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김교식 기자] 한국은행이 양적완화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는 시장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나섰다.
한은은 13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양적완화 정책 도입 시 비기축통화국인 한국이 직면할 수 있는 리스크를 상세히 설명했다.
한은은 "한은이 대차대조표를 급격히 확대해 본원 통화가 대규모로 공급될 경우(즉 양적완화에 나설 경우) 비기축통화국인 우리나라는 통화가치 하락, 외환시장 변동성 및 자본유출 증대 등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나라는 주요국에 비해 국채 발행량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채권시장 왜곡 가능성이 높고, 신용 창출 과정에서 자산시장이I 과열될 우려도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이번 블로그 게시는 지난달 30일 한국은행과 한국금융학회가 공동 주최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의 발언이 시장에 오해를 불러일으킨 데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당시 이 총재는 환영사에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한국은행이 양적완화 도입을 진지하게 검토 중이라는 해석으로 이어졌다. 이에 당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국고채 금리가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는 등 상당한 파장을 일으켰다.
논란이 확산되자 한은은 즉시 참고 자료를 배포해 "한은이 시중에 직접 돈을 푸는 양적완화를 검토하고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이 총재도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의 발언은 중장기적 통화정책에 관한 고민이었다면서 "왜 갑자기 지금 통화정책과 연결 짓는지 모르겠다. 당황스럽다"라고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