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 국내증시
코스피 지수는 0.09% 하락한 2577.27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기관이 1872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32억, 680억 순매수했다. 선물시장에서는 개인이 1324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04계약, 354계약 순매수했다.
국내 배터리 3사 비(非)중국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점유율 하락 소식 등에 LG에너지솔루션(-2.90%), SK이노베이션(-2.89%), 삼성SDI(-1.05%), 포스코퓨처엠(-4.74%), 엘앤에프(-5.21%) 등 2차전지 관련주가 하락했다. 미국 의약품 관세 우려 지속 등에 SK바이오팜(-7.66%), 유한양행(-2.37%), 한올바이오파마(-2.76%), 셀트리온 (KS:068270)(-0.88%)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부진했다.
반면, 미국의 영국산 자동차 관세 일부 인하 결정 등에 현대차 (KS:005380)(+1.50%), 기아(+1.71%), 현대위아(+0.58%) 등 일부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가 상승했다. 넷마블(+14.57%)은 1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급등했다. 1분기 실적 호조 및 자사주 소각 일정 발표 등에 고려아연(+7.21%)이 강세를 보였다.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등에 LIG넥스원(+7.92%)이 강세, 현대로템(+7.82%), 한국항공우주(+5.44%) 등 방산주도 상승했다. TSMC 4월 매출 급증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삼성전자 (KS:005930)(+0.37%), SK하이닉스 (KS:000660)(-0.11%) 등 반도체 대표주의 주가는 등락이 엇갈렸다.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400.0원으로 전거래일대비 6.9원 하락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5.0bp 상승한 2.331%, 10년물은 전일 대비 4.8bp 상승한 2.670%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5틱 내린 107.66 마감했다. 외국인이 12076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7108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7틱 내린 120.29 마감했다.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7975계약, 1350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9258계약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2.90%), KB금융 (KS:105560)(-2.65%), 메리츠금융지주(-2.64%), HD현대중공업(-2.02%), 하나금융지주(-1.39%), 현대모비스(-1.35%), HD한국조선해양(-1.22%), POSCO홀딩스(-1.15%), 셀트리온(-0.88%), 삼성화재(-0.66%), 한화오션(-0.62%), 한화에어로스페이스(-0.57%) 등이 하락했다. 반면, 기아(+1.71%), 현대차(+1.50%), NAVER(+1.22%), 삼성물산(+0.99%),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39%), 삼성전자(+0.37%) 등은 상승했다.
주식, 전광판, 그래프, 증시
코스닥 지수는 0.97% 하락한 722.52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659억, 820억 순매도, 개인은 3,772억 순매수했다.
미국 의약품 관세 우려 지속 등에 알테오젠 (KQ:196170)(-2.13%), 펩트론(-3.88%), 삼천당제약(-0.99%), 코오롱티슈진(-5.07%), 셀트리온제약(-0.94%), 에스티팜(-1.19%)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했다. 에코프로비엠 (KQ:247540)(-5.78%), 에코프로(-3.08%), 더블유씨피(-5.76%), 천보(-5.17%), 에코앤드림(-4.03%), 덕산테코피아(-3.90%) 등 2차전지, 원익IPS(-6.64%), 리노공업(-2.15%), HPSP(-1.10%), 이오테크닉스(-1.85%), 티씨케이(-1.38%) 등 반도체 관련주도 하락했다.
반면, 인공지능협회, 이재명 후보와 AI 정책 협약 체결 소식 등에 마음AI(+29.71%), 크라우드웍스(+15.14%), 이스트소프트(+7.62%), 솔트룩스(+4.39%) 등 AI 관련주가 상승했다. 이재명 후보,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시장 추진 언급 소식 등에 케이씨티(+10.73%), 한네트(+5.42%), 한국정보인증(+10.54%) 등도 상승했다. 금일 신규상장한 원일티엔아이(+165.93%), 오가노이드사이언스(+52.38%)는 급등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했다. 에코프로비엠(-5.78%), 코오롱티슈진(-5.07%), 펩트론(-3.88%), 레인보우로보틱스(-3.72%), 에코프로(-3.08%), 휴젤(-2.72%), 리노공업(-2.15%), 알테오젠(-2.13%), 에이비엘바이오(-1.77%), 리가켐바이오(-1.59%), HPSP(-1.10%), 삼천당제약(-0.99%), 셀트리온제약(-0.94%) 등이 하락했다. 반면, 펄어비스(+4.37%), 실리콘투 (KQ:257720)(+3.27%), 에스엠(+3.10%), 파마리서치(+2.03%), HLB (KQ:028300)(+1.40%) 등은 상승했다.
■ 미국증시
2025년 5월 9일 뉴욕증시는 주말 예정된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앞두고 투자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지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0.29% 하락한 4만1249.3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00% 상승한 1만7928.92에, S&P500 지수는 0.07% 하락한 5659.91에 거래를 마쳤고,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0.81% 상승한 4466.50에 장을 마감했다.
오는 10~11일, 스위스에서 미중 양국이 무역과 경제 문제를 놓고 첫 고위급 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다.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하고, 중국 측에서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왕샤오훙 공안부장 겸 국가마약방지위원장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에서 실질적인 성과가 도출되긴 어렵겠지만, 양국 간 해빙 분위기 속에 고율 관세 완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은 미국 시장에 개방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145%의 대중 관세율 대신 80% 수준이 적절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협상 여지를 남겨두는 한편, 쉽게 양보하지 않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백악관 대변인은 해당 발언이 “던져본 숫자”라고 밝혔으며, 주말 협상 결과에 주목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125%의 대미 관세를 적용 중이다.
이날 연방준비제도(Fed) 인사들도 관세가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며, 신중한 통화정책 기조를 강조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현재 정책은 적절하며, 무역 정책의 영향을 파악한 후 향후 대응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고,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는 "경제가 건강하기 때문에 여유를 가지고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올해 경제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느릴 수 있다고 평가했으며, 마이클 바 부의장은 관세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을 동시에 자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6월 기준금리 동결 확률은 82.8%로 집계되었다.
한편, 국제유가는 미중 협상 기대감으로 상승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6월물은 전일 대비 1.11달러(+1.85%) 오른 61.02달러에 마감했다. 채권시장은 혼조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세를 기록했다. 금 가격은 달러 약세와 저가 매수세 유입에 따라 상승했다.
종목별로는 로보택시 기대감에 테슬라 (NASDAQ:TSLA)(+4.72%)가 상승했고, 자사주 매입 확대 발표로 리프트(+28.08%)가 급등했다. 핀터레스트(+4.88%)도 1분기 호실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반면, 익스피디아(-7.30%)와 코인베이스(-3.48%)는 실적 부진으로 하락했다. 주요 기술주들도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 아시아증시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하락, 일본, 홍콩, 대만은 상승했다.
5월9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美·英 무역합의 속 관세 우려 완화 등에 1.56% 상승한 3만7503.33에 장을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영국과의 무역협상 타결 소식을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합의는 양국 모두에게 매우 좋은 결과"라며, "앞으로 이어질 여러 무역 합의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현지시간으로 10일 美/中 고위급 통상 회담이 스위스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대(對)중국 관세를 145%에서 50%대로 낮추는 협상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이에 시장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완화됐으며, 미국과 일본의 무역 협상에도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졌다. 이와 관련, 리조나 에셋 매니지먼트의 구로세 코이치 수석 전략가는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일본 자동차와 기타 제품에 대한 관세 완화 쪽으로 논의가 진행된다면 지금까지 매도됐던 주식들에 다시 매수세가 몰릴 가능성이 크고, 일본 증시가 향후 추가 반등을 시험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일본 총무성은 3월 실질 가계지출이 전년 동월 대비 2.1%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0.5%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플러스로 재차 전환했다.
종목별로는 미즈호파이낸셜(+3.91%), 소프트뱅크그룹(+2.50%), 도요타자동차(+1.80%), 오사카가스(+0.91%) 등이 상승했다.
소프트뱅크 CI.
5월9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美·中 무역협상 대기 속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0.30% 소폭 하락한 3342.00에 장을 마감했다.
오는 10일부터 미·중 양국의 무역협상이 개시될 예정인 가운데, 미국 측 대표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중국 측 대표로는 허리펑(何立峰)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회의에 나설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美 대통령이 협상 이후 대(對)중국 상호관세율을 낮출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던 만큼, 협상 이후 양국 관계의 추이를 놓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만, 미·중 협상에 구체적인 진전이 있을지를 둘러싼 경계감이 지속됐으며, 시장조사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티안천 쉬는 "양측이 각자의 전략적 우선순위와 경제적 ’레드라인’에 대해 타협할 의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체결된 1단계 합의와 유사한 수준의 포괄적인 합의를 달성하려는 시도는 길고 비생산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경제지표가 양호한 점은 중국 증시의 하방을 다소 제한하는 모습이다. 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가 발표한 지난 4월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8.1% 증가한 3,156억9,000만달러(약 442조6,000억원)을 기록해 시장예상치를 웃돌았다. 미국 수출 비중을 지속적으로 줄여온 만큼 관세에 따른 수출 감소에도 영향이 크지 않았고, 동남아시아와 유럽연합(EU) 등 미국을 대체하는 지역으로의 수출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다. 한편, 대미 수출액은 330억달러(약 46조원)로 지난 3월(401억달러) 대비 17.6% 급감했다.
종목별로는 화하행복부동산(-4.74%), 보리부동산(-2.25%), 초상증권(-1.19%), 중국국제항공(-1.08%) 등이 하락한 반면, 하문텅스텐(+2.16%), 중국건설은행(+1.54%) 등은 상승 마감했다.
홍콩항셍 지수는 0.40% 상승한 2만2867.74에, 대만가권 지수는 1.81% 상승한 2만915.04에 장을 마감했다.
■ 전일 장마감 후 주요 종목 공시
* 이노션(21432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033.91억원(전년동기대비 +3.25%), 영업이익 298.42억원(전년동기대비 -2.08%), 순이익 168.90억원(전년동기대비 -42.62%)
* 현대백화점(06996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9조원(전년동기대비 +15.38%), 영업이익 1,125.00억원(전년동기대비 +63.28%), 순이익 883.00억원(전년동기대비 +24.71%). 보통주 339,433주(210.78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5-12~2025-08-11)
* 씨젠(0965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59.97억원(전년동기대비 +28.96%), 영업이익 148.4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89.2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화천기계(01066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58.17억원(전년동기대비 -1.46%), 영업손실 9.9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7.2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CJ프레시웨이(0515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986.39억원(전년동기대비 +9.18%), 영업이익 106.31억원(전년동기대비 +0.83%), 순이익 15.99억원(전년동기대비 +21.04%)
* 셀트리온(06827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6,340.07억원(전년동기대비 -0.66%), 영업이익 1,364.23억원(전년동기대비 +373.93%), 순이익 1,665.72억원(전년동기대비 +173.36%).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419.12억원(전년동기대비 +14.23%), 영업이익 1,494.21억원(전년동기대비 +867.94%), 순이익 1,083.33억원(전년동기대비 +421.63%)
*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07조원(전년동기대비 +77.36%), 영업이익 956.00억원(전년동기대비 +159.78%), 순이익 2,038.00억원(전년동기대비 +183.44%)
* 앱클론(17490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종근당 대상 1,400,000주(122.12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8,723원, 상장예정:-)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580.00억원(전년동기대비 -34.62%), 영업손실 460.0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548.0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서울반도체(046890) - 2025년 사업연도(2025-04-01~2025-06-30)연결 기준 매출액 2,700.00억원 전망
* 태광(02316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26.35억원(전년동기대비 -14.62%), 영업이익 74.04억원(전년동기대비 -42.39%), 순이익 102.38억원(전년동기대비 -38.56%).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TKG휴켐스(06926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692.67억원(전년동기대비 -10.48%), 영업이익 126.19억원(전년동기대비 -59.98%), 순이익 139.69억원(전년동기대비 -54.02%)
* SK가스(01867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82조원(전년동기대비 +5.85%), 영업이익 1,129.10억원(전년동기대비 +51.31%), 순이익 873.05억원(전년동기대비 +330.26%)
* 콜마홀딩스(02472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67.03억원(전년동기대비 +0.45%), 영업이익 57.29억원(전년동기대비 -21.34%), 순이익 50.87억원(전년동기대비 -59.50%).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524.11억원(전년동기대비 -13.58%), 영업이익 31.39억원(전년동기대비 -64.43%), 순이익 10.88억원(전년동기대비 -87.16%)
* KTcs(05885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625.43억원(전년동기대비 -6.54%), 영업이익 45.45억원(전년동기대비 -18.07%), 순이익 35.48억원(전년동기대비 -18.19%).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352.35억원(전년동기대비 -11.38%), 영업이익 66.31억원(전년동기대비 -15.36%), 순이익 52.95억원(전년동기대비 -15.45%)
*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463.38억원(전년동기대비 +7.95%), 영업이익 67.63억원(전년동기대비 +223.27%), 순이익 25.4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HS애드(0350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07.68억원(전년동기대비 -6.41%), 영업손실 95.1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77.9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ESR켄달스퀘어리츠(365550) - 채무상환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33,000,000주(1,509.75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4,575원,1주당 약 0.15주 배정,청약예정:2025년 07월 03일~2025년 07월 04일(구주주),상장예정:2025-07-24). 신규자산 투자 목적으로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3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주식 18,800,000주를 940.0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96.9%, 취득예정일:2025-07-16)
* 신한서부티엔디리츠(404990) - 종속회사 (주)신한호텔마포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1,430.00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14.77%)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취득 결정(취득예정일:-)
* 아센디오(012170) - 한국방송공사(KBS)와 33.4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4.87%) 규모 공급계약(KBS 일일드라마 제작/납품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5-08~2025-10-15)
* 조선내화(462520) -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 태웅로직스(124560) - 기타주 876,496주(42.64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5-09)
* 엘오티베큠(083310) - (주)엘오티티에스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5-08-01)
* 대한항공(KS:003490) - 캐나다 항공사 WestJet 지분 투자를 위한 지주회사 지분 등 취득 목적으로 KESTREL TOPCO INC. 주식 746,845주를 2,705.28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1.01%, 취득예정일:2025-07-09)
* 엔지스테크널러지(208860) - 사업다각화 및 신성장동력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디엠씨 주식 215,583주를 102.25억원에 추가 양수키로 결정(양수예정일:2025-05-09)
* 한솔홀딩스(004150) - 25~’27년 주주환원정책(연간 별도기준 잉여현금흐름(FCF*) 의 30%~40%를 주주환원정책 재원으로 활용 등)
* 상지건설(042940) - 조회공시 요구(현저한시황변동)에 대한 답변(중요정보 없음)으로 최근 당사 주식이 특정 정치인의 테마주로 거론되고 있으나, 과거 및 현재 당사의 사업 내용과 관련이 없다고 밝힘
* 미스토홀딩스(081660) - 당사 등을 상대로 한 소송 관련 사항 안내
* 씨씨에스(066790) - 최대주주의 보유주식 가압류
* 소룩스(290690) - 조회공시 요구(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답변으로 주식회사 아리바이오의 전환사채 98억원을 취득하여 2024년 자본금 대비 12.51% 해당되었음으로 ’자기자본 10% 이상 타법인 출자(주권관련사채취득 포함)’ 검토는 종료한다고 밝힘
* 삼익THK(004380) - 전 경영진 등의 횡령·배임혐의설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 전 경영진 등의 횡령·배임혐의설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로 매매거래정지
* 형지글로벌(308100) - 제6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 만기전 취득 후 재매각의 건. 34.67억원 규모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 에스에이티이엔지(351320) - 89.99억원(자산총액대비 16.94%)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수 결정(양수기준일:2025-06-30)
* 코맥스(036690) - 개선계획서 제출
* 다날(06426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카페24(0420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모헨즈(006920) -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일정실업(0085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덴티움(1457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엘앤에프(0669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티에스아이(27788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스튜디오드래곤(2534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콜마비앤에이치(20013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박상철 기자 3fe94@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