB (KQ:028300)(-4.47%), 펩트론(-2.12%), 리가켐바이오(-3.01%), 삼천당제약(-5.88%), 셀트리온제약(-1.37%), 보로노이(-5.35%), 에스티팜(-1.65%)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등이 하락했다. 중국 4월 소매판매 부진 등에 에스엠(-0.67%), JYP Ent.(-2.17%), 와이지엔터테인먼트(-2.15%) 등 엔터, CSA 코스믹(-6.23%), 선진뷰티사이언스(-5.99%), 씨앤씨인터내셔널(-3.56%), 코스메카코리아(-3.43%), 아이패밀리에스씨(-3.38%) 등 화장품 테마도 하락했다.

반면,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중단 소식 등에 체리부로(+29.96%), 하림(+25.21%), 동우팜투테이블(+12.70%), 마니커에프앤지(+12.30%) 등 육계 테마가 급등했다. 중화권 코로나19 재확산 및 니파바이러스 우려 등에 수젠텍(+29.95%), 셀리드(+21.30%), 랩지노믹스(+18.88%), 진매트릭스(+9.55%) 등 일부 코로나19 관련주도 상승했다. 금일 신규상장한 이뮨온시아(+108.33%)는 급등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69억, 1830억 순매도, 개인은 2383억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8.43%), 삼천당제약(-5.88%), 보로노이(-5.35%), HLB(-4.47%), 리노공업(-3.60%), 리가켐바이오(-3.01%), 실리콘투 (KQ:257720)(-2.77%), 코오롱티슈진(-2.21%), JYP Ent.(-2.17%), 펩트론(-2.12%), 펄어비스(-1.99%), 휴젤(-1.73%), 셀트리온제약(-1.37%) 등이 하락했다. 반면, 에이비엘바이오(+3.97%), 파마리서치(+1.56%), 알테오젠 (KQ:196170)(+0.63%), 에코프로(+0.11%) 등은 상승했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했다. 기계/장비(-3.43%), 기타제조(-2.92%), 기술성장기업(-2.66%), 통신(-2.41%), IT 서비스(-2.36%), 제조(-1.65%), 오락/문화(-1.65%), 유통(-1.58%), 전기/전자(-1.48%), 제약(-1.36%), 금속(-1.34%), 운송장비/부품(-1.30%), 종이/목재(-1.11%), 섬유/의류(-1.10%) 등이 하락했다. 반면, 음식료/담배(+1.66%), 출판/매체복제(+1.35%), 건설(+0.74%) 등은 상승했다.

▶섹터분석

■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중단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브라질 농축식품공급부가 종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발생을 확인하고 세계동물보건기구에 보고하자, 브라질산 종란, 식용란, 초생추(병아리), 가금육 및 가금생산물 수입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수입 금지 조처는 지난 15일 선적분부터 적용하며, 농식품부는 수입 금지일 전 14일 이내(5월 1일 이후)에 선적돼 국내에 도착하는 물량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검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브라질 농림축산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히우그란지두술주 몬치네그루 지역 한 상업용 가금류 사육 시설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했다고 현지시간으로 16일 발표했다. 브라질 정부는 "(닭고기 관련) 한국과의 교역 조건 프로토콜에 따라 60일간 수출을 일시적으로 멈출 것"이라고 먼저 중단 사실을 공개했다.

이 같은 소식에 마니커, 체리부로, 하림, 마니커에프앤지, 동우팜투테이블 등 육계 테마가 상승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 중화권 코로나19 재확산 및 니파바이러스 우려

지난 1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중화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다시 확산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이와 관련, 홍콩 보건 당국은 지난 4주간 코로나19 관련 사망자가 30명이라고 밝혔다. 이 기간 중증 성인 환자 81명 가운데 약 40%가 숨졌으며, 코로나 확진 비율도 지난달 6∼12일 6.21%에서 이달 4∼10일 1년 만에 최고치인 13.66%로 증가했다고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한 홍콩 공공병원 소아감염병 병동 책임자는 SCMP에 "최근 어린이 확진자가 급증했다"면서 "전에는 코로나19 환자가 없었는데, 지금 병동은 백신을 맞지 않은 어린 환자들로 가득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일부는 증상이 심하지 않지만, 환자들은 2∼3일간 39도가 넘는 고열에 시달린다"면서 백신 접종을 촉구했다.

한편, 이날 질병관리청은 언론을 통해 그동안 비법정 감염병으로 분류돼 있던 니파 바이러스 감염증을 1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는 안건이 감염병관리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관계 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이르면 오는 7월부터 법정 감염병으로 공식 지정될 전망이다. 니파 바이러스는 박쥐에서 유래해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감염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감염 시 고열, 두통, 근육통 등의 초기 증상 이후 어지러움, 혼란, 발작, 뇌염 등의 신경학적 증상으로 진행된다. 심할 경우 24~48시간 내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으며, 치사율은 최대 75%에 달한다고 알려졌다.

이 같은 소식 속 수젠텍, 휴마시스, 랩지노믹스, 우정바이오, 셀리드, 진원생명과학, 멕아이씨에스 등 일부 코로나19 관련주/ 의료기기 테마가 상승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신고가 한 줄 분석

■ 텔코웨어(078000)(+29.97%) - 최대주주 공개매수 결정 / 1만2750원

■ 대명에너지(389260)(+29.82%) -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태양광/풍력+ESS+VPP 등 신재생 풀세트 기업 분석 / 2만4900원

■ 하림(136480)(+25.21%) -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중단 소식에 육계 테마 상승 / 3905원

■ 마이크로컨텍솔(098120)(+18.23%) -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1만7500원

■ 원익홀딩스(030530)(+15.81%) - 지주사 테마 상승 속 자회사 원익로보틱스, 로봇 핸드 ’알레그로 핸드 V5 4F 플러스’ 유럽연합 CE 인증 획득 소식 / 5900원

■ 서호전기(065710)(+13.44%) -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3만5500원

■ 엠에스씨(009780)(+12.61%) - 삼양식품 대상 ’하바네로 시즈닝’ 납품 지속 부각 / 1만원

■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9.03%) - 첫 대선 TV토론서 이재명 대선후보, 재생에너지 중심 전환 언급 등에 일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 5만7500원

■ SAMG엔터(419530)(+8.80%) - 티니핑 해외 진출 기대감 / 7만2500원

■ 메타바이오메드(059210)(+8.33%) - 의료용 생체 재료 쇼티지 속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 / 6340원

■ 동원산업(006040)(+5.95%) - 올해 양호한 실적 흐름 지속 전망 / 4만7000원

■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445680)(+4.07%) - 2분기 말 이후부터 수주실적 매출 반영 본격화 기대감 지속 / 2만8850원

■ SK오션플랜트(100090)(+3.81%) -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정책 수혜·MRO 수주 기대감 / 2만2150원

■ 코리안리(003690)(+3.64%) - 긍정적 업황 지속 전망 및 무디스 첫 국제신용등급 ’A1’ 획득 소식 / 8820원

■ 유니슨(018000)(+3.25%) - 첫 대선 TV토론서 이재명 대선후보, 재생에너지 중심 전환 언급 등에 일부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 1979원

■ 큐리언트(115180)(+2.94%) - CDK7 저해제 Q901, ADC 내성 극복 및 민감도 향상을 위한 병용약물로 주목 모멘텀 지속 / 1만2000원

■ 현대그린푸드(453340)(+2.41%) - 1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및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 지속 / 1만7230원

■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2.29%) -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속 지배구조 불확실성 해소 및 기업가치 제고 계획 분석 부각 / 6790원

■ 대원산업(005710)(+2.19%) -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9020원

■ 현대건설(000720)(+2.02%) - 일부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및 건설업종 원가율 개선, 이익회복 전망 속 원전 수혜주로 재평가 기대감 / 4만5900원

■ 하림지주(003380)(+1.99%) -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속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중단 소식 속 육계 관련주로 부각 / 7980원

■ 엠씨넥스(097520)(+1.88%) - 1분기 호실적 분석 모멘텀 및 삼성전자 스마트폰 라인업 확대 수혜 기대감 지속 / 2만7400원

■ HD현대미포(010620)(+1.84%) - LNG B/V 시장 개화 기대감 지속 / 17만9300원

■ 한화솔루션(009830)(+1.69%) - 일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강력한 태양광 수요 및 정책 모멘텀 수혜 기대감 지속 / 4만750원

■ 에스텍(069510)(+1.54%) - 1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1만3300원

■ 한국전력(015760)(+1.43%) - 일부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배당 기대감 지속 / 2만9350원

■ 쿠쿠홀딩스(192400)(+1.42%) - 상법개정안 재추진 가능성 속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 2만8550원

■ 두산에너빌리티(034020)(+0.87%) - 일부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원전 관련 매년 4조원 이상 수주 가시화 기대감 지속 / 3만5000원

■ 선광(003100)(+0.59%) -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1만9090원

■ 영원무역(111770)(+0.56%) - 실적 턴어라운드·저평가 매력 분석 / 5만4100원

■ 넥센(005720)(+0.38%) -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에 따른 반사수혜 기대감 속 일부 타이어 테마 상승 / 5500원

■ HD한국조선해양(009540)(+0.35%) - 암모니아 연료체제로의 전환 준비 모멘텀 지속 / 29만2000원

■ 한국금융지주(071050)(+0.11%) -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속 1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9만6000원

▶주요공시

■ 한미반도체(042700) - 보통주 130만2059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5-29)

■ 피노(033790) - 주식회사 엘앤에프와 33.9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07%) 규모 공급계약(NCM 전구체) 체결(계약기간:2025-05-16~2025-07-22)

■ 드림텍(192650) -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5-19~2025-11-19, 삼성증권 주식회사(Samsung Securities Co., Ltd))

■ 솔루엠(248070) - 보통주 118만9315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5-27)

■ 제이티(089790) - 삼성전자(주)와 71.1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4.37%) 규모 공급계약(Handler) 체결(계약기간:2025-05-16~2025-12-31)

■ 씨피시스템(413630) - 보통주 176만1395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5-30)

■ KG모빌리티(003620) - 자기 전환사채 만기전 취득 결정(총 전환사채금액:735.00억원, 만기전 취득 결정 전환사채 금액:76.90억원)

■ 다스코(058730) - 2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5-19)

■ 자화전자(033240) -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5-19)

■ 금호타이어(073240) - 재해발생(광주공장 정련공정 화재). 8916.7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9.7%) 규모 광주공장 생산중단(생산중단일:2025-05-17, 생산재개예정일:-)

■ 더즌(462860) - 2025년(제9기)사업년도 중간 현금배당 계획(1주당 배당금: 10원 (예상))

■ 네오이뮨텍(950220) - NIT-112 (거대 B세포 림프종, NT-I7 및 CAR-T 치료제 병용 요법) 임상 1b상 Topline Data 발표

■ 티앤알바이오팹(246710) - 연결기준 매출액 59.55억원(전년동기대비 +401.7%), 영업손실 35.8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53.9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솔루엠(248070) - 보통주 1,189,315주(211.1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철회

허준범 기자 jb_3heo@infostock.co.kr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5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