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 국내증시
밤사이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 긴장 완화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기업 실적 실망감 등에 하락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0.73% 하락한 2621.36에 장을 마감하며 4거래일만에 하락했다.
수급별로는 기관이 3853억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662억 했고, 707억 순매수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604계약 순매도했고, 기관과 개인은 각각 827계약, 697계약 순매수했다.
SK하이닉스 (KS:000660)(-2.67%), 한미반도체(-2.27%), 삼성전자 (KS:005930)(-0.17%) 등 반도체, 현대차 (KS:005380)(-2.13%), 기아(-1.30%), 현대모비스(-1.16%) 등 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2.07%), 삼성SDI(-1.91%), SK이노베이션(-156%)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약세 마감했다. 경영권 분쟁 가능성 부각 속 최근 급등했던 한진칼(-17.00%)은 급락했다.
반면, HMM (KS:011200)(+6.49%), KSS해운(+3.64%) 등 일부 해운주가 강세를 나타냈고, 두산에너빌리티(+2.08%), 효성중공업(+3.96%), HD현대일렉트릭(+2.68%) 등 일부 원자력/ 전력설비 테마가 상승했다. 비상교육(+17.95%)는 1분기 실적 호조 및 대선 후보 교육 정책 기대감 등에 급등했다.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0.0원 하락한 1394.5원을 기록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1bp 상승한 2.362%,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9bp 상승한2.727%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과 동일한 107.55로 마감했다. 금융투자, 투신이 4962계약, 1966계약 순매수했고, 외국인은 7210계약 순매도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틱 오른 119.88로 마감했다. 금융투자가 1만363계약 순매수했고, 외국인은 1만1697계약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했다. SK하이닉스(-2.67%), 메리츠금융지주(-2.32%), 현대차(-2.13%), LG에너지솔루션(-2.07%), 삼성물산(-1.60%), 기아(-1.30%), 현대모비스(-1.16%), NAVER(-1.05%),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70%), 셀트리온 (KS:068270)(-0.52%), 신한지주(-0.19%), 삼성전자(-0.17%) 등이 하락했다. 반면, HMM(+6.49%), 두산에너빌리티(+2.08%), 한화오션(+1.26%), HD한국조선해양(+0.35%), 한화에어로스페이스(+0.24%), KB금융 (KS:105560)(+0.21%), HD현대중공업(+0.12%) 등은 상승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최근 지수 상승에 따른 부담감 속 차익실현 매물 출회 속 0.79% 하락한 733.23에 장을 마감하며 4거래일만에 하락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200억 순매도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247억, 141억 순매수했다.
에코프로비엠 (KQ:247540)(-2.21%), 에코프로(-2.67%), 엔켐(-1.19%), 솔브레인(-3.85%) 등 2차전지, 테크윙(-6.11%), 동진쎄미켐(-2.60%), 주성엔지니어링(-2.20%), HPSP(-1.84%), 리노공업(-2.38%) 등 반도체, 레인보우로보틱스(-2.90%), 해성에어로보틱스(-4.69%), 티로보틱스(-4.62%) 등 로봇주가 약세 마감했다. 특히, 장동의 사외이사, 이재명 대통령 후보 미래기술 특보로 임명 소식 등에 연일 급등했던 유진로봇(-15.13%)은 급락했다. 파마리서치(-3.19%), 알테오젠 (KQ:196170)(-1.19%), 리가켐바이오(+4.07%), 코오롱티슈진(+3.01%), 펩트론(+1.51%)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는 등락이 엇갈렸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했다. 파마리서치(-3.19%), 에스엠(-3.14%), 레인보우로보틱스(-2.90%), 에코프로(-2.67%), 리노공업(-2.38%), 에코프로비엠(-2.21%), HPSP(-1.84%), 알테오젠(-1.19%), 실리콘투 (KQ:257720)(-0.79%), HLB (KQ:028300)(-0.53%), 셀트리온제약(-0.53%), 클래시스(-0.15%) 등이 하락했다. 반면, JYP Ent.(+7.09%), 리가켐바이오(+4.07%), 코오롱티슈진(+3.01%), 펩트론(+1.51%), 휴젤(+1.16%), 펄어비스(+1.08%), 에이비엘바이오(+0.82%), 삼천당제약(+0.67%) 등은 상승했다.
■ 미국증시
이날 뉴욕증시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급락하고, 소비 지표는 전월 대비 상승 폭이 둔화된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0.65% 상승한 4만2322.7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18% 하락한 1만9112.32에, S&P500 지수는 0.41% 상승한 5916.93에 거래를 마쳤고,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0.57% 하락한 4932.45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물가 및 소비 지표는 모두 둔화된 모습을 보이며 경기 침체 우려를 자극했다. 그러나 동시에 금리 인하 기대감은 커지고 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4월 소매 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1% 증가한 7,241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전월 증가율(1.7%로 상향 조정)과 비교하면 크게 둔화된 수치로 소비 둔화에 대한 불안을 자극했다.
미국 노동부는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5%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0.2% 상승을 크게 밑돌며, 2020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이었다. 이러한 하락은 서비스 가격 하락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기업의 마진 압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 심리의 급속한 냉각으로 인해 기업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금리 동결 가능성은 91.8%로 전일과 유사했으나, 연내 인하 폭 예상치는 56bp로 전일 대비 약 7bp 높아졌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연설에서 금리 경로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으며, "더 빈번하고 지속적인 공급 충격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중앙은행과 경제 전반에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도 경기 침체 가능성을 경고했다. 그는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경기 침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발생 시 그 강도나 지속 기간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주간 실업 지표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계절 조정 기준 22만9,000건으로 직전 주와 동일하며,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다고 밝혔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5월 제조업지수(엠파이어스테이트지수)는 -9.2로 전달(-8.1) 대비 하락했지만, 시장 예상치는 소폭 상회했다.
국제유가는 미국과 이란 간 핵 합의 기대감으로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6월 인도분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53달러(-2.42%) 하락한 배럴당 61.62달러에 마감됐다.
채권 시장은 PPI 및 소비 지표 발표에 따른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고, 달러화는 약세를 나타냈다.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달러 약세 영향으로 반등했다.
종목별로는 메타(-2.35%)가 신규 인공지능(AI) 서비스 출시를 연기한다는 소식에 하락했으며, 애플 (NASDAQ:AAPL)(-0.41%), 엔비디아 (NASDAQ:NVDA)(-0.38%), 테슬라 (NASDAQ:TSLA)(-1.40%), 아마존 (NASDAQ:AMZN)(-2.42%), 알파벳A(-0.85%) 등 대형 기술주들도 차익 매물 출회로 대부분 하락했다. AI 클라우드 기업 코어위브(-2.51%)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으나 투자 부담과 손실 확대 영향으로 하락했다.
월마트(-0.50%)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경영진이 높은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을 경고하며 소폭 하락했다. 코인베이스(-7.20%)는 직원들에게 뇌물을 주고 고객 데이터를 탈취해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에 활용한 해커 관련 소식으로 급락했다. 유나이티드헬스 그룹(-10.93%)은 미국 법무부의 메디케어 사기 조사 가능성이 보도되며 큰 폭 하락했다.
반면, 풋락커(+85.70%)는 딕스 스포팅 굿즈의 24억 달러 인수 소식으로 급등했으나, 인수 주체인 딕스 스포팅 굿즈(-14.58%)는 급락했다. 시가총액 1위인 마이크로소프트(+0.23%)는 M7 종목 중 유일하게 소폭 상승 마감했다.
■ 아시아증시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5월15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엔저 현상 시정 요구 관측 등에 0.98% 하락한 3만7755.51에 장을 마감했다.
한국과 미국의 경제 당국이 지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만나 환율 정책을 협의했다고 전해졌다. 한국 측에서는 최지영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급), 미국 측에서는 로버트 캐프로스 아시아 담당 부차관보가 참석했다. 이들의 만남은 지난 5일 밀라노에서 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를 계기로 이뤄진 것으로 한미 재경·통상 수장은 지난 4월 미국 워싱턴DC에서 ‘2+2 통상협의’를 진행하고 양국의 기재부와 재무부가 별도로 환율 관련 논의를 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다음주 개최가 검토되고 있는 미일 재무장관 회담에서도 엔저 시정을 논의할 것이란 전망이 짙어진 가운데, 이날 아시아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146엔 초반선까지 하락하며, 엔화 강세를 보임. 이에 도요타자동차(-3.36%), 혼다자동차(-3.90%), 닛산자동차(-3.87%) 등 자동차 업종과 같은 수출주를 중심으로 매도세가 출회했다.
종목별로는 노무라홀딩스(-2.88%), 소니(-2.80%), 캐논(-2.36%), 파나소닉(-2.00%), 소프트뱅크그룹(-1.06%) 등이 하락했다.
엔화(사진=뉴스1)
5월15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이익실현 매도세 출회 속 0.68% 하락한 3380.82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이익실현 매도세 출회 속 하락하는 모습이다.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미국과의 관세 합의 이후 특별한 재료가 부재한 가운데, 지난 3거래일 연속 상승 및 심리적 저항선인 3,400선에서 투자자들의 차익실현 매도세가 출회됐다.
한편, 관영 신화통신은 인민은행이 이날부터 금융기관 지준율을 0.5%포인트 낮춘다고 밝혔다. 지준율은 은행이 유치한 예금 중에서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자금 비율로, 당국은 지준율이 0.5%포인트 내려가면 금융시장에 약 1조위안(약 195조원) 규모 장기 유동성이 추가 공급된다고 보고 있다. 또한, 중국 증권 업계에서는 연내 지준율 추가 인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 리차오 저상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025년 통화정책이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고, 재정 정책과 산업 정책이 정책 시너지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내 지준율 0.5%포인트·금리 0.2%포인트 인하 여력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종목별로는 화하행복부동산(-3.02%), 중신증권(-1.81%), 광주자동차(-1.24%), 중국알루미늄(-1.18%) 등이 하락했다.
홍콩항셍 지수는 0.79% 하락한 2만3453.16에, 대만가권 지수는 0.24% 하락한 2만1730.25에 장을 마감했다.
■ 전일 장마감 후 주요 종목 공시
* 한국가스공사(036460) - 2025년4월 천연가스 판매량 262.6만톤(전년동월대비 +13.9%)
* 에스에프에이(056190) - 2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5-15). 2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5-15). 1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5-15). 2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5-15)
* 플리토(300080) - 보통주 4,952주(1.06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5-16~2025-05-20)
* 코리안리(00369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55조원(전년동기대비 +0.80%), 영업이익 1,175.20억원(전년동기대비 +45.55%), 순이익 905.55억원(전년동기대비 +42.64%)
* 한진칼(180640) - 보통주 440,044주(662.7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5-16~2025-08-15).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파트론(091700) - 보통주 500,000주(33.8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5-16~2025-08-15)
* 메이슨캐피탈(021880) - 주식회사리드코프가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 담보제공 계약 체결(채무금액:200.00억원, 담보설정금액:240.00억원). 최대주주가 주식회사 리드코프로 변경
* 콜마비앤에이치(20013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45.33억원(전년동기대비 +7.08%), 영업이익 35.81억원(전년동기대비 +49.70%)
* 젝시믹스(337930) - 7.02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5-16). 보통주 100,000주(7.02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5-16~2025-06-13)
* SV인베스트먼트(289080) - 24년 연결기준 매출액 210.73억원(전년대비 -29.16%), 영업손실 60.54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52.32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LG화학(KS:051910) - 채무상환자금 확보를 위해 1.39조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337,700원, 교환청구일:2025-07-27 ~ 2028-06-09)
* 제일엠앤에스(412540) - 제일엠앤에스가 자기 전환사채 만기전 취득 결정(총 전환사채금액:190.00억원, 만기전 취득 결정 전환사채 금액:198.90억원)
* 빛과전자(069540) - 채무상환자금 확보를 위해 (주)바로저축은행 등 대상으로 11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920원, 전환청구일:2026-05-20 ~ 2028-04-20)
* 제넨바이오(07252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추가 안내
* 뱅크웨어글로벌(199480) - 우리카드와 97.8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9.50%) 규모 공급계약(우리카드 통합단말기 시스템 재구축) 체결(계약기간:2025-05-14~2026-06-14)
* 캐스텍코리아(071850) - 이ㅇㅇ이 직무집행정지가처분 소송 제기
* 노루페인트(090350) - (주)노루코일코팅(NOROO COIL COATINGS CO.,LTD)과 878.4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1%) 규모 공급계약(컬러강판용 도료 및 관련제품) 체결(계약기간:2025-01-01~2025-12-31)
* 고영(098460) - 보통주 13,250주(2.41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5-16~2025-05-23)
* 케이씨티(089150) - 주식회사 신한은행과 13.6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67%) 규모 공급계약(Windows 11 업그레이드를 위한 순번발행기 물품) 체결(계약기간:2025-05-14~2025-11-30)
* 태영건설(009410) - 약 740억원(당사분, VAT별도) 규모 동탄 11고 외 3교 신축공사 실시설계적격자 선정
* 그린플러스(186230) - 기타주 689,655주(117.87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종류주 689,655주(117.87억원) 규모 주식소각 결정
* 윙스풋(335870) - 63.23억원(자기자본대비 20.3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신성이엔지(011930) -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특허취득
* SIMPAC(009160) - 보통주 1,203,369주(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5-16~2025-08-15)
* 롯데웰푸드(280360) - 1,034.4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56%) 규모 청주공장 생산중단(생산중단일:2025-05-31, 생산재개예정일:-)
* HS화성(002460) - 주식회사 엠티브이파트너스와 1,683.8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7.5%) 규모 공급계약(시화MTV FC 신축공사) 체결(계약기간:2025-05-15~2027-09-30)
* 이지스밸류리츠(334890) - 보통주 1주당 173원(시가배당률 3.7%) 금전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6-05)
* SK네트웍스(001740) - 횡령ㆍ배임사실확인, 당사 전직 임원(최○○)의 업무상 횡령 혐의 관련 상고 기각 판결
* 올릭스(226950) - 47.97억원(자기자본대비 26.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SKC(011790) - 횡령ㆍ배임사실확인, 당사 전직 임원인 최ㅇㅇ 외 3명에 대한 대법원의 3심 판결 관련 상고 기각 판결
* 더테크놀로지(043090) - 분기 매출액 3억원 미만 사실 발생.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추가
* 세종메디칼(25883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안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으로 관리종목 지정사유추가
* 현대사료(01679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안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으로 관리종목 지정
* 동부건설(005960) -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1,54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14%) 규모 평택고덕 A-12BL 및 A-27BL, A-65BL 통합형 민간참여 공공주택건설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한국첨단소재(062970) - 77.59억원(자기자본대비 142.58%)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아크솔루션스(203690) - 최대주주인 명목회사·조합 등의 최대주주 변경
* 씨엔플러스(115530) - 정00이 물품대금 청구의 반소 제기
* 엠에프엠코리아(323230) - 정기보고서 미제출 관련 상장폐지 절차 미진행 안내
* 태웅(04449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에스피지(05861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디와이피엔에프(10446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새빗켐(1076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피에스케이홀딩스(03198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ISC(09534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유진테크(0843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박상철 기자 3fe94@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