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 국내증시
코스피 지수는 0.22% 상승한 2579.48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304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89억, 1718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개인이 2108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8억, 1841억 순매도했다.
이날 옵션만기일을 맞은 가운데 미국 FOMC 금리 동결 소화 및 기업실적 발표에 따른 움직임 등이 나타났고 코스피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외국인이 이틀 연속 순매수,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지난밤 미국 FOMC 결과 Fed는 예상대로 금리를 연 4.25~4.5%로 동결했다. 이는 올해 1월과 3월에 이은 3회 연속 동결 조치다. Fed는 정책결정문에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며, "위원회는 (물가 안정, 완전 고용) 이중 책무의 양쪽 위험에 모두 주의를 기울이고 있고 실업률 상승과 인플레이션 위험이 증가했다"고 언급했다. 관세 정책으로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둔화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우려했다.
FOMC 직후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관세의 범위와 규모를 고려할 때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상승 위험이 확실히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내 직감상 향후 경제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도로 높아졌다.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당분간’ 명확성이 커질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며, 올해 금리인하가 있을지 확실히 답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전임 바이든 정부 당시 마련된 ‘AI 확산 프레임워크’를 철회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미국 상무부 대변인은 "바이든의 AI 규칙은 과도하게 복잡하고 관료적"이라면서 "이것은 대체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번 조치는 AI 칩 수출 통제가 완화하는 조치로 해석되면서 AI 산업에 호재로 인식했다. 삼성전자 (KS:005930)(0.00%), SK하이닉스 (KS:000660)(-0.26%) 등 반도체 대표주가 장 초반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 탄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에이피알(+28.80%), 씨에스윈드(+10.87%), LIG넥스원(+10.70%) 등이 1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상승했다. 반면, 애플 (NASDAQ:AAPL) 부사장, 기존 검색 엔진 AI로 대체 언급 속 알파벳A(-7.26%) 주가 급락 및 카카오 (KS:035720) 실적 부진 등에 NAVER(-5.22%), 카카오(-3.52%) 등 인터넷 대표주가 하락했다.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396.6원으로 전거래일대비 2.6원 상승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8bp 상승한 2.281%, 10년물은 전일 대비 1.9bp 상승한 2.622%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9틱 내린 107.81 마감했다.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4329계약, 3041계약 순매도했다. 금융투자는 3770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0틱 내린 120.76 마감했다. 투신과 은행이 각각 2404계약, 2374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외국인은 각각 5400계약, 896계약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했다. NAVER(-5.22%), 하나금융지주(-0.92%), 삼성물산(-0.81%), 한화에어로스페이스(-0.79%), 메리츠금융지주(-0.65%), 셀트리온 (KS:068270)(-0.56%),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48%), 신한지주(-0.39%), 기아(-0.34%), 현대차 (KS:005380)(-0.27%), SK하이닉스(-0.26%) 등이 하락했다. 반면, HD한국조선해양(+2.50%), LG에너지솔루션(+1.55%), HD현대중공업(+1.44%), KB금융 (KS:105560)(+0.96%), 현대모비스(+0.39%), 삼성화재(+0.27%) 등은 상승했다. 삼성전자, POSCO홀딩스는 보합세를 보였다.
주가 차트 그래프 주식 거래소. 사진= 픽사베이
코스닥 지수는 0.94% 상승한 0.94% 729.59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878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216억, 410억 순매도했다.
이재명 후보,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연령 하향 조정 등 어르신 공약 발표 등에 메타바이오메드(+24.27%), 한국피아이엠(+18.56%), 레이(+6.21%), 덴티스(+6.21%) 등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가 상승했다. 노보 노디스크 1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블루엠텍(+29.98%), 큐라티스(+20.95%), 라파스(+8.12%), 한국비엔씨(+5.85%), 디앤디파마텍(+5.02%), 펩트론(+4.72%) 등 비만치료제 테마도 상승했다. 미국 AI 반도체 수출 통제 철회 추진 소식 등에 리노공업(+1.09%), 파크시스템스(+9.88%), 이오테크닉스(+1.97%), 원익IPS(+1.97%), ISC(+3.24%) 등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했다. 금일 신규 상장한 나우로보틱스(+126.47%)도 급등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실리콘투 (KQ:257720)(+11.32%), 클래시스(+6.16%), 펩트론(+4.72%), 파마리서치(+3.55%), 에코프로비엠 (KQ:247540)(+3.18%), 휴젤(+2.37%), 삼천당제약(+2.18%), 리노공업(+1.09%), JYP Ent.(+1.01%), 코오롱티슈진(+0.67%), 레인보우로보틱스(+0.53%), 에코프로(+0.52%) 등이 상승했다. 반면, HLB (KQ:028300)(-3.06%), 에스엠(-2.39%), 알테오젠 (KQ:196170)(-1.12%), 펄어비스(-0.41%), 리가켐바이오(-0.30%), 셀트리온제약(-0.21%) 등은 하락했다. HPSP는 보합세를 보였다.
■ 미국증시
5월8일 뉴욕증시는 미국과 영국의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미국과 각국 간 무역 합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했다. 이번 주말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회담이 "실질적일 것"이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등도 무역 합의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는 모습을 보였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0.62% 상승한 4만1368.4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07% 상승한 1만7928.14에, S&P500 지수는 0.58% 상승한 5663.94에 거래를 마쳤고,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1.00% 상승한 4430.44에 장을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국과의 무역 협상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미국은 영국에 부과한 자동차 관세 25%를 철회했으며, 연간 10만대에 한해서만 10%의 기본관세를 물릴 예정이다. 또한, 철강과 알루미늄, 항공기 부품 관련 관세를 면제해주기로 했다. 대신 미국은 농축산물에 대한 영국 시장 접근성과 함께 미국 상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을 5.1%에서 1.8%로 낮추기로 했다. 세부적인 내용은 추후 몇 주에 걸쳐 논의 후 합의될 예정이며, 미국이 영국에 부과한 기본 관세 10%도 큰 틀에서 유지됐다. 다만, 미국과 영국이 큰 틀에서 무역협정을 맺었고 트럼프가 추진하는 관세 협상의 기본 틀이 확인됐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되는 모습을 보였다. 도이체방크는 "완전한 무역 협정은 협상하는 데 수년이 걸린다"면서도 "이번 합의는 하나의 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미·영 무역 합의 속 미국과 각국 간 무역 합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주말 열리는 중국과의 회담은 실질적(substantive)일 것이고 중국은 뭔가 하기를 바라고 있다며, 회담 후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는 등 미/중 간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의가 잘되면 중국에 대한 관세를 낮출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럴 수도 있다"면서 "145%보다 더 높아질 수는 없지 않으냐. 그러니 우리는 관세가 낮아질 것임을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아울러 무역 협상과 감세안을 언급하며 "이 나라는 나가서 주식을 사야(go out and buy stock) 할 지경에 이르게 될 것"이라며 "미국은 마치 로켓처럼 위로 솟아오를 것이다, 아무도 본 적 없는 숫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과 중국은 오는 10일 스위스에서 트럼프의 관세 폭탄 이후 첫 무역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픽사베이
이날 발표된 주간 실업지표는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22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주 대비 1만3000건 감소한 수치이자 시장 예상치 23만명을 밑도는 수치다. 도매재고는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도매 재고는 계절적 특성 및 거래일 수 차이를 조정한 결과, 총 9075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0.4% 증가한 것으로, 3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전일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를 나타냈고, 파월 Fed 의장도 매파적 발언을 내놓는 등 금리 인하 전망은 후퇴하고 있다. 파월 Fed 의장은 전일 FOMC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관세의 범위와 규모를 고려할 때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상승 위험이 확실히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내 직감상 향후 경제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도로 높아졌다.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82.8%로 높아졌다.
이날 국제유가는 무역긴장 완화 속 위험선호 심리 등에 급등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6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84달러(+3.17%) 급등한 59.91달러에 거래 마감했다.
미국 채권시장은 무역긴장 완화,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강세를 기록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위험자산 선호 심리 등에 급락했다.
종목별로는 무역 긴장 완화 속 애플(+0.63%), 엔비디아 (NASDAQ:NVDA)(+0.26%), 마이크로소프트(+1.11%), 테슬라 (NASDAQ:TSLA)(+3.11%), 알파벳A(+1.92%), 메타(+0.20%), 아마존 (NASDAQ:AMZN)(+1.79%) 등 M7 종목들이 동반 상승했고, 보잉 (NYSE:BA)(+3.31%)도 상승했다.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5.26%)는 1분기 손실액이 시장 예상치보다 컸음에도 스트리밍과 케이블 TV를 두 개 법인으로 분할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했다. 양자컴퓨팅 솔루션 업체 디 웨이브 퀀텀(+51.23%)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폭등했고, 아이온큐(+9.27%), 퀀텀 컴퓨팅(+19.21%), 리게티 컴퓨팅(+11.46%) 등 여타 양자컴퓨터 관련주들도 동반 급등했다. 반면, 펠로톤(-6.73%)은 1분기 실적 실망감 속 큰 폭 하락했다.
■ 아시아증시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홍콩이 상승, 대만은 하락했다.
5월8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미국 반도체 관련주 강세 영향 등에 0.41% 상승한 3만6928.63에 장을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지수는 미국 반도체 관련주 강세 영향 등에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임 바이든 정부 당시 마련된 ‘AI 확산 프레임워크’를 철회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정부는 이달 15일(현지시간) 발효되는 관련 조치를 시행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으며, 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을 폐기하는 대신 반도체 수출 통제를 강화하는 새 규칙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지난밤 미국 증시에서는 엔비디아(+3.10%), 퀄컴 (NASDAQ:QCOM)(+3.15%), 브로드컴(+2.36%)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마감했다. 시장에서는 디스코(+5.68%), 레이져테크(+4.03%), 어드반테스트(+3.73%), 도쿄일렉트론(+2.05%) 등 반도체 관련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한편, 일본은행(BOJ)의 최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리 인상 신중론이 제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일 BOJ가 공개한 금융정책결정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한 위원은 "미국 정책으로 경기 하방 위험이 급격히 커졌기 때문에 다음 금리 인상 시기를 고려할 때 특히 신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다만, 위원들은 일본은행의 경제와 물가의 전망이 실현된다면 금리를 계속 인상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달러-엔 상단을 제한했다. 특히,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도 기조적인 물가가 2%로 다시 간다면 완화 정도를 적절한 속도로 조정할 수 있다고 재차 밝혔다. 이와 관련, 우에다 총재는 이날 국회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관세 정책의 영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다"며, "미국 관세가 경제 하방압력 등을 통해 물가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이어 "기조적인 물가 상승률이 2%를 향해서 걸음을 재개한다고 보고 있다"며, "전망이 유지되는 한 금융완화 정도를 적절한 페이스로 조정해 나가는 것이 정책의 기본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종목별로는 NEC(+2.20%), 도쿄가스(+1.40%), 미쓰비시케미컬(+0.83%) 등이 상승한 반면, 주부전력(-2.55%), 소프트뱅크그룹(-2.39%), 도요타자동차(-1.27%) 등은 하락했다.
사진=Bank of Japan(BOJ)
5월8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경기부양책 기대감 지속 등에 0.28% 상승한 3352.00에 마감했다.
전일 중국 중앙은행이 내수 진작과 시장 심리 안정화를 위해 지급준비율(RRR·지준율)과 정책금리를 인하할 예정이라고 밝힌 가운데, 경기부양책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중국 증시는 상승했다. 판궁성 중국인민은행장은 7일 인민은행·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 장관급 당국자 주최 ’시장 심리 지원을 위한 패키지 금융정책’ 관련 상황 설명 기자회견에서 "지준율을 0.5%p 인하해 시장에 장기 유동성 1조위안(약 192조원)을 공급할 것"이라며, "정책 이율도 0.1%포인트 낮추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골드만삭스는 "달러화 약세와 부양책 시행 및 경기 회복세 속 중국 증시는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며 중국 증시에 대해 ’비중확대’ 의견을 제시했다.
아울러 파키스탄이 지난 7일(현지시간) 인도와의 무력 충돌 때 공중전이 벌어졌으며 중국산 J-10C 전투기를 활용해 인도군이 운용하는 프랑스산 최신예 라팔 전투기를 격추했다고 발표한 영향으로 중국 방산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증시 상승을 견인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러시아 제2차 세계대전 승리(전승절) 기념일 참석을 위해 모스크바에 도착한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회담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과의 관계, 가스관 프로젝트 등 에너지 분야 협력 등 주요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러시아의 지지 의사를 받고 대응 체제를 굳건히 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종목별로는 화하행복부동산(+2.02%), 중국태평양보험그룹(+1.57%), 중국중차(+1.26%) 등이 상승했다. 반면, 낙양몰리브덴(-1.65%), 자금광업(-1.61%) 등은 하락 마감했다.
홍콩항셍 지수는 0.37% 상승한 2만2775.92에, 대만가권 지수는 0.02% 하락한 2만543.40에 장을 마감했다.
■ 전일 장마감 후 주요 종목 공시
* 휴젤(14502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98.20억원(전년동기대비 +20.87%), 영업이익 389.54억원(전년동기대비 +62.60%), 순이익 308.90억원(전년동기대비 +35.92%). 보통주 300,000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5-15). 보통주 35,710주(128.19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5-16~2027-02-14)
* 이루온(065440) - 2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5-08~2025-11-07, NH투자증권(NH INVESTMENT & SECURITIES CO.,LTD))
* JW생명과학(23408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620.44억원(전년동기대비 +13.35%), 영업이익 103.72억원(전년동기대비 +24.39%), 순이익 71.03억원(전년동기대비 +27.11%)
* 한전기술(05269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64.19억원(전년동기대비 -24.44%), 영업이익 11.90억원(전년동기대비 -86.95%), 순이익 659.03억원(전년동기대비 +662.14%)
* SK케미칼(28513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470.71억원(전년동기대비 +9.41%), 영업이익 369.42억원(전년동기대비 +98.50%), 순이익 266.45억원(전년동기대비 +183.51%).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366.24억원(전년동기대비 +40.86%), 영업이익 242.8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11.3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원익IPS(24081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41.98억원(전년동기대비 +9.10%), 영업손실 73.8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7.1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서울바이오시스(092190) - 2025년 사업연도(2025-04-01~2025-06-30)연결 기준 매출액 1,750.00억원 전망
* 넷마블(25127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239.00억원(전년동기대비 +6.57%), 영업이익 497.00억원(전년동기대비 +1,243.24%), 순이익 802.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콘텐트리중앙(03642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251.61억원(전년동기대비 +1.90%), 영업손실 121.1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374.1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롯데렌탈(08986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856.40억원(전년동기대비 +4.38%), 영업이익 669.91억원(전년동기대비 +17.76%), 순이익 298.29억원(전년동기대비 +83.73%)
* 코오롱인더(12011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3조원(전년동기대비 +7.77%), 영업이익 269.32억원(전년동기대비 -13.47%), 순이익 197.74억원(전년동기대비 -2.65%)
* BGF리테일(2823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01조원(전년동기대비 +3.20%), 영업이익 226.00억원(전년동기대비 -30.67%), 순이익 134.00억원(전년동기대비 -42.73%)
* BGF(02741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59.00억원(전년동기대비 +9.17%), 영업이익 52.00억원(전년동기대비 -41.57%), 순이익 45.00억원(전년동기대비 -60.86%)
* HS화성(002460) - 면목본동5구역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과 1,040.0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7.0%) 규모 공급계약(면목본동5구역 가로주택정비사업) 체결
* CJ CGV(07916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335.91억원(전년동기대비 +35.79%), 영업이익 32.01억원(전년동기대비 -29.50%), 순손실 380.9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KT&G(03378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49조원(전년동기대비 +15.38%), 영업이익 2,855.60억원(전년동기대비 +20.70%), 순이익 2,579.29억원(전년동기대비 -9.69%)
* 티에스아이(277880) - LG Energy Solution Arizona ESS, Inc과 체결한 1,154.0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4.2%) 규모 공급계약(2차전지 믹싱시스템) 해지(계약기간:2024-05-22~2025-05-08)
* 현대에버다임(0414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21.05억원(전년동기대비 -11.42%), 영업손실 10.8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9.9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BGF에코머티리얼즈(1266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90.32억원(전년동기대비 +13.52%), 영업이익 48.15억원(전년동기대비 -14.59%), 순이익 27.89억원(전년동기대비 -48.93%)
* 나노실리칸첨단소재(286750) - 자회사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신규사업 추진 및 운영자금 확보등 경영상 목적달성 목적으로 주식회사 솔트라이트 (구_엔터내셔널)(대한민국) 주식 600,000주를 3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5-09)
* 펌텍코리아(25197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17.35억원(전년동기대비 +19.31%), 영업이익 134.33억원(전년동기대비 +31.34%), 순이익 114.90억원(전년동기대비 +37.03%)
* 텔레칩스(05445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52.04억원(전년동기대비 -0.38%), 영업손실 25.9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34.8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심텍(2228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035.97억원(전년동기대비 +3.31%), 영업손실 163.2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361.8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헥토이노베이션(21418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88.56억원(전년동기대비 +10.36%), 영업이익 64.54억원(전년동기대비 +2.18%), 순이익 64.75억원(전년동기대비 +1.98%).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95.60억원(전년동기대비 +21.31%), 영업이익 117.29억원(전년동기대비 +19.18%), 순이익 95.04억원(전년동기대비 +20.86%)
* HJ중공업(097230) - 라이베리아 소재 선주와 체결한 1,271.6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88%) 규모 공급계약(18,000cbm LNG 벙커링 선박 1척) 해지(계약기간:2025-02-07~2027-12-31)
* 진에어(27245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178.45억원(전년동기대비 -2.89%), 영업이익 582.73억원(전년동기대비 -40.83%), 순이익 457.04억원(전년동기대비 -33.06%)
* 피노(033790) - 주식회사 엘앤에프와 46.1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5.04%) 규모 공급계약(NCM 전구체) 체결(계약기간:2025-04-25~2025-07-03)
* 하나투어(0391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684.18억원(전년동기대비 -8.13%), 영업이익 122.82억원(전년동기대비 -43.21%), 순이익 143.65억원(전년동기대비 -40.54%)
* 메가스터디교육(215200) -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금지 조치 준수 목적으로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한국) 지분 전량(24,222주)을 453.00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예정일:2025-05-09).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376.70억원(전년동기대비 -4.69%), 영업이익 262.01억원(전년동기대비 +29.28%), 순이익 208.25억원(전년동기대비 +27.02%)
* 신세계푸드(0314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586.20억원(전년동기대비 -6.07%), 영업이익 78.81억원(전년동기대비 +69.70%), 순이익 53.79억원(전년동기대비 +14.34%)
* 카페24(0420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12.49억원(전년동기대비 +8.90%), 영업이익 59.59억원(전년동기대비 +82.12%), 순이익 52.65억원(전년동기대비 +615.35%)
* 인크레더블버즈(06409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휴먼웰니스(최대주주) 대상으로 2,626,050주(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808원, 상장예정:2025-09-15)
* 케이아이엔엑스(09332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60.18억원(전년동기대비 +16.22%), 영업이익 42.86억원(전년동기대비 -18.71%), 순이익 31.59억원(전년동기대비 -36.68%).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94.04억원(전년동기대비 +28.43%), 영업이익 49.38억원(전년동기대비 -16.21%), 순이익 33.26억원(전년동기대비 +48.08%)
* 덴티움(14572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68.22억원(전년동기대비 -7.14%), 영업이익 95.80억원(전년동기대비 -50.16%), 순이익 126.31억원(전년동기대비 -23.54%)
* 플랜티넷(075130) - 보통주 16,097주(0.55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5-09~2025-05-16)
* JW신약(06729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96.58억원(전년동기대비 -17.37%), 영업이익 6.68억원(전년동기대비 -76.77%), 순이익 0.36억원(전년동기대비 -98.12%)
* 가비아(0799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69.63억원(전년동기대비 +24.06%), 영업이익 57.76억원(전년동기대비 -19.81%), 순이익 38.16억원(전년동기대비 -2.07%)
* 저스템(417840) - 269.76억원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수 결정(양수기준일:2027-04-08)
* 스튜디오드래곤(253450) - 미국 현지 제작사와의 파트너십 확장 및 글로벌 스튜디오 모델 구축 목적으로 Studio Dragon Investments, LLC (미국) 주식 6,800주를 947.98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00%, 취득예정일:2025-05-14). 종속회사 Studio Dragon Investments, LLC, 미국 현지 제작사와의 파트너십 확장 및 글로벌 스튜디오 모델 구축 목적으로 Skydance Media, LLC(미국) 주식 2,451주를 1,152.12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2.40%, 취득예정일:미정)
* 이수앱지스(08689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71.83억원(전년동기대비 -56.49%), 영업손실 4.6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87.6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코츠테크놀로지(448710) - LIG넥스원(주)와 60.4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3%) 규모 공급계약(지상체 위성링크 임무장비(방산) 물품구매) 체결(계약기간:2025-05-02~2028-06-09)
* 하림(13648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098.99억원(전년동기대비 +5.96%), 영업이익 60.38억원(전년동기대비 -33.95%), 순이익 18.8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224.78억원(전년동기대비 +5.46%), 영업이익 69.48억원(전년동기대비 -32.92%), 순이익 28.5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고려아연(0101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83조원(전년동기대비 +61.35%), 영업이익 2,711.36억원(전년동기대비 +46.94%), 순이익 1,599.67억원(전년동기대비 +42.32%).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38조원(전년동기대비 +31.70%), 영업이익 2,727.11억원(전년동기대비 +43.03%), 순이익 2,054.60억원(전년동기대비 +46.71%)
* 코웨이(021240) - 1,1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5-09~2025-12-26, KB증권(KB SECURITIES CO., LTD.))
* 다올투자증권(030210) - 공시불이행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 효성중공업(298040) - Orsted Hornsea Project Four Limited와 체결한 2,912.0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77%) 규모 공급계약(Hornsea Four Offshore Wind Farm(HOW04)) 해지(계약기간:2024-11-01~2029-06-01)
* 아티스트컴퍼니(321820) - 이○○ 외 8인이 신주발행 효력정지 등 가처분 신청(재항고) 제기
* 아티스트스튜디오(200350) - 이○○ 외 8인이 신주발행 효력정지 등 가처분 신청(재항고) 제기
* 지아이이노베이션(358570) - GI-102 단독 요법 및 기존 항암 치료 또는 펨브롤리주맙 또는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 병용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제 1/2 상 임상시험계획 미국식품의약국 변경승인
* 피씨엘(24182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안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으로 관리종목 지정사유추가
* 신풍제약(019170) - 당사 전직 임원(장00, 신풍제약주식회사)의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배임) 관련 상고 기각 판결
* 시스웍(269620) - 김종원 외 1명이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재항고) 소송 각하 판결
* 메리츠금융지주(138040) - 2025년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및 이행현황
* 대한항공(KS:003490) - UH/HH-60 성능개량 사업 우선 협상대상업체 선정
* 버킷스튜디오(06641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안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으로 관리종목 지정
* 솔디펜스(215090) - 기업심사위원회 심의·의결 결과 및 상장유지 결정 안내. 상장유지결정으로 주권매매거래정지해제(해제일시:2025-05-09). 상장유지 결정으로 관리종목 해제
* 대양금속(009190) - 주식회사 대양홀딩스컴퍼니 외 1명이 주주총회결의 부존재확인 등 소송 제기
* 동성제약(002210) - 이양구가 신주발행금지가처분(사건번호:2025카합 20142) 소송 제기. 이00외 1명이 이사의 위법행위유지 가처분 소송 제기
* 바이오솔루션(0868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서울옥션(0631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코스메카코리아(24171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모헨즈(006920) -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풍원정밀(3719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박상철 기자 3fe94@infostock.co.kr